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 [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공유
정가
350,000
판매가
315,000
구매제한
최소 1개
구매혜택
할인 : 적립 마일리지 :
배송비
무료
택배
방문 수령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에이스테크노타워10차 407호
상품코드
1000129648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82쪽 (A4)
ISBN
979-11-5862-065-3 93500
제조일
2017-11-23
구성

상품상세정보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정책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주거, 도시 등 모든 생활공간이 스마트화되는 스마트시티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마켓&마켓은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6년 4246억달러(약 478조원)에서 2022년 1조 2017억달러(약 135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24시간 가동되는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 원격으로 교통, 방범, 방재, 환경, 시설물관리, 융·복합서비스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도시 모델이다. 자율주행차, 공간정보,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기술이 집약된 것이 특징이다.

 

 

 

 국내의 경우 U-City 사업이 출범 초기 기대만큼 자리를 잡지 못하였지만,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기에 가장 좋은 플랫폼인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보이고 있다.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검증을 할 수 있는 리빙랩(Living Lab) 개념의 실증단지인 스마트 커넥티드 타운을 조성한다고 발표하였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가 될 사업지 두 곳을 선정하기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1000억원의 예산을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정부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육성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최근 쿠웨이트 신도시건설 프로젝트에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수출하였는데 아시아, 중동 지역을 비롯해 미주 지역에서도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들이 지속적으로 발주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미래의 핵심 사업 분야로 이미 IBM·시스코·지멘스·구글 같은 세계적 기업들이 ‘스마트시티’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주요 선진국 간에도 선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시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각 지자체들이 IT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맺고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 한 차원 높은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  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1편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정책/시장동향을 살펴 해외진출 전략을 분석하였고 2편에서는 IOT플랫폼, 빅데이터(공간정보), 도시안전망 연계서비스, 지능형교통시스템, 에너지, 물·환경관리, 거버넌스 분야로 세분화하여 각 분야별 주요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Ⅰ편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해외진출전략
제 1장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 시장동향
1. 스마트시티의 개념 및 발전과정
1) 도입 배경
(1) 도시문제
(2) 도시정비의 문제점
2) 국내외 스마트시티 개념
3) 스마트시티 발전과정
4)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5) 스마트시티와 일반도시와의 차별성
2. 국내외 스마트시티 정책동향
1)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현황
(1)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현황
(2) 스마트시티 관련법의 제정 및 변화
가.「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제정
나. U-City 건설법 →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법」 전면 개편
(3) 스마트시티 향후 정책방향
2) 글로벌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동향
(1) 미국
가. 스마트시티 핵심 전략
나. 주요 정부사업
다. 주요 민간사업
(2) 중국
(3) 일본
(4) 유럽
3.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동향 및 발전전망
1) 시장동향 및 전망
2) 스마트시티 발전 전망
(1) 보편적 도시발전모델을 위한 3대 발전과제
가. 객관적 효과 검증과 모델 정립
나. 구축비용 절감
다. 신뢰성 확보
(2) 스마트시티 발전단계
가. 1단계 : 기반구축 단계 (Infrastructure)
나. 2단계 : 수직적 구축 단계 (Vertical Grid)
다. 3단계 : 수평적 구축 단계 (Horizontal Grid)
라. 4단계 : 도시플랫폼 단계 (City Platform)
마. 5단계 : 미래도시 단계 (Future City)
3) 국내 스마트시티 투자현황
제 2장 국내외 스마트시티사업 개발현황
1. 국내 분야별 스마트시티 개발현황과 사업분석
1)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현황
