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 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공유
정가
350,000
판매가
315,000
구매제한
최소 1개
구매혜택
할인 : 적립 마일리지 :
배송비
무료
택배
방문 수령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에이스테크노타워10차 407호
상품코드
1000077484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808쪽 (A4)
ISBN
979-11-5862-030-1 (93500)
제조일
2016-09-07
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0
총 상품금액
총 할인금액
총 합계금액

상품상세정보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사물인터넷은 이미 IT 산업에 있어 핵심 키워드로 자리매김 했다. 광범위한 적용 분야와 잠재력을 보유한 IoT는 영역을 초월한 협력과 일상생활 속의 다양하고 실질적 기술 적용은 물론, 산업 제조현장에서도 ‘스마트’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IoT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유관산업 내 전·후방 영역을 아우르는 다수의 업체들은 IoT 시장 내 새로운 성장 동력의 발굴 및 가치사슬의 연계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지금의 IoT는 개개인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지만 점차 사회 전반으로 파급력을 확대하고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정부는 글로벌 IoT 선도국가라는 비전 아래 2020년까지 30조원 시장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미래부는 IoT기업의 초기 수요 창출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대규모 실증단지를 조성해 부산에는 스마트시티, 대구에는 헬스케어 실증단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스타플레이어를 발굴하여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한편, 국내 IoT 시장은 소프트웨어(SW)·서비스가 하드웨어(HW)보다 비중이 낮고, 전반에 걸쳐 IoT 활용이 미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IoT 활용을 위한 센서나 네트워크·플랫폼·표준화 등의 기반도 미흡하고, IoT 보안 강화를 위한 노력은 시작 단계이다. 보안, 개인정보보호 등 IoT 확산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들은 기술 발전을 통해 앞으로 해결해 나아가야 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산업의 주요 동향과 IoT 도입에 따른 융합산업 대응전략 방안에 도움이 되고자 「IOT 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융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을 발간하였다. 제Ⅰ편에서는 사물인터넷 산업 생태계와 국내외 IoT 육성추진계획, IoT 플랫폼/보안이슈와 관련된 기술동향과 특허/표준화 동향을 분석 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IoT 기반 분야별 융합산업 동향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전력/제조분야, 의료/헬스케어 분야, 스마트카 분야의 제반 정보를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 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Ⅰ편 사물인터넷(IoT)  산업 주요동향
제 1장 사물인터넷(IoT) 산업 생태계 및 정책동향
1. 사물인터넷의 개념 및 범위
1) 사물인터넷 환경의 도래와 그에 따른 기대효과
(1) ICT 융합의 진전과 사물인터넷 환경의 도래
(2) 사물인터넷 도입의 기대효과
(3)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기대
2) 사물인터넷의 개념 정의
3) 구성 요소
2. 사물인터넷 산업구조
1) 사물인터넷 산업구조 개요
(1) 동인(Motivations)
가. M2M 커뮤니케이션
나. 자원의 최적화
다. 소형화
라. 유비쿼터스 서비스
마. 새로운 사업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회
(2) 장애요인
가.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나. 연결된 사물의 이질성
다. 불충분한 기반시설
라. 복잡성
마. 스마트 센서의 가용성
바. 발전된 데이터 분석도구의 부족
(3) 주요 트렌드
가. 전력 저소모형 기기
나. 센서의 소형화
다. 센서 가격의 하락
라. 전력소비가 적은 소형제어기(MCU: Micro Controller Unit)
(4) 기술 가치사슬
(5) 핵심 수단(Enablers)
2) 사물인터넷 요소기술
(1) 반도체/센서
(2) 통신모듈/SW
(3) 단말기
(4) 통신서비스
(5) 기술서비스/플랫폼
3) 사물인터넷 활용서비스
(1) 사물인터넷 서비스 영역
(2)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요분석
4) IoT의 산업 파급효과
(1) 수송시스템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실시간 정보의 필요성
B) 협력적 시스템의 필요성
C) 감시의 필요성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정보 방송
B) 차량 위치 정보
C) 교통혼잡 정보 공유
D) 차량의 자동 진단
E) 톨게이트에서의 자동 결제 시스템
F) 무선 충전소
G)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H) 효율적인 주차 솔루션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차 내 거동 분석
B) 원격 데이터 분석
C) 적응적 조명 시스템
D) 에너지 하베스트형 전기차량
(2) 헬스케어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상호연동(Interoperability)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수요
B) 실시간 정보의 필요성
C) 비용절감의 필요성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중앙집중식 정보저장소
B) 장비연결 센서들
