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날 환경문제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인구가 증가함과 동시에 삶의 질이 높아지고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환경오염으로 발생되어 지구의 자정능력 한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발생되고 있다. 전문가들 조사에 의하면 지구상의 화석연료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비해 10만 배 이상이나 빠른 속도로 고갈되고 있으며, 석유 자원의 경우 이미 그 정점을 지나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한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이행은 당면한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신재생에너지의 개념이 화두가 되었다.
특히 수소에너지는 친환경성, 저장·운반 가능성, 생산 및 소비의 유연성을 갖춘 미래에너지로서 주목받아 왔으며 최근
글로벌 에너지믹스의 변화 및 기술혁신으로 인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장기적인 전략을 통해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개발과 실질적인 보급을
준비하는 것이 국가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인 상황이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폐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2012년부터 런던협약에 따라 가축분뇨 및 하수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되고 2013년부터는 음식물 쓰레기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이 각국에서 마련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수소에너지 및 폐기물에너지 분야의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여 「수소에너지 기술/시장전망과 폐기물에너지산업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수소경제 현황 및 전망과 수소에너지 시장/기술개발 동향, 연료전지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산업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폐기물 자원관리정책, 폐자원 에너지화 현황 및 시설분야 사례, 고형연료 시장 및 기술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수소에너지
제 1장 수소경제사회 국내외 정책 동향
1. 수소경제사회 개요
1) 수소경제
정의 및 특징
(1) 정의
(2) 특징
2) 수소산업 현황 및 전망
(1) 생산
(2) 소비
(3)
현황
(4) 전망
3)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관건
4) 국내외 수소경제 현황 및 전망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2) 국내 동향
5) 수소경제 이행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주요 이슈
(2)
경제적 파급효과
2. 수소경제사회 추진 배경 및 필요성
1) 신기후체제의 관점에서 수소경제로의 전환 전망
(1) 신기후체제 주요
내용
(2) 신기후체제 주요 의의
(3)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
2) 수소경제사회 전환의 필요성
(1)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2) 에너지 신산업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
(3) 기후 및 환경문제 대응(기후변화, 미세먼지, 대기오염)
(4) 에너지
안보
3. 국내외 수소경제사회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수소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 동향
(1) 일반 현황
가.
주요국 수소 관련 정책 개요
나. 주요국의 수소 인프라(충전소) 보급계획 개요
다. 국가별 가정용/상업용 연료전지 정책
개요
(2) 주요국 정책
가. 일본
나. 미국
다. 유럽
(3) 주요 국제기구 활동
가.
IPHE(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Hydrogen and Fuel Cells in the Economy