(1) 국토교통부의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2) u-서비스지원 사업 (안전행정부, 미래창조과학부)
(3) 행정자치부 관련 사업
(4) 미래창조과학부 관련 사업
(5) 산업통상자원부 관련 사업
2) 국내 스마트시티 개발현황
(1) 세종시 구축사례
(2) 인천시 송도 구축사례
(3) 서울시 구축사례
(4) 부산시 실증단지 조성
가.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
나. 운영체계기반 조성
다. 도시유망서비스
(5) 고양시 실증단지 조성
가. 추진배경
나. 사업 목적
다. 사업 내용
3) 국내 통신사들의 스마트시티 사업현황
(1) KT, 대전시와 NB -IoT IoT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2) 송도 ‘트리플 스트리트’에 다양한 IC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빌딩
(3) 통신사와 지자체간 스마트시티 협력 확대 움직임
가. LGU+
나. SKT
2. 해외 스마트시티 개발현황과 전략분석
1) 미국
(1) 스마트시티 전략
(2) 미국 스마트시티 관련 프로젝트
가. GCTC 프로젝트
나. 사이드워크랩 프로젝트
A) [LinkNYC] 뉴욕시 전체에 24시간 무료 와이파이 제공 추진
B) [Urban Engines] 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및 자율운전 기술 적용
C) [Building Architecture] 블록처럼 해체⦁이동 가능한 건축 구조 개발
D) [Renewable Energy]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스마트시티와 연계
E) ‘Sidewalk Labs' 프로젝트가 스마트시티에 미치는 영향
F) 시사점
다. Smart City Challenge 프로젝트 및 개발현황
A) 추진과정
B) 제안서의 주요 내용
C) 콜롬버스시의 ‘SMARTCOLUMBUS’
2) 중국
(1) 중국 스마트시티 투자계획
(2) 중국 스마트시티 주요 시범사업
(3) 중국 스마트시티 산업발전 및 한중간의 합작방안
가. 중국이 스마트시티 산업발전을 추진하는 목적
나. 중국의 도시 클라우드 시장현황
다. 한중간 합작방안
(4) 부처간 다양한 교류
(5) 자금 조달
3) 일본
(1) 일본 스마트시티 전략
(2) 해외시장 진출
(3) 도쿄의 2020년 스마트 도시화 사업
4) 유럽연합(EU)
(1) 유럽연합(EU)의 스마트시티 전략
(2) 스페인 바르셀로나
가. 7가지 스마트시티 솔루션
나. 기업참여 현황
다. 22@Barcelona 프로젝트
라. 스페인 내 주요 스마트시티 구축 현황
(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가. 프로젝트 추진
나. 개방형 프로세스를 통한 공공-민간-시민 협력 유도
(4) 프랑스
가. 니스
나. 리옹
(5) 이탈리아
가. 이탈리아 스마트시티 사업전망
나. 스마트시티 ‘밀라노’
다. 이탈리아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목표
A) 북부와 남부의 균형 발전
B) 스마트 시티즌, 시민이 힘이다
C) 10년 후를 내다보는 장기적 접근 필요
라. 한국과의 협력사업
(6) 오스트리아 비엔나
가. 비엔나 프레임워크 전략
나. 참여 기업
다. 오스트리아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2016)
(7) 핀란드
가. Smart Kalasatama 프로젝트
(8) 스웨덴
가. 스마트시티 수립 배경
A) 시장 규모 확대 전망
B) 유럽 전략적 목표 달성
C) 스마트 시티에 적합한 스웨덴 도시 환경 및 요소
나. 스마트 도시 달성을 위한 스웨덴 활동 정책
A) 연구 및 혁신 활동
B) 연구 및 혁신 활동지원 및 조율 활동
다. 스마트시티 주요 프로젝트
A) E-government
B) Smart traffic System
C) Green IT
D) Open Data
라. 말뫼 세부 현황
A) Hack your energy
B) Green public procurement
C) Malmö Initiative / Malmö Panel
D) Local Climate Contracts
(9) 덴마크 코펜하겐
가. 코펜하겐의 'Connecting Copenhagen' 프로젝트
나. 코펜하겐 시내에 380개의 스마트 교통신호등 설치 (2016)
(10) 체코 프라하
가. 스마트 프라하 개요
나. 스마트 프라하 6가지 핵심 분야
다. 주요 프로젝트
A) 스마트 주차 시스템
B) 스마트 가로등 프로젝트
C) 스마트 벤치 프로젝트
D) 스마트 쓰레기통 및 수거차량 프로젝트
E) 대중교통 통합 결제 시스템(MOS: Multikanálový odbavovací system)
라. 스마트 프라하 프로젝트 진행절차
(11) 유럽 내 스마트시티의 시사점
(12) 유럽 스마트시티 성공적 프로젝트 유형 분석(37개 도시 50개 프로젝트 선정·분석)
가. 함부르크, BIQ House 빌딩 (2014)
나. CityMobil2 : 무인 자동 운행 버스 테스트 (2016년 초)
다. 보행자 도시를 위한 ‘슈퍼블록’ 정책 시행 (2017)
라. 오픈 글라스고 (스코틀랜드) 개시
5) 영국
(1)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2) 데이터 센터, 통제 센터, 지능화 가로등, 미래 도시 연구소 등 설립
(3) 개인정보 보안
(4) 영국 버밍엄 : 교통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도구’ 개발 및 테스트
6) 싱가포르
(1)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프로젝트
(2)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프로젝트를 통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구현
(3) 싱가포르 Infocomm Media(ICM) 2025 프로젝트 추진
(4) 정부기술 진흥원 및 스마트 국가 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가 디지털 정보 전략 수립
(5) 싱가포르(Virtual Singapore) 프로젝트 추진
(6) 싱가포르 ‘사물인터넷 학교’ 프로그램
(7) 스마트네이션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통한 혁신성 및 인적자원 역량 개발
(8)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 추진
7) 베트남
(1) 추진 배경 및 환경
(2)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가. 교통
나. 환경
다. 통신
라. 행정
마. 서비스
바. 상수도
사. 스마트 기술
8) 말레이시아
(1) 말레이시아의 도시화와 스마트시티
(2) 말레이시아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개념과 방향
(3) 말레이시아 주요 지역별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