C) 건강 모니터링 장비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카메라 내장 알약
B) 환자 감시
C) 예측 지원
D) 3D 프린터로 제조된 장기
(3) 에너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실시간 모니터링의 필요성
B) 예지적 지능의 필요성
C) 제어의 필요성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발전기
B) 에너지 변전소
C) 배전
D) 스마트 파워 그리드 네트웍 시스템
E) 최적화된 에너지 저장
F) 가정/ 건물의 스마트 미터
G)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H) 센서 네트웍 제어기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동적 에너지 가격 시스템
B) 에너지 공유 인프라
C) 발전 최적화를 위한 예지적 분석
D) 보안 스마트 그리드 네트웍 제어기
(4) 항공우주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실시간 데이터의 필요성
B) 정보 협력의 필요성
C)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의 필요성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戰場 정보 공유
B) 군사령부의 의사결정
C) 재고 예측 분석
D) 제조 기계
E) 설비 공급사
F) 차세대 조종시스템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항공우주산업 공급망에 대한 예지적 분석
B) 조종실을 위한 뇌신경형(Neuromorphic) 칩
C) 장비 통합을 위한 플랫폼
D) 음성으로 작동되는 조종 솔루션
(5) 제조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디지털화의 필요성
B) 원격 모니터링의 필요성
C) 협력적 공급망의 필요성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협력적 공급망 관리
B) 기계와 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C) 사이버-물리 시스템 개발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증강현실 기반의 공장 모니터링
B) 고성능 3D 프린팅
C) 옥내 추적 솔루션(Indoor Tracking Solution)
D) 예지보전 솔루션
(6) 로봇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가. 현재의 수요
A) 원격 관리의 필요성
B) 시스템 소형화 및 저가격화의 필요성
C) 오픈 소스의 공유
D) IoT의 게이트웨이인 동시에 물리적 서비스 제공 수단
나. 미래의 시나리오
A) 무한한 지능을 가진 로봇
B) 맥락을 이해하는 로봇
다. 신참자들을 위한 파괴적 기회
A) 헬스케어
B) 제조
C) 수송
D) 고객 시장
3. 사물인터넷 산업 생태계 동향
1) 사물인터넷 시대의 C-P-N-D 생태계 동향
(1) C-P-N-D의 현황
(2) 사물인터넷시대 C-P-N-D 동향
2) 주요 부문별 산업 생태계 동향
(1) 스마트홈
가. 개념 및 중요성
나. 국내외 시장 동향
다. 스마트홈 시장구조
라. 스마트홈 사업자 현황 
(2) 스마트시티
가. 개념 및 중요성
나. 국내외 시장 동향
다. 스마트시티 시장구조 및 사업자 동향
(3) 커넥티드카
가. 개념 및 중요성
나. 국내외 시장 동향
다. 스마트카 시장 가치사슬 및 사업자 동향
(4) 스마트헬스케어
가.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개황
나. 국내외 시장전망
다. 산업구조 및 사업자 동향
(5) 에너지 분야
가. 에너지 현황 및 IoT 수요
나. 선진국 정책 동향
다. 글로벌 시장 동향
라. 국내시장 동향
(6) 교통 분야
가. 교통 현황 및 IoT 수요
나. 선진국 정책 동향
다. 글로벌 시장 동향
라. 국내시장 동향
(7) 농업 분야
가. 농업 현황 및 IoT 수요
나. 선진국 정책 동향
다. 글로벌 시장 동향
라. 국내시장 동향
(8) 제조 분야
가. 제조 현황 및 IoT 수요
나. 선진국 정책 동향
다. 글로벌 시장 동향
라. 국내시장 동향
4.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 및 정책 동향
1) 사물인터넷의 국내 시장 및 정책 동향
(1) 시장 동향 
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주요 사물인터넷 기업 현황
(2) 국내 사물인터넷 정책 현황
가. 국내 정책 동향
나. K-ICT 사물인터넷 실증사업의 주요 내용
다. 사물인터넷 시범 프로젝트
2) 세계 주요국의 사물인터넷 시장 및 정책 동향
(1) 미국 
가. 시장의 현황과 전망
나. 정책 동향 
(2) 영국 
가. 시장 동향 및 전망
나. 정책 동향
(3) 독일
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제품 개발 현황
나. 시장현황 및 전망 
(4) 러시아 
가. 러시아 IoT에 대한 인식과 현황
나.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러시아 IoT 시장 해외기업 진출 현황
라. 러시아 공공 서비스 등 일상에 도입된 IoT 사례 
(5) EU 정책동향 
(6) 캐나다
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캐나다 사물인터넷 유망 기업
다. 캐나다 정부 정책
(7) 중국 
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중국의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기업
다. 중국 IoT 기술적 추격 
라. 정책 동향 
(8) 일본
가. 시장 현황 
나. 확대되는 IoT 대상 및 업종
다. 사물인터넷 주요기업 동향
라. 정책 동향 
(9) UAE
가.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UAE 사물인터넷 제품 동향
다. UAE 정책동향 및 시사점 
(10) 대만 
가. 업계 동향
나. 정책 동향 및 전망
(11) 말레이시아 정책동향 
가. IoT 허브 도모하는 말레이시아 
나. 사물인터넷 산업 전망 
제 2장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최신기술 동향 및 응용사례
1.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동향 
1) IoT 플랫폼 국내외 기술 동향
(1) IoT 사물 데이터 처리ㆍ관리 기술
(2) IoT 이기종 사물들의 물리ㆍ논리적 융합 가상화 기술
(3) IoT 데이터 분석 기술
(4) IoT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기술
2) 국외 업체 중심 사물인터넷 플랫폼 현황
(1) 구글 
(2) 인텔(Intel)
(3) 마이크로소프트
(4) 애플 
(5) ARM(Advanced RISC Machine)
(6) 오라클
(7) 기타 
3) 국내 업체 중심 사물인터넷 플랫폼 현황
(1) SKT
(2) KT 사물인터넷 플랫폼
(3) LG U+ 사물인터넷 플랫폼
(4) 삼성 
4) 공통기반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동향
(1) Thingsquare 
(2) Thingworx
(3) Xively 
(4) ioBridge 
5) 응용서비스 사물인터넷 플랫폼 
(1) Axeda 
(2) Digi Device Cloud 
6) 지능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1) SMART Object 
(2) SuRAT 프로젝트 
(3) SENSEI 프로젝트 
7) 사물인터넷 서비스 동향
(1) Connected Home Sensors : Mothe
(2) Crowd Sourcing Street Repair : Street Bump 
(3) Wireless Heating/Cooling Vent : Keen 
(4) SENSEable City : The Copenhagen Wheel
(5) Real-Time Air Traffic: Flightradar24
(6) City Mood Ring: MIMMI 
8)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동향 
(1) 사물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요 
가. AllJoyn
나. OIC/IoTivity
다. oneM2M
(2) 핵심 공통기술 비교분석
가. 서비스 개체 및 장치관리
A) AllJoyn
B) OIC/IoTivity
C) oneM2M
나. 연결 및 전달제어
A) AllJoyn
B) OIC/IoTivity
C) oneM2M
다. 서비스 공개 및 검색 
A) AllJoyn
B) OIC/IoTivity
C) oneM2M
라. 이종네트워크 관리
A) AllJoyn
B) OIC/IoTivity
C) oneM2M
마. 상호등록 및 보안
A) AllJoyn
B) OIC/IoTivity 
C) oneM2M
바. 기타
(3) 플랫폼 상호연동 기술 
9) 사물인터넷 플랫폼 오픈소스 동향
(1) Mobius 플랫폼 
(2) &Cube 플랫폼 
(3) OCEAN 기반 글로벌 인터워킹 추진사례 
(4) OCEAN 발전 방향 
10) IoT기반 에너지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1) 전력정보시스템 플랫폼 진화
(2)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요구사항
가. 에너지 IoT분야 신산업 개척을 위한 기반인프라 구축
나.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한 전력분야 IoT 체계 정립
다. 에너지 IoT 정보 활용 기술 개발
라. 센서정보 연계를 위한 표준프레임워크 
(3) 전력IoT 플랫폼 아키텍쳐
가. 플랫폼 제공 환경
나. 플랫폼 아키텍쳐
11) 산업용 IoT 플랫폼 
(1) 산업용 IoT 현황 
(2) 선도업체의 산업용 IoT 전략
가. 제너럴 일렉트릭(GE) 
나. 인텔(Intel) 
다. 시스코(Cisco) 
라. 선두 업체 산업용 IoT 전략의 한계
(3) 산업용 IoT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Splunk
가. Splunk의 탄생 
나. 간단한 아키텍처 및 뛰어난 확장성 
다. 수집 가능한 데이터의 다양성 및 빠른 인덱싱
라. 자체 검색 언어 사용
마. 활발한 앱 생태계 
바. 산업용 IoT 분야에서 Splunk의 역할 
2.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 전략 
1) IoT 공통플랫폼의 기반인프라 구축
(1) 사물 
(2) 네트워크 
2)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1) 클라우드 기반 사물 및 데이터 관리 플랫폼
(2)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3) 표준 기반 애플리케이션·서비스 개발 플랫폼
(4)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3) IoT 공통플랫폼의 활용 
(1) 활용분야의 선정
(2) IoT기반 에너지 서비스
(3) IoT기반 교통 서비스
(4) IoT기반 보건·의료 서비스
(5) IoT기반 재난·안전 서비스
4) IoT 플랫폼의 발전방향
(1) IoT 플랫폼 기술의 발전 방향
(2) IoT 플랫폼 구축방식의 발전 방향
제 3장 사물인터넷(IoT) 기술특허 및 표준화 동향 분석
1. 사물인터넷(IoT) 기술동향
1) IoT 기술개념 
2) 사물인터넷의 핵심기술 
(1) 센싱 기술
(2) 인터페이스 기술
(3) 네트워킹 기술
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1) 맞춤형 제조 서비스 시나리오 및 요구사항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2) e-call 서비스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3) 이종 서비스 상호 연동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4) 저전력 IoT 데이터 전달 및 통신 제어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5) IoT 서비스 지향 네트워크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6) Infra-less 환경에서의 IoT 통신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7) 이기종 LPWA 단말 연동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8) 착용형 스마트 IoT 기기 연동 및 제어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9) 개방형 DIY IoT HW/SW 서비스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10) IoT 디바이스 상호인증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11) IoT 빅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2. 사물인터넷 기술관련 특허 분석
1) 사물인터넷 기술 IPR 현황
2) 사물인터넷 기술 국가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3) IoT 기술별 특허출원량 및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4) IoT 기술의 주요출원인 동향 
5) IoT 표준화 항목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6) IoT 표준화 항목 주요출원인 동향
7) IoT 표준화 항목별 IPR 전망
8) IoT 통신 관련 특허 동향 
9) IoT 관련 특허분쟁 및 대응방안  
(1) 분쟁개요 
(2) Allure Energy V. 네스트랩스의 특허침해소송 
(3) 대응방안 