가. 사이버자야(Cyberjaya)
나. 슬랑오르(Selangor)주
다. 조호르(Johor)주
라. 말라카(Melaka)주
마. 페낭(Penang)주
9) 남미
(1) 멕시코
가. 마데라스 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나. 과달라하라 디지털 창조도시(CCD: Ciudad Creativa Digital) 프로젝트
다. 데이터 수집 관련 품목 높은 성장세 예상돼
(2) 칠레
(3) 콜롬비아
(4) 브라질
10) 인도
(1) 개요
(2) 인도정부, 스마트도시 지원
(3) 인도정부, 해외투자 유치
(4) 스마트시티 주요 추진체계
(5) 자금조달체계
(6) 인도 스마트 시티의 미래, 팔라바시티
11) 캐나다
(1) 벤쿠버의 그린니스트 시티 2020 액션플랜
12) 홍콩
(1) 홍콩의 E-government 서비스화 사업
13) 쿠웨이트
(1) 쿠웨이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배경
가. 쿠웨이트, 주택난 심각
나. 인구밀집 및 교통체증 나날이 증가세
(2) 쿠웨이트 ‘South Saad Al-Abdullah City’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가. 중동 최초의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시티 Saad Al-Abdullah City
나.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스마트시티
(3) 쿠웨이트에 한국산 스마트시티 1호 수출
14) 사우디아라비아
(1)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
(2) 국내 기업 해외진출
(3) IoT 네트워크 구축 현황: NB-IoT
가. Zain, Nokia와 Mina 지역 NB-IoT 시범 사업 완료
나. Zain-Nokia, 스마트시티 및 5G 사업을 위한 포괄적 협약 체결
(4) IoT 네트워크 구축 현황: LoRaWAN
15) 글로벌 통신사들의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1) AT&T, 전략적 제휴 통한 지능형 조명 및 스마트 교통 솔루션 제공
(2) BT, Milton Keynes : Smart Data Hub Initiative 동향
(3) Verizon의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4) Singtel의 스마트시티 사업현황
3. 스마트시티 관련 R&D 테스트베드 사업의 운영관리 방향
1) 개요
2) 배경
(1) 국내 R&D사업의 변화
(2) 국내외 R&D 테스트베드사업
가. 국내
A) ITS 사업
B) U-Eco City 사업
C) 자율주행자동차 테스트베드 사업
나. 해외
A) 미국
B) EU
C) 일본
D) 중국
(3) 법·제도 검토
3) 운영관리 필요요소
(1) 운영관리 요소별 운영관리 실태
(2) 운영관리 요소 도출
4) 필요요소별 운영관리 방향
(1) 운영관리 범위
(2) 운영관리체계 : 주체간 역할 분담, 절차 등
(3) 시설물 운영관리
(4) 운영관리계획 : 연계·통합 등
제 3장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구축과 해외진출 전략
1.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구축과 해외진출 전략
1)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 R&D 추진방향
(1) 도시 인프라의 스마트화
(2) 도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유통체계 확립
2) 한국형 스마트시티 고도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
3)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강점 및 약점
(1) 국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강점 및 약점
(2) 건설부문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강점
가. 신도시 개발방식의 스마트시티 구축 및 관리·운영 경험 풍부
나. 법제도 및 체계적 계획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다. 해외 개발도상국들의 높은 평가
(3) 건설부문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약점
가. 해외 시장에 대한 정보의 부족
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부족
다. 초기 재원 마련의 어려움
라. 실효성 있는 스마트시티 지원 체계 필요
(4) 솔루션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강점
가. 국내의 우수한 ICT 인프라
나. 해외의 우수한 평가
다. 정부의 해외수출 지원
(5) 솔루션 측면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의 약점
가. 다양한 서비스 솔루션의 부족
나. 핵심요소기술력 부족
다. 스마트시티 관련 정보의 구축 및 활용 미흡
라. 스마트시티 서비스 솔루션 성과 관리 미흡
마. 스마트시티 서비스 비즈니스모델의 다양성 부족
4)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추진과 전략구상
(1)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추진
(2) K-Smart City 수출추진단 향후 추진방안
가. 다각적 수주지원 활동 및 체감형 홍보 추진
나. 국내 스마트시티 고도화로 모범사례를 축적
다. 미래 수출상품군 변화
(3)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기본구상
2. 국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현황
1) 해외도시개발 수출 현황
2) 해외도시 컨설팅 및 마스터플랜 수출현황
3) 스마트시티 관련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1) 교통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2) 환경·에너지 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3) 수자원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4) 행정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5) 방범·방재 부문 솔루션 해외진출 현황
3. Top 5 스마트시티 진입 및 이니셔티브 확보전략
1) 스마트시티 인프라 투자의 의사결정 지원 과정
2) 스마트시티 인프라 성과지표 모델
3) 국내 실정에 적합한 스마트시티 인덱스를 만들기 위한 SWOT 분석
4) 스마트시티 인프라 건설을 위한 성과지표
(1) 기존 스마트시티 관련 성과지표의 문제점
(2) 스마트시티 인프라 건설을 위한 기술 인덱스 분류

 

 

 

Ⅱ편 스마트시티 기술요소별 주요동향
제 1장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1. 스마트시티 중요 요소기술
1) 고속성장 중인 스마트시티
2) 스마트시티 요소기술
(1) CPS(Cyber-Physical System)
가. 정의
나. 동향
다. 스마트시티 적용방향
(2) 사물인터넷(IoT)
가. 정의
나. 동향
다. 스마트시티 적용방향
(3) 빅데이터 (Big Data)
가. 정의
나. 동향
다. 스마트시티 적용방향
(4) BIM
가. 정의
나. 동향
다. 스마트시티 적용방향
(5) GIS
가. 정의
나. 동향
다. 스마트시티 적용방향
3) 요소기술기반 스마트도시 인프라구축 방향
(1) 인프라 중의 인프라: CPND 통합 기반 구축 방향
(2) 도시기반시설의 초연결-초지능-초융합화
(3) 스마트시티 인프라 투자 추진 이슈 및 개선방향
2.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구축동향과 사례분석
1) 초연결과 사물인터넷
(1) 초연결의 의미와 영향
가. 초연결의 의미
나. 초연결의 영향
A) 사람·사물·장소 간 연결로 인한 영향
B) 연결로 인한 경제적 효과
2)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추진동향
(1) 국내동향
(2) 해외동향
(3) IoT 표준경쟁
(4) 주요 기업의 기술(제품) 동향
3) 국내 사물인터넷 실증사업
(1) IoT 실증사업 지원기관
가. K-ICT 사물인터넷(IoT) 오픈랩
나. IoT 실증사업 추진단
(2) 국내 도시별 IoT 실증단지
가. 대구시
A)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사업단
B)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방향
C) 글로벌 헬스케어 센터 구축
D) 헬스케어 실증서비스
E) 법/제도 개선 방안 수립
나. 부산시
다. 세종시
라. 경기도 화성동탄신도시: 국내 최초의 스마트도시
마.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국내 최초 민관협력 스마트도시
바. 경기도 안양시 : 타 기관들과의 적극적 정보 연계
4) 해외 IoT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현황
(1) 대륙별 스마트 시티 구축 동향
가. 유럽
나. 아시아
다. 북미
라. 중남미
마. 아프리카
5) IoT 글로벌 파트너십 고도화 방안
(1) 국내 IoT 실증단지와 해외 스마트 시티 연계/협력
(2) 국가별 스마트 시티 구축 전략 및 목표
(3) IoT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대상 국가 및 단지
3. 개방형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시티 시스템 추진방향
1) 국내외 스마트시티 개방형 IoT 플랫폼 추진현황
(1) 국내
(2) 해외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3) 해외 주요업체 관련기술 동향과 국가별 적용사례
가. IBM
나. 시스코
다. SAP
라. 슈나이더일렉트릭
A) 정보, 에너지 융합기술이 도입되는 개방형 플랫폼 기술
마. 다쏘시스템
바. 마이크로소프트
사. 기타 기업
(4)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시티 플랫폼 개발동향
2) 스마트 시티 개방형 데이터와 OPEN API 플랫폼
(1) 공공교통 API 프레임워크
(2) 서비스앱 개발 API - CitySDK
가. Open311
나. Linked Data
다. Tourism API
(3) Google Maps API
(4) IEEE Smart Cities Initiative
(5) 민간 부문
(6) 공간정보 오픈 API
가. 서울시 북촌 IoT 시범사업
A)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B)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확대
3) 국내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1)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가. 공통플랫폼 (개방형 스마트 시티 플랫폼)
나. 응용플랫폼 (개방형 스마트 시티 플랫폼)
다. 개방형 표준 플랫폼
라. 기존 U-City 및 타 플랫폼 상호연계
마. 글로벌 산업 표준 연동
(2) 서비스 구성도
(3) 기대효과
4) 국내 ‘U-City 통합플랫폼’
5) 외부개방데이터 연계를 통한 BIM/GIS 상호운용 플랫폼 확장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스마트시티 플랫폼 관련 사례
(2) BIM/GIS 상호운용 플랫폼
(3) 플랫폼 확장을 위한 외부데이터 연계
가. V-World 서비스와 연계
나. 서울 열린 데이터 서비스 연계
다. 공공데이터포탈 서비스 연계
라. 공공데이터 연계를 통한 플랫폼 확장
6) 텔레스크린 서비스플랫폼 표준화동향 및 시장성 분석
(1) 스마트 시티 서비스플랫폼의 가치
(2) 표준화 동향
가. 개요
나. 표준화 목표
(3) 시장성 분석
가. 글로벌 시장동향 분석
나. 국내 시장동향 분석
4. 4차 산업혁명 ICBM 기술현황과 스마트시티 관련 플랫폼 적용사례
1) 4차 산업혁명시대
(1) 4차 산업혁명의 도래
(2) 4차 산업혁명의 특징
2) ICBM 기술의 도래
(1) ICBM 기술 정의
가.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나. 클라우드
다. 빅데이터
라. 모바일
3) ICBM 기술 플랫폼 및 적용사례
(1) 행정안전부: 스마트재난안전시스템
(2) 지스케일러: 클라우드 보안
(3) 월드센싱: 실시간 주차모니터링 시스템
(4) 기상청: ICBM기반 기상융합서비스
(5) 행정자치부: ICBM 기반 스마트헬스 추진전략
제 2장 공간정보 빅데이터/도시안전망 연계서비스 활용사례 분석
1. 스마트시티 산업의 빅데이터 비즈니스 실태
1) 사물인터넷 기반 빅데이터의 등장 배경
2) 스마트시티 산업의 빅데이터 유형 분석
3) 스마트시티 산업의 빅데이터 비즈니스 실태 분석
2.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분야 주요이슈사항과 솔루션
3.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공간정보 기반 IoT와 빅데이터 활용사례
1) 공간정보 현황과 과제
(1) 공간정보의 개념과 중요성
(2) 최근 공간정보 관련사업 추진 동향
(3) 공간정보 정책의 과제
2)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의 융합
(1)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의 관계
(2)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 융합
3) 공간정보 기반 사물인터넷
(1) Geo-IoT
(2) Geo-IoT의 영역
4) 공간정보 기반 사물인터넷 활용사례
(1) 공간정보와 사물인터넷 융합 활용
(2) Geo-IoT 활용사례
가. 자율주행자동차
나. 서비스 및 비즈니스 전략
다. 시설물 관리
5) 국내 사물인터넷 실증단지 사례
(1) 실증단지 개요
(2) 사업추진