가. IoT 분야에 대한 IP R&D의 적극적인 지원 및 활용 
나. 해외 특허문헌을 통한 IoT 기술에 대한 인식전환 
다. 높은 수준의 지재권 확보 지원 
3.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동향 
1) 표준화 기구 종류별 특징 
(1) 공적 표준화 기구 
(2) 사실 표준화 기구
가. IETF
나. oneM2M
다. IEEE 
(3) 사물인터넷 관련 협의체(연합체) 현황
가.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나. AllSeen Alliance 
다. Open Automotive Alliance
라. Samsung Architecture for Multimodal Interactions
마. Tizen
바. Continua Health Alliance
사. Thread Group
아. 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2) IoT 국내 표준화 동향
3) IoT 국외 표준화 동향
4) 사물인터넷 표준특허 확보 방안
(1) 사물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의 표준특허 전략
(2)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분야에서의 표준특허 전략 
(3)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분야에서의 표준특허 전략 
(4) 사물인터넷 보안 분야에서의 표준특허 전략
제 4장 사물인터넷(IoT) 보안이슈 및 관련기술/표준화 동향
1.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 및 패러다임 변화
1) 사물인터넷(IoT) 보안 위협
2) IoT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
2. 사물인터넷 보안 이슈 및 사례분석 
1) IoT 보안 이슈 
(1) IoT가 초래하는 보안 및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위협에 주목
(2) IoT 보안 영역 확대로 완벽한 보안이 더욱 곤란
가. IoT 보안을 위협하는 대표적 공격 행위 
나. 더욱 어려워지는 네트워크 보안
다. IOT 보안 핵심과제 
라. IoT 보안이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2) IoT 보안 침해 사례
(1) 사물인터넷 자동온도조절 장치의 보안 취약성 사례
(2)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
(3) 개인의료정보 유출사례
3.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현황
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보안 이슈 
(1) 디바이스 인증·식별 기술
(2) 디바이스 접근 제어 기술
(3) 디바이스 경량 암호·보안 프로토콜 기술
2)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보안 
(1)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보안 고려사항 
가. 기존 네트워크 스택에 부합하는 보안프로토콜 개발
나. 이종네트워크 상호운용성 확보 
다. 데이터 압축 기술 
(2) CoAP, LwM2M 보안 기술
(3) MQTT 보안 기술
3) 사물인터넷(IoT) 데이터/프라이버시 보안
(1) 익명성(Anonymity) · 필명(Pseudonym) 보안
(2) DB 보안 기술
4)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시스템 보안
(1) 접근제어·권한 제어 기술
(2) 공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술
(3) 서비스 보안 기술
(4) ID 관리 기술 
5)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 기술 동향 
(1)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가. 일반적인 사물인터넷 보안 요구 사항
나. 환경적 제약
다. 종단-종단 보안 대 홉 단위 보안 
라. 보안키 설정 문제 
마. 프록시 재암호화 
바. 경량 암호의 필요성 
사. 포스트 양자 암호에 대한 고려 
아. 보안 인지 프로세스
(2) 산업 제어 시스템 상에서의 사물 인터넷 보안
가. 사이버 물리 시스템 보안사건 사례 
나.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보안 취약성 
(3) Control Area Network 보안 기술 동향 
가. CAN 프로토콜 개요
나. CAN 프로토콜 보안 위협 
다. CAN 공격 시나리오
라. CAN 보안 요구사항 
마. CAN 보안이 단순하지 않은 이유  
바. CAN 프로토콜 보안 
A) CAN 인증 메커니즘 
B) 잠재적인 CAN 보안 이슈 
6) 사물인터넷 환경 내 개인정보보호 이슈 분석 및 대응방안 
(1) 사물인터넷 환경 내 개인정보보호 이슈 분석에 따른 대응 방안
가. 법/제도적 측면
나. 설계 및 분석 측면
다. 기술적 측면
라. 사물인터넷 환경 내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적용 방안 - 수집 및 저장․관리 단계
4. 사물인터넷(IoT) 보안관련 표준동향
1) 사물인터넷 표준 동향
2) IoT 보안을 위한 IETF 표준 기술
(1) CoAP 보안 기술 
(2) DICE WG 표준 기술 동향 
(3) ACE WG 표준 기술 동향 
3) ITU-T, 사물인터넷 보안 프레임워크 국제표준으로 개발키로 합의 
(1) 주요 이슈 및 논쟁사항
(2) 향후 추진 전망
4) 사물인터넷에서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IPv6 주소 설정
(1) 사물인터넷과 IPv6
(2) 사생활 보호를 위한 IPv6 인터페이스 식별자
가. IPv6 주소에 대한 공격
나. IPv6 주소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식별자 생성 기법
5)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1) 의료정보 침해위협과 보호방안
(2) 의료정보보호 기술 표준
5. 주요국의 IoT 보안 추진 및 우리의 대응 
1) 주요국의 IoT 보안 및 정보보호 추진 동향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일본 
2) 국내 IoT 위협 대응 동향
(1) K-ICT 시큐리티 발전 전략
가. 추진배경 
나. 현황 및 문제점
A) 자발적인 정보보호 투자와 정보보호 대응능력 부족
B) 정보보호 산업의 성장을 더디게 하는 악순환 구조
C) 정보보호기술 경쟁력 및 次世代 성장 모멘텀 부족
D) 정보보호 우수인력 양성 기반 및 정보보호 실천문화 부족
E) 지능화· 은밀화· 대량화 되는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위협 고조
다. 중점 추진과제
라.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통한 미래성장 동력 창출
A) 성능위주 시장으로 체질개선 및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 현실화
B) 정당하게 인정받는 ‘보안성지속 서비스 대가’ 가격구조 개선
C) 적극적으로 정보보호에 투자하는 환경 조성
D) 자발적 정보보호 경쟁을 유도하는 투자 인센티브 강화 및 공표제도 도입
E)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정보보호산업 성장 모멘텀 조성
F) 정보보호산업의 엔진인 백신 연계산업 경쟁력 강화
G) IoT∙클라우드 등 ICT 융합보안 산업 육성
H) IoT 서비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안실증 추진
I) 물리보안 산업(CCTV, 바이오인식) 고도화로 성장동력화
J) 「Global Security Frontier」프로그램을 통한 글로벌 진출 지원
마.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원천 보안기술 개발
A)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술선도를 위한 혁신‧원천기술 확보 
B) 사이버보안 R&D 인프라 및 사업화 강화
바. 최정예 보안인재 양성 및 정보보호 실천문화 조성
A) 全주기 우수 보안인재 양성체계 구축 
B) 최고 보안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C) 범국가 정보보호 문화운동(Culture of Security) 전개
사. 사이버보안 복원력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A) Readiness : 사전(事前)예방 중심의 사이버 보안체계 구축
B) Response : 사이버공격 조기탐지ㆍ대응 체계 구축
C) Recovery : 사이버침해에 대한 신속 복구체계 확립
(2) 공동보안원칙 
가. 개요 
나. IoT 공통 보안 7대 원칙
A) IoT 장치의 설계/개발 단계의 보안 요구 사항
B) IoT 장치 배포/설치(재설치)/구성(재구성) 단계의 보안 요구 사항
C) IoT 장치 및 서비스 운영/관리/폐기 단계의 보안 요구 사항
다. 공통 보안 7원칙의 세부 설명
A) 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서비스 설계 
B) 안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C)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D)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E)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F)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G) IoT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3) 사물인터넷((IIooTT)) 정보보호 로드맵 3개년 시행계획
가. 보안이 내재화된 IoT 기반 조성
A) 7대 분야 IoT 제품 ‧ 서비스 보안 내재화
B) 「IoT 보안 위협 종합 대응체계」구축
C) 안전한 IoT 제품·서비스를 위한 신뢰성 확보
나. 글로벌 IoT 보안 선도기술 개발
A) IoT 보안 핵심 원천기술 개발
B) IoT R&D 오픈 이노베이션 구축
다. IoT 보안 산업경쟁력 강화
B) IoT 보안제품 ‧ 서비스 수요 창출
라. 추진체계

 

 

 

제Ⅱ편 사물인터넷(IoT)  기반 분야별 융합산업
제 1장 사물인터넷(IoT) 기반 분야별 융합산업 동향
1.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융합 활성화 
1) 스마트 에너지(Smart Energy) 분야
(1) 에너지 절감을 위한 빅데이터와 기반 기술인 사물인터넷 확산
(2) 테슬라 진입으로 인한 전기자동차 및 충전 인프라의 성장 가시화 
(3) 신재생 에너지, 분산발전의 확산 및 유가 변동과의 관계 
(4) 정부, 공공과 민간의 협업으로 스마트 에너지 시장 개화 
2) 보안(Safety) 분야
(1) 범국가적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 가속화
(2) 통합보안관리(Intergrated Safety Management) 확산
(3) 사물인터넷 제품 기반 개인 맞춤형 서비스 다양화 
(4)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보안 서비스 활성화 
3) 의료·건강(Health Care) 분야 
(1) 웨어러블 기기 등을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빅뱅
(2) 유전체 분석사업에 대한 관심 고조
(3) 원격의료 시장 본격화에 대한 준비 가속화 
(4) 진단 분야부터 자연스럽게 개화될 건강관리 시장 
(5) 의료 산업, 사후 치료➜ 사전 예방 중심 
4) 자동차·교통(Networked Transportation) 분야 
(1) 사물인터넷과 융합된 스마트카로의 진화 본격화 
(2) 네트워크 기반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rtainment) 시장 활성화 
(3) 협력적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도입 시작으로 관련산업 동반 성장 
(4) 달리는 스마트폰이 될 자동차, 더욱 중요해진 개방형 협력
5) 제조업의 혁신 및 IoT 적용 사례 
(1) ‘Mass Production’에서 ‘Mass Customization’으로 변화 
(2) 제품판매에서 서비스판매로 비즈니스모델 변화
6) 물류 산업 분야 및 IoT 적용 사례 
(1) 사물인터넷이 물류 산업에 미칠 영향 
(2) 물류 분야에서의 해외 사물인터넷 활용 사례
가. 창고 관리(Warehousing Operations)
A) 스마트 재고 관리(Smart-inventory management)
B) 기기 활용의 최적화(Optimal asset utilization)
C) 예측 정비(Predictive maintenance)
D) 건강과 안전(Health and safety)
E) 스마트 창고 에너지 관리(Smart warehouse energy management)
나. 화물 운송(Freight Transportation)
A) 위치 및 상황 감지(Loca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B) 운송 수단 관리(Fleet and asset management) 
C) 수명 예측 관리(Predictive lifecycle management)
D) 건강과 안전(Health and safety)
E) 공급망 리스크 관리(End-to-end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다. 최종 고객 배송
A) 우편물 수거의 최적화(Optimized collection from mail boxes)
B) 자동 공급 및 예측 발송(Automatic replenishment and anticipatory shipping)