6) 해외 공간정보정책 및 사업 추진 동향
(1) 해외 공간정보정책 동향
가. GIS기반의 공간정보 정책
나.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정보 정책
(2) 세계 공간정보산업 규모
가. 시장규모
(3) 공간정보산업 동향
(4) 해외 공간정보화 사업 추진 동향
7)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에 대해 국내외 연구동향
4.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활용 동향과 전망
1) 초연결 시대 공간정보 활용수요
(1) 고정밀 위치정보
가. 위치정보기술 동향
나. 위치정보 활용 수요 전망
(2) 고정밀 전자지도
(3) 실내 공간정보
가. 실내 공간정보의 필요성
나. 실내측위기술 동향
다. 실내측위시스템의 시장 및 활용 전망
라. 3D 실내공간정보 구축
(4)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 정보
(5) 지능공간(Intelligent Space)
(6) 사물인터넷 관련 공간정보 표준
2) 공간정보 제도 및 문화의 변화
(1)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
(2) 보안
3) 국내 공간정보 발전 전략
(1) 공간정보
(2) 공간분석
(3) 법제도
4) 초연결 시대에 대응한 공간정보 정책방향
(1) 스마트 도시와 공간정보의 연계
가. 스마트 도시와 공간정보의 연계방안
(2) 사물인터넷과 공간정보 연계(Geo-IoT)
가. Geo-IoT 표준화
A) OGC SensorThings API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 참여
B) OGC Testbed 프로그램 주도
C) Geo-IoT의 표준 프레임워크 구축
(3) 고정밀 GPS 인프라 구축
(4) 공간의 지능화(Intelligent Space)
(5) LOD 기반 공간데이터 연계
(6) Geo-IoT 생태계 조성
(7) 공공과 민간의 역할 정립 및 협력체계 마련
5. 스마트시티 안전관리 분야 주요이슈사항과 솔루션
6.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시티 구축방안
1) 다양한 도시문제와 안전한 도시조성의 필요성
2) 해외 도시안전분야 추진동향
(1) 범죄예방
(2) 도시인프라⦁도시기술
(3) 재난⦁에너지
3) 국내 도시안전망과 스마트시티 연계 서비스
(1) 유비쿼터스형 국민중심 안전망 구축 : U-City 운영센터-112상황실 연계
(2) 유비쿼터스형 국민중심 안전망 구축 : 119 긴급 출동 U-City센터 연계
7. 재난안전을 위한 사회기술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방안
1) 스마트시티의 재난안전과 사회기술
(1) 스마트 시티의 재난안전
(2) 스마트 시티의 사회기술
(3) 재난에 대한 주민의 심리
2) 스마트시티의 재난안전과 주민 자조방안
(1) 사회기술 기반의 주민자조 방안
(2) 사회기술 기반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3) 사회기술 기반의 재해 시뮬레이터
3) 국내외 재난안전 분야 스마트시티 사례
(1) 해외
(2) 국내
4) 도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안전 도시 구축사례
(1) 재난안전부문의 빅데이터 매쉬업 활용사례
가. 국내
나. 해외
(2) 안전도시 구축 사례
가. 국내
나. 해외
다. 사례분석 시사점
5) 수요자 중심의 Smart City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1) 데이터 매쉬업을 통한 재난안전 유형 판별
가. 분석 개요
나. 분석 방법론
(2) 데이터 매쉬업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 시나리오
가. 서비스 최적화를 위한 DB 구성
나. 지역별, 개인별 속성 및 재난안전 체감 항목 정의를 통한 재난안전 유형 확인
A) 가구 유형 파악
B) 재난안전 유형 군집화
C) 재난안전 유형별 맵 구축
D) 가구 유형별 맞춤형 안전도시 에코 시스템 구축
제 3장 지능형교통시스템 개발현황과 구축사례
1. 스마트시티 교통분야 주요이슈사항과 솔루션
2. 스마트시티 구축과 교통부문 대응전략
1) 스마트 교통
2) 스마트시티 교통부문 R&D동향과 추진사례
(1) 지능형교통체계(ITS) 산업 및 서비스 동향
(2) 해외 차세대 ITS 연구개발 현황
가. 유럽
A) DriveC2X
B) FOTsis
C) SimTD(Safe and Intelligent Mobility Test Field Germany)
나. 미국
A) IntelliDriveSM
B) Connected Vehicle
C) Safety Pilot
다. 일본
A) DSSS (Driving Safety Support System :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B) ITS SPOT
(3) 국내 차세대 ITS 연구개발 현황
가. 스마트하이웨이 사업
나. 첨단안전자동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A) 주요 평가기술 애플리케이션
B) 본 과업의 적용 가능성
3) 스마트시티 교통체계 구상
4) 스마트시티를 위한 교통서비스
(1) 스마트 커넥티드 에코 모빌리티
(2) 이용자 요구관리
(3) 대중교통
(4) 통합교통관리
5) 스마트시티의 교통부문 추진전략 및 대응방안
(1) 새로운 교통서비스 및 모델 개발 전략
(2) 지속가능한 교통기술 개발 전략
(3) 스마트시티 교통산업 활성화 전략
(4)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5) 법제도 정비 및 구축지원 전략
3. 빅데이터/IoT 기반 스마트교통 개발동향 및 실증분석
1)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교통 실증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중국
(5) 구글의 자율주행 자동차
2) 도시모빌리티와 ITS 빅데이터의 특성
(1) 도시모빌리티
(2) ITS 빅데이터의 특성
가. ITS 교통정보 수집기술의 발전
나. ITS 교통정보 수집 및 가공 항목
(3) ITS 교통정보의 특성과 장점
가. ITS 교통정보의 특성
나. ITS 교통정보의 장점
3) ITS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사례
(1) ITS 빅데이터 국내 활용사례
가. 서울시 교통정보 종합관리시스템
나. 서울시 심야버스
다. 서울시 택시 매치메이킹
라. 대전시 교통데이터웨어하우스
마. 부산시 해운대구 주정차위반 분석
바. 부천시 교통정보센터
사. 전국 교통혼잡지도 개발
아. 기타 ITS 자료 활용
(2) ITS 빅데이터 국외 활용사례
가. FHWA Mobility Monitoring Program
나. California PeMS
다. 기타 국외 사례 검토 요약
(3) 국내와 국외의 활용사례 비교
4) 국내 ITS 빅데이터 실증분석
(1) 대전광역시 도로 모빌리티 분석
가. 도로 링크의 연도별 이동성 변화 평가
나. 도로 링크의 연도별 신뢰도 변화 평가
다. 도로 병목지점에 대한 상세분석 : 대전시 ‘한밭대교네거리’
(2) 부천시 대중교통 모빌리티 분석
가. 승용차와 대중교통 모빌리티 비교
나. 첨두 시간대의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 평가
(3) 도로 모빌리티에 대한 도시 간 비교
가. 분석의 개요
나. 분석결과 1: 일평균 혼잡지속시간(TTI) 비교
다. 분석결과 2: 일평균 혼잡지속시간(TTI)의 시계열 변화
(4) ITS 빅데이터 활용도 개선방안
가. ITS 빅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평가지표와 교통정책 활용
나. 개선방향
A) 기존 첨단교통정보센터의 역할 재정립
B) 순차적인 ITS 빅데이터 운영・관리 체계 도입 추진
C) ITS 빅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된 모니터링 분석 툴 개발・보급
D) 중앙정부의 ITS 빅데이터 처리 및 관리에 대한 표준 마련
E) ITS 시스템의 초기 설계단계부터 ITS 빅데이터의 활용을 반영
F) ITS 빅데이터 자료 분석을 위한 전문 인력 강화
4. 스마트시티 구축을 통한 교통수단 간 연계강화 기술현황
1) 교통수단 연계 필요성
(1) 교통체계 개선 방향
(2) 지능형 교통체계 서비스
2) 교통수단 연계 강화를 위한 통합 운영체계 정보 센싱 기술
(1) 교통분야 센싱기술 현황
(2) 교통분야 센싱기술 적용 한계
(3) 활용사례
(4) IoT와 커넥티드 기술을 이용한 커넥티드 카
3) 스마트시티 기반 교통수단 연계방안
(1) 통합티켓팅 서비스
(2) 카풀정보 공유서비스
(3)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교통정보체계 구축방안
(4) 자동운전 교통수단의 교통체계 구축방안
(5) 전기차량 이용을 위한 기반 시설 구축방안
(6) 대중교통 통합 결제 네트워크
(7) 교통정보 수집용 위치기반 M2M 서비스
(8)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데이터수집
5. 신기술 기반 스마트시티 교통제어 관련 기술동향과 사례분석
1) 스마트시티 기술 기반 교통정보 분석 방안
(1) 건물정보를 이용한 교통정보 분석
(2) 도로계획 수립 지원
(3) 사고예방 정보제공 방안
2)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망 분석
(1) 교통사고신속처리 시스템의 구현
(2) 주차장 이용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주차장 센서 설치
(3) 대중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전기버스운영 시스템
(4)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3) 사이드워크 랩스(SidewalkLabs)를 통한 교통체증감소
4) 스마트카 센서데이터 분석시스템
5) 공공인터넷망Wifi)을 통한 교통정보 제공
(1) 대중교통차량을 와이파이 허브로 사용하는 스마트시티
(2) 스마트 주차 어플리케이션
가. 스페인 바르셀로나
나. 익스프레스 파크
6) 고속도로 ATM 시스템
7) 통합대중교통 정보
(1)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스마트도시
가. 버스정보시스템
나. 버스정보시스템의 스마트 도시적 특성
(2) 국내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현황
가. 버스정보시스템의 서비스 방식
나. 버스정보시스템(BIS)의 구축
(3) 국내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구축현황
가. 전국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 구축현황
나. 서울시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 구축현황
(4) 국내 통합대중교통정보 사례
가. 타고(TAGO : Transport Advice on GOing anywhere)
나. 스마트 갈아타기(Smart Garatagi)
(5) 국외 통합대중교통정보 사례
가. Metro(미국 LA)
나. TransPerth(호주)
다. NaviTime
8) 교통관리 모니터링시스템
(1) 필요성
(2) 시스템의 구성
가. 시스템 정의
나. 시스템 구성
(3) 교통관리모니터링시스템 사례 및 기능
가. TOMMs-DEMAND
나. TOMMs-Flow
다. TOMMs-Signal
라. TOMMs-Management
(4) 적용사례
가. 고양시 통합교통관리시스템 (TTS : Total Traffic System)
나. 기타 사례
9) 스쿨죤 통행안전 통합시스템
(1) 스쿨죤 유형별 통행행태 및 사고위험요인 분석
(2) 스쿨죤 통행안전 통합시스템 개발
10) 첨단도로교통시설물 통합제어기술
(1) 배경 및 필요성
(2) 통합제어기의 개요
가. 정의
나. 기능
11) CCTV를 활용한 광역단위 주차정보제공 및 안내시스템
(1) 배경 및 목정
가. 배경
나. 목적
(2) 시스템 구성
가. 개별주차정보시스템
나. 통합주차정보시스템
(3) 주요 개발내용
제 4장 에너지 분야 주요기술 산업동향
1. 스마트시티와 에너지신산업 추진현황
1) 신기후 체제 출범
2) ICT 신기술 출현
3) 국가별 에너지효율화 및 에너지저감 추진현황
(1) 에너지효율화 및 에너지저감
(2) 러시아
(3) 미국
(4) 일본
(5) 중국
(6) 한국
가. 수정된 에너지신산업 정책
나. 미래비전 달성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수정과제 도출
2.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동향과 시장전망
1) 발전부문
(1) 태양광
(2) 풍력
2) 열공급 부문
3) 수송 부문
4) 에너지 효율성 부문
(1) 기술개발과 상업화 가속으로 5~9% 성장세 전망
(2) 효율성 향상 관련규제 도입 확산으로 성장세 높아질 전망
3. 스마트그리드 구성요소별 기술 산업동향
1) 스마트그리드 개요
(1) 정의
(2) 특징
(3) 구성요소
2)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산업 및 정책 동향
(1) 해외
(2) 국내
가. 산업동향
나. 정책동향
3) AMI 주요동향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산업 동향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다. 경쟁 환경
라. 전후방산업 환경
(4)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환경 분석
A) 미국
B) 유럽
C) 일본
나. 국내 시장 환경 분석
다. 무역 현황
(5) 기술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해외업체 기술개발 동향
A) Opower社
B) SDG&E社
C) ENNET社
D) Bidgely社
E) PG&E社
F) ComEd社
G) 그린버트 : 정부주도의 AMI 기반 에너지정보 제공 플랫폼
다. 국내업체 기술개발 동향
A) 아이디알서비스(IDRS)
B) 그리드 위즈
라. 기술인프라 현황
(6) 특허 동향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출원인 분석
라. 국내 출원인 동향
4)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주요동향
(1) 에너지관리대상에 따른 EMS의 특징