C) 맞춤 배송 주소(Flexible delivery address)
D) 맞춤 방문 서비스의 최적화(Optimized the return trip)
E) 배송 물품 상태 확인 및 추적(Next-generation visibility) 
7) 유통 산업 분야 및 IoT 적용 사례
(1) 커텍티드 리테일(Connected Retail)
(2) 고객 인지 및 상황에 따른 서비스 제공
8) 공공부문에서의 IoT 적용 사례
(1) 국외 IoT 적용 사례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IoT 적용 사례
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시스템 
나. 도로 조명
9) 사물 인터넷의 건설업 활용 방안과 전망 
(1) 건설산업에서 사물 인터넷의 위상
(2) 사물 인터넷 도입과 관련한 고려 사항
(3) 수요 중심 사고와 비즈니스 모델
(4) 업역 간 장벽이 없는 융합 사업으로
(5) 다양한 신규 사업과 수익 구조 설계
(6) 사물 인터넷 기반의 건설 상품 창출 방안
10) 스마트도시 관점에서의 IoT분야 활용 동향 
(1) 스마트시티 개념 
(2) 스마트시티 외국동향 
(3) 국내 부산시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4) 스마트도시 관점에서의 IoT분야 국내동향 
11) IoT 기술 기반 스마트 농장(스마트팜)
(1) 농업 선진국의 ICT 융∙복합 주요 기술개발 동향 
가. 일본 
A) 식물공장에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정관리 소프트웨어 479
나. 이탈리아 
(2) 국내 스마트팜 추진동향
가. 추진현황 및 문제점
나. 추진 성과 
다. 향후 추진계획
(3) 스마트 팜 팩토리를 위한 IoT 플랫폼 연구
12) 재난관리 분야 및 IoT 적용 방안 
(1) 해외 IoT 기술의 재난관리 사례 
(2) 국내 IoT 활용 재난 감시 기술 개발 
(3) 스마트 디바이스의 방재산업 적용
(4) IoT와 재난 데이터를 활용한 지진 예측 분석 플랫폼 
가. 관련연구 
나. 지진 예측 분석 플랫폼
(5) 국내 IoT기반 재난안전 관리체계 구축 MOU
(6) IoT를 활용한 안전관리
(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ICT 융합형 재난안전 R&D 발전방향
가. ICT와 재난안전 R&D의 융합
나. 기술의 정의 
다. 국내외 ICT 융합형 재난안전 R&D 현황 분석
A) 정책 동향 
B) 기술 및 산업동향
C) 국내 R&D 투자현황
라. ICT 융합형 재난안전 R&D의 당면현안과 발전방향
A) 당면현안
B) 발전방향
마.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3) 신사업 모델(New Business Models)
(1) 서비스 제공자로의 변모(Becoming a “Service” Provider)
(2) 운전자습관 연계 보험(Usage-based Insurance)
2. 융합산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의 시기 
3. 지능형 IoT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Enablers 
1) 센서 기술의 발전 
2) 정보 분석 및 판단 지능의 발전 
제 2장 IoT기술을 활용한 전력분야 / 제조(공장)분야 주요동향
1. IoT 기술을 활용한 전력분야 기술 동향
1) 에너지 분야 사물인터넷 전망
2) 전력계통 운영 시스템 현황
3) 전력 분야 사물인터넷 특징 
4) 전력 분야 사물인터넷 활용 가능성
2. 전력 IoT 생태계 조성 추진
1) 한전, 전력 IoT (Internet of Things) 추진현황
(1) IoT 기술의 적용
(2) 전력 IoT Test-bed 
2) 전력 IoT 생태계 조성 추진
(1) 추진 배경
(2) 전력 IoT 개요
(3) 전력 IoT 전략적 생태계 조성 
가. 조직구성(예시)
나. 한전-산업계 전략적 Partnership 구축
다. 향후, 『SPIN』운영 프로세스(예시)
(4) 전력 IoT 사업화 방안
3. IoT의 에너지 부문 활용사례 및 기술동향 
1) 사물인터넷 에너지 부문 적용 가치 
2) 사물인터넷의 응용과 과제
(1) 사물인터넷의 응용
가. 원격 점검, 자산추적 및 첨단제어
나. 예측적 유지보수
(2) 사물인터넷의 영향
가. 단기적 편익
나. 장기적 변화
3) 에너지 부문 사물인터넷의 활용
(1) 스마트그리드 
(2) 석유가스
가. 주요 동인 
나. 석유가스 부문 IoT 적용
다. 가정에너지관리
라. 네트워크 조명(Connected lighting)
4. IoT 기술을 활용한 제조(공장) 주요 동향 분석
1) 국내 제조업의 애로와 당면한 도전
(1) 국내 제조업의 성장 효율성 저하
(2) 글로벌 복잡성과 불확실성 증폭 
(3) 신흥국의 추격과 선진국의 방어 전략
(4) 제조업, 사물인터넷에서 길을 찾다 
2) 사물인터넷이 만드는 제조업의 미래 패러다임
(1) 개념  
(2) 기대 효과
가. 생산성 증가
나. 스마트해지는 제조업 생산방식
A) 스마트 머신 
B) 가상현실 생산 시스템(CPPS)
다. 전제 가치사슬의 실시간 연결
라. 생산기지의 본국 회귀 촉진
마. 대·중소기업 상생기회 
바. 기업 경영
3) 해외 주요국 제조업 육성정책 및 스마트공장 추진동향
(1) 독일 
가. 인더스트리 4.0 창안
나. 스마트공장 구현
다. 히든 챔피언 육성
라. 인더스트리 4.0 재추진
마.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바. 독일 스마트공장의 2개년 추진현황 분석
사. 플랫폼 개발 
아. 우리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2) 미국
가. 첨단 제조 전략
나. 첨단 제조업 육성
다. 스마트제조 선도기업 연합
라. 평가 항목․목표 
마. 우리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3) 중국 
가. 제조업 혁신센터(공업기술연구기지) 건설 프로젝트
나. 스마트 제조업 프로젝트
다. 제조업 기초역량 강화 프로젝트
라. 녹색제조
마. 최첨단설비 혁신
바. 우리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4) 대만 
가. 추진배경 
나. 육성방법 및 세부 지원내용
다. 우리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4) 국내 제조업 육성정책 및 스마트공장 추진동향 
(1) 국내 스마트공장 추진의 현주소
(2) 「제조업 혁신 3.0 전략」 개요
(3)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주요내용
가. 스마트 생산방식 확산
A) 스마트 공장 보급ㆍ확산
B) 8대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C) 제조업 소프트파워 강화
D) 생산설비 고도화 투자 촉진
나. 창조경제 대표 신산업 창출
A) 스마트 융합제품 조기 가시화 
B) 30대 지능형 소재ㆍ부품 개발 및 사업화
다. 지역 제조업의 스마트 혁신