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나.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다. 가정에너지관리시스템(HEMS,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2) 국내외 EMS 산업 현황
가. 국내 EMS 산업규모
나. 세계시장 규모 및 전망
(3) 국내외 EMS 산업 표준화 현황
가. BEMS
나. FEMS
다. HEMS
(4) EMS 생태계 및 기술현황
가. EMS 디바이스
나. EMS 통신
A) 국내외 구축사례
다. EMS 플랫폼
라. EMS 서비스
A) 지능형 실시간 요금제와 사례
B) 지능형 수요반응 기술과 사례
C) 지능형 전력거래 기술
5) 에너지 저장장치(ESS) 산업동향
(1) 국내외 ESS 보급동향
가. 한국
나. 미국
다. 영국
라. 호주
마. 일본
(2) 전력용 ESS 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가. 주파수 조정용 ESS의 성장
나. 국가별 ESS 도입현황
다. ESS와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라. 리튬이온 ESS 시장규모 및 전망
(3) 가정/상업용 ESS 산업동향 및 전망
(4) 통신/UPS용 ESS
6)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인프라 주요동향
(1) 산업 동향
가. 산업 구조
나. 경쟁 환경
다. 전후방산업 환경
(2) 시장 동향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개발 동향
가. 국가별 기술개발 트렌드
A)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전기안전
B) 일본의 무선충전 기술 트렌드
C) 미국의 무선충전 기술 트렌드
D) 국내외 무선전력 충전기술 트렌드
나. 해외업체 동향
A) 테슬라-슈퍼차저
B) 혼다-전기자동차용 스마트 홈시스템(HSHS) 구축
C) BMW-급속충전기 및 폭스바겐과의 공동전기차 충전소 구축
D) 미쯔비시-판매점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다. 국내업체 동향
A) 스마트그리드 구축
B) 아파트 단지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전기차 충전소 보급
D) 대용량 충전설비
라.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 동향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출원인 분석
라. 국내 출원인 동향
7)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과 에너지관리
(1) 제4차 산업혁명 전개과정에서 스마트그리드산업의 구조변화와 주요 동인
(2)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과 수준
(3) 생산제품 구조에 미치는 영향
가. 새로 부상하는 제품군과 원인
나. 기존 제품군의 고기능화
(4) 생산공정의 변화
가. 공정의 변화 방향과 주요 주체
나. 변화의 특징과 전망
(5) 선진국과의 비교
(6) 스마트빌딩과 에너지 빅데이터 분석
제 5장 물·환경관리 분야 주요기술 시장동향
1. 스마트시티 물관리분야 이슈분석 및 솔루션 도출
2. 스마트시티와 도시 물 관리기술 동향
1) ICT 융합 스마트 워터그리드 기술 사례분석
(1) 스마트 워터그리드의 기본개념
(2) 스마트 워터그리드의 핵심기술
가. 다중수원 활용
나. 가용수자원 예측 및 물 부족 위험도 평가
다. 지능형 물 공급 인프라
(3) 기대효과
(4) 향후 전망
(5) 국가별 스마트워터그리드 구현사례
가. 미국
나. 호주
다. 유럽
2)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 물환경 관리기술 사례분석
(1) 행위 추적 사례
가. 국내: 수질TMS(Tele-Monitering System)
나. 가축분뇨 전자인계제도
다. 해외: Smart metering, 영국
(2) 향상된 상황인식 사례
가. 국내: 국가수질 자동측정망
나. 국내: 서울 u-청계천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A) 무선망
B) 통합운영플랫폼
C) 3D GIS
D) USN 수질/수위 모니터링
E) 수중영상카메라
F) N/W CCTV
다. 해외: REON(River and Estuary Observatory Network), 미국
라. 해외: NWIS(National Water Information System), 미국
(3) 최적·원격 운영관리 사례
가. CSOnet, 미국 South Bend
(4) 최적 자원관리 사례
가.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송산 그린시티 조성 사업
A) 무단수 용수공급 체계 구축
B) 블록시스템 구축
C) 스마트미터링 구축
D) 공급과정 수질관리 강화
E) 수돗물 신뢰도 제고
F) 상수관망 운영관리 시스템
(5) 복합 자동 시스템 사례
가. 사물인터넷 기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3) 국내외 정수처리 현황 및 개발현황
(1) 국내 정수처리 및 운영현황
가. 정수장 수질정보의 운영관리 현황
나. 정수장 실시간 감시제어 현황
(2) 국외 정수처리 시뮬레이터 개발현황
가. OTTER(WRc)
나. Stimela(TU Delft)
다. METREX(TU Duisberg)
라. WatPro(Hydromantis)
마. WTP(US EPA)
3. 국내외 물·환경 분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업추진 동향
1) 국내 사례
(1) 파주 스마트 워터 시티 프로젝트
가. 프로젝트 추진 배경
A) 우수한 수돗물 품질
B) 충분한 물공급 인프라
C) 수돗물에 대한 불신
D) 먹는 물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
나. SWC 사업 추진 개요
A) 파주 SWC 1단계 사업(‘14.4월~’15.3월)
B) 파주 SWC 2단계 사업(‘15.4월~’16.3월)
C) 파주 SWC 3단계 사업(‘16.4월~’16.12월)
다. 사업 추진 효과
A) 수돗물 인식 개선
B) 수질개선 효과
C) 유수율 개선
라. 한계 및 시사점
2) 국외 사례
(1) 미국 플로리다 : 수자원 저장 전략 (Water Storage Strategies)
가. 추진목적
나. 추진내용
A) 분산 수자원 관리 프로그램 (Dispersed Water Management Program)
B) 분산 수자원 프로그램 구성
C) 분산 수자원 프로그램 기대효과
다. 실행결과
라. 시사점
(2) 미국 텍사스 : 홍수완화 지원프로그램 (Flood Mitigation Assistance Program, FMA)
가. 추진목적
나. 추진내용
A) 주요 활동
B) 신청 자격
C) 자격 기준
D) 비용 공유 및 자금조달 제한
E) 다중 위험 완화 계획
F) 신청 기간
다. 실행결과
라. 시사점
(3) 미국 콜로라도 : 하류저수지 수자원저장프로그램(Downstream Reservoir Water Storage Program)
가. 추진목적
나. 추진내용
A) 추진 주체 : 덴버 워터 (Denver Water)
B) 저수지 연계 시스템 구축
다. 실행결과
라. 시사점
(4) 미국 뉴욕 : 빗물 저장시설 보조금 프로그램 (Rain Barrel Giveaway Program)
가. 추진목적
나. 추진내용
A) 주요 내용
B) 예상 효과
C) 수자원 보전
다. 실행결과
라. 시사점
3) 한국의 대응전략
(1) 한국의 역할
(2) 물과 위생
가. 물에 대한 보편적 접근권 강화
나. 수질 개선 등
다. 안정적 수자원 확보
(3) 에너지
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적극적 정책 추진
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 및 R&D 투자 확대
다. 통합적 정책 추진을 통한 효과 극대화
(4) 지속가능한 도시
가. 건강한 물공급
(5) 기후변화
가. 물 관련 기후변화 적응 대책 주도
나. 물순환 전 과정 통합관리 고도화
다. 기후변화 대응 기반 구축 참여
라. 기후변화 적응형 물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6) 거버넌스
가. 굿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 제시
4) K-water 신재생에너지 사업
(1) 저탄소 에너지 믹스 강화
가. 수상태양광
나. 수력·조력 발전
다. 수열에너지
(2) 에너지신사업
가. 수요자원 거래 시장을 활용한 전력 수요 관리
나. 친환경에너지타운
다. 물-에너지 연계
(3) 탄소시장
4. 통합물관리 사업을 위한 물산업 및 시장동향
1) 세계 물산업의 트렌드
(1) 광역화
(2) 전문화
(3) 다국적화
(4) 기술혁신
2) 선도국가의 물산업 전략
(1) 네덜란드의 물산업 파트너쉽
(2) 독일의 물산업 파트너쉽
(3) 이스라엘의 물산업 클러스터
(4) 싱가포르의 물산업 육성 프로그램
(5) 일본의 해외 시장 개척 지원
3) 국내외 물시장 현황과 전망
(1) 세계 물시장 현황 및 향후 전망
(2) 국내 물시장의 현황과 향후 전망
제 6장 주요국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추진동향
1.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1)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개념정의
2) 다층형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모델 분석
(1) 스마트시티 연구동향
(2)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모델
가. 행정 거버넌스(Administrative Governance)
나. 기술 거버넌스(Technological Governance)
다.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
2.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동향 및 사례분석
1) 국내 추진현황
(1) 유형별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추진동향
가. 행정 거버넌스
나. 기술 거버넌스
다. 글로벌 거버넌스
(2) 국내 구축현황
가. 정부-지자체-통신사 연합 주도의 스마트시티
나. 관리ㆍ관제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하는 「U-City 구축사업」
다. 데이터 공유를 위한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2) 해외 추진현황
(1) 싱가포르
(2) 스페인
(3) 미국
3) ‘스마트시티-인공지능’ 거버넌스 구축 모델
(1) 스마트시티 관점에서의 인공지능
(2) 스마트시티-인공지능 연계 구축 사례
가. UAE ‘두바이’ 스마트정부로 행복도시 추구
나. 스페인 ‘바르셀로나’ 인공지능으로 물 부족 해결
다. 국내 지자체 구축 사례
A) 민원상담 분야
B) 교통 및 안전 분야
(3) 스마트시티-인공지능 거버넌스 구축 모델제안
가. 스마트 서비스 도출
나. 스마트시티 아키텍처 수립
다. 스마트시티 구축
라. 개방형 지능 정부 구현
3. 제4차 산업혁명과 전자정부 주요동향과 전략
1) 새로운 도시 전자정부 개념
2) 국가별 전자정부 추진정책 및 계획
(1) 미국
(2) 영국
가. 영국 전자정부 시장 현황
나. 영국 전자정부 인프라 현황
A) 정부포털(gov.uk)
B) 공공기관 디지털 조달사이트(digitalmarketplace.service.gov.uk)
C) 공공데이터 검색사이트(data.gov.uk)
D) 온라인 신원 확인시스템(gov.uk/verify)
(3) 캐나다
(4) 한국
가. 정부서비스 Re-디자인
A) ‘All Digital 제로 스탑’ 정부서비스 완성
B) 지능정보 기반 온디맨드 공공서비스 활성화
C) DIY(Do It Yourself) 공공서비스 구현
나. 인지․예측기반 지능행정 실현
A) 지능정보 기반 행정혁신
B) 데이터 정부(Data-centric Gov‘t) 기반 확립
다. 산업과 상생하는 전자정부 신생태계 조성
A) 공공선도형 새로운 디지털 산업 육성
B) 사회적 협업을 통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
C) 미래를 대비하는 창의적 디지털 인재 양성
라. 신뢰기반 미래형 인프라 확충
A) 초연결(Hyper-Connected) 전자정부 플랫폼 구축
B) 위험인식형 자기보안 인프라 구축
C)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행정정보 인프라 구축
마. 글로벌 전자정부 질서 주도
A) 親한국 생태계 조성을 통한 세계 시장 선점
B) 글로벌 전자정부 Forerunner
C) 글로벌 전자정부 수출 강국 공고화
3) 새로운 도시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사례
(1) 생활밀착형 도시서비스
가. 영국 런던
나. 싱가포르
다. 미국 뉴욕
(2) 지능형 도시센싱 플랫폼 기반의 미래 인프라 구현
가. 미국 시카고
나. 미국 뉴욕
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3) 도시선도형 공공 디지털 신산업 생태계 조성
가. 호주 멜버른
4) 전자정부를 이끌 차세대 이동통신 5G 주요동향
(1) 5G의 개념과 특성
(2) 5G 표준 선점의 중요성과 주요 국가들의 동향
(3) 5G 시장선점과 상용화를 위한 업체들의 동향
(4) 5G기반의 전자정부서비스 발전방향
가. 전자정부서비스 현황
나. 5G기반의 전자정부서비스 발전방향

 

통계(도표) 목차

 

배송안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환불안내

 

- 상품 청약철회 가능기간은 상품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 입니다.

- 고객의 부주의로 인한 도서의 파손은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양해바랍니다.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보기[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 [품절도서] IOT기반 스마트시티 구축현황과 산업기술별 추진동향 실태분석 [PDF파일판매]
닫기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닫기

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