A)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한 제조업 창업 활성화
B) 지역 거점 산업단지의 스마트화
라. 혁신 촉진기반 구축
A) 기업의 자발적 사업재편 지원
B) 융합신제품 규제 시스템 개선
C) 제조혁신을 뒷받침하는 선제적 인력 양성
마. 기대효과
(4) 국내 스마트공장 추진 동향
가. 보급 ∙ 확산
나. 기술개발
다. 인증모델
라. 기술표준
마. 상호호환성 센터 및 테스트베드
바. 부처 간 연계 ∙ 조정
사. 전담추진단 설립
(5) 스마트공장 개념 구체화 및 구현을 위한 플랫폼 개발
(6) 제조업 혁신을 촉진 위한 스마트 제조 R&D로드맵
가. 추진 배경
나. 추진 배경 
A) 추진 체계
B) 수립방안
C) 제조업혁신 키워드
D) 핵심 시나리오
5) 국내외 사물인터넷 제조혁신 사례분석
(1) 인더스트리 4.0의 적용사례
가. 지멘스(Siemens) 암벡(Amberg) 공장
나. GE(General Electric) 푸네(Pune) 공장 
다. 아우토바우록(autobaulog) 프로젝트
(2) 산업인터넷(Industrial Internet)의 적용사례
가. GE의 항공기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
나. ABB 로보틱스 리모트 서비스
다. 인비전 에너지(Envision Energy)의 풍력 터빈 운영 최적화
(3) IoT 적용 제조혁신 사례  
가. 개발 업무 적용 사례
나. 주문/조달 적용 사례 
다. 생산 업무 적용 사례
라. 안전/품질/재고 업무 적용 사례
마. 물류 업무 적용 사례 
바. 자산관리 업무 적용 사례 
사. 안전관리 업무 적용 사례 
아. 에너지 관리 업무 적용 사례
자. 판매/고객관리 업무 적용 사례 
(4) 국내외 스마트공장 구축 성공사례
6) 스마트 공장 기술동향과 특허분석
(1) 기술 배경과 이슈
(2) 스마트공장 기술구성
가. IIoT 관련 기술구성
나. CPS 관련 기술구성
(3) IIoT관련 기술동향
(4) CPS관련 기술동향
(5) 자동화용 센서 기술
(6) 특허동향
가. IIoT 관련 특허동향
나. CPS 특허동향
다. 대응전략 및 실천과제 
(7) 국내 기술 수준 
7) 스마트공장 국제 표준화 활동  
(1) 국제표준 선점
(2) 국제 표준화기구
가. IEC SG8
나. IEC TC 65
다. ISO TC 184 
라. oneM2M
마. IEEE P2413
바. 독일 Platform Industrie 4.0
사. 미국 스마트제조 플랫폼
(3) 한국의 스마트공장 표준화 추진계획
가. 표준 라이브러리․로드맵 등
나. KS 도입 적용
다. 표준화 포럼 
(4) 제언 
8) 스마트공장(제조) 대응방향
(1) 한국형 스마트공장 모델 수립, 정책적 지원방향 구체화
(2) 업계의 적극적 제조혁신 참여, 대·중소기업의 협력수준 강화
(3) ICT 융합 분야 유망 업체 발굴, 금융지원 인프라 보완
(4) 글로벌 한국 기업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 
(5) 개방과 통합 역량, 그리고 상상력이 성공 포인트 
제 3장 IoT기술을 활용한 의료 / 헬스케어 분야 주요동향
1. 디지털-헬스케어 IoT 융합 산업동향
1) 배경 및 목적 
2) 헬스케어 산업과 사물인터넷(IoT)의 융합
(1) 변화와 혁신 
(2) 헬스케어와 IoT의 융합에 따른 변화
가. 정보 및 분석/ 자동화 및 통제 
나. 의학연구실, 환자의 가정 및 병원
(3) 헬스케어와 IoT 융합의 장애물과 해결 방안
가. 3가지 장애물
나. 해결 방안
2.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기술 동향
1)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 동향
(1) 스마트폰 기반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동향
(2)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동향
가. 휴대용 디바이스
A) LG
B) 마이크로소프트
C) Nike+
D) Fitbit 
E) Polo Tech  
F) Lively
나. 신체 부착형 디바이스 
다. 이식/복용형 디바이스(Eatable devices)
(3)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독거노인 관리시스템
(4) 기타 사물인터넷과 건강관련 제품
가. 24eight
나. 삼성 
다. 국내 통신사
2) 사물인터넷-스마트 헬스케어 적용 기술별 동향
(1) 표준화 동향
가. WBAN/WPAN/WLAN 표준 기술 동향
나. ISO/IEEE 11073 PHD 표준 기술 동향
다. Health Level Seven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기술 동향
라. Continua Health Alliance 표준 기술 동향
마. Digital Imaging and Communi cation in Medicine 표준 기술 동향
바.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표준 기술 동향
사. IoT 기반 헬스케어·웨어러블 국제표준 및 오픈소스 공개 
(2) 무선통신 전송기술
(3) 생체신호 측정 센서기술
가.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중채널 생체신호 측정
A) 심전도 및 PPG 생체신호
B) 다중채널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구성
C) 다중채널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
D) 다중채널 생체신호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사물인터넷기반 헬스케어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가. ASTM E31.20
나. ISO/TC215 WG4
다. HL7 SIG
(5) 스마트 헬스케어 센서 기술
(6)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와 기술격차
(7)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시킨 효과적인 운동 관리 시스템 개발
(8) 사물인터넷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oneM2M기반 ISO/IEEE 11073 DIM 전송구조 설계 및 구현
가. 관련 연구 
A) U-헬스케어 시스템 구성
B) ISO/IEEE 11073 PHD
C) CoAP
나. 시스템 구성 
A) CoAP 서버
B) 헬스케어 데이터 콜렉터
C) 상태관리자
다. 헬스케어 서버 
라. 신호 흐름도 
마. 구현 환경
바. 성능 평가
사. 결론 
3) 스마트 헬스케어의 플랫폼 기술 동향 
4) IoT, 빅데이터, SNS로 진화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동향 
3. 분야별 헬스케어 산업의 사물인터넷 활용 사례
1) 의료서비스 부문
(1)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2) 고령층 홈케어
(3) 만성질환 치료 및 관리
2) 의료 관련 산업 부문
(1) 의료기관 업무흐름 혁신
(2) 의료기관 위생관리 시스템 혁신
3) 개인(소비자) 부문
(1) 일반 소비자 대상 건강증진 제품 및 융합 서비스 개발
(2) 기존 제품 스마트화 
4) 위치 추적 센서 기반의 사물인터넷 기술 도입 사례
(1) 어벤추라 병원 
(2) 플로리다 호스피탈 셀레브레이션 헬스
(3) 메소디스트 병원(OhioHealth Riverside Methodist Hospital)
5) 디지털 및 웨어러블 단말 기반의 사물인터넷 도입 사례
(1) 릴 지역 의과대학 부속병원
(2) 인도의 매니팔 병원 
(3) 도쿄여자의대
4. 변화하는 헬스케어 트렌드와 전망
1) 디지털 병원 
2) 원격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3) 웰니스(Wellness)와 디지털 헬스케어
4) 스마트 헬스케어 
(1) SNS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2) Health-tainment 서비스
(3) 글로벌 기업의 신규 사업 각축장이 되고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4)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발전의 전제 조건
5) 적정의료와 스마트 헬스케어
6)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와 O2O의료
7) 의료와 모바일의 융합모델 부상 
(1) mHealth 개념 및 시장 현황 
(2) 미국의 주요 mHealth 창업기업 현황
(3) Vodafone의 mHealth 사례
(4) 국내 mHealth 적용 사례
(5) 시사점 및 전망
5. 주요국 ICT 융합 의료산업 전략 및 제도 
1) 개요 
2) 의료정보화 정책 방향 
3) 구체적 ICT 활용 방안
(1) PHR 필요성
(2) PHR 활용 사례
(3) PHR 실현 과제
(4) 모바일 서비스
4) 주요국의 ICT 융합 의료산업 추진전략 
(1) 추진 배경과 목적
(2) 추진전략과 주요 수단
가. ICT 융합 신산업정책 
나. 스타트업 활성화
다. R&D 혁신 클러스터
라. 의료정보 활용 촉진
마. 의료정보 보호체제 개선
바. 인센티브를 통한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사. 해외 진출
5) 우리나라의 ICT 융합 의료산업 추진전략
제 4장 Io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카 주요기술 및 서비스 동향
1. 스마트차량과 자동차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2. 자동차 사물인터넷 주요 기술 및 서비스 동향 
1)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와 V2X 통신
(1) 커넥티드 카 서비스 개발 동향 
가. 연결성(Connectivity)
나. V2X 통신 네트워크 
다.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 기술
A) 유럽 동향
B) 미국 동향
C) 국내 동향 및 전망 
D) 향후 시장 전망 및 규모 
라. 클라우드 접속 서비스
마. LTE(3G 이동통신)
바. 5G가 적용된 스마트자동차의 동향 및 기술
A) 선정 배경
B) 기술 개요 
C) 시장 예측 
D) 주요 기술 
E) 주요기업의 R&D현황
F) 결론 및 전망
사. 스마트카 네트워크 표준화 동향
A) ISO TC22 표준화 동향
B) 차량용 이더넷 산업표준화 동향
C) ISO TC204 표준화 동향
(2) 커넥티드 카 개발 관련업체 동향 
2) 자율주행차
(1) 자율주행차의 원리 
(2) 자율주행 발전 단계 
(3) 스마트카의 무인주행 원리
(4)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현황
가. 국외 
A) Mercedes-Benz
B) Volvo 
C) Renault 와 Audi
D) GM 
E) 포드 
F) Nissan
G) Toyota
H) Google
나. 국내
A) 기아자동차 
B) 현대모비스 
C) 한양정보통신 
다. 자동차업체-IT 업체-혁신 스타트업간 협력
라. 자동차업체와 IT 업체간 스마트카를 둘러싼 경쟁
마. 자율주행차 경쟁력 비교
(5)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기
(6) 자율주행차와 해결과제  
가. 제조원가 측면 
나. 인프라 측면 
다. 기술적 측면 
라. 해킹 이슈  
마. 보험 및 법적 책임 측면
3) 클라우드 접속 서비스
4) 운전자 인터랙션 서비스
5) 차세대 텔레매틱스 서비스
(1) 글로벌 자동차와 통신사의 제휴 
(2) LG전자, 텔레매틱스 분야 1위
3.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플랫폼 기술 및 산업동향 
1)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 
(1) 인포테인먼트의 시작과 현재 동향 
가. 모바일 AP 업체, 자동차 시장 진입에 적극적
나. 모바일과는 전혀 다른 사용 환경 
A) 혹독한 사용 환경, 엄격한 안정성 
B) 2년 사용 VS. 10년 사용 
C) 기존 자동차용 반도체 업체의 탄탄한 공급망 
D) 고사양보다 안정성 
다. 자동차와 모바일 융합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쟁구도 
(2) 인포테인먼트 구성
(3) 차량용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 구현
가. 다채널 영상의 재생
나. 멀티 인스턴스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
다. HMI 인터페이스
라. 시스템 구현
마. 성능 평가
바. 결론 
2)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기술
(1) Android(Google)
(2) Carplay(Apple)
(3) Window in the car(MS)
(4) GENIVI(GENIVI Alliance)
(5) AGL(Tizen)
3)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기술 및 시장구도 전망
통계(도표) 목차

 

 

 

배송안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환불안내

 

- 상품 청약철회 가능기간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 입니다.

- 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도서의 파손은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보기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 IOT기반 정부육성 핵심 산업별 응용기술/응용사례 및 R&D전략
닫기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닫기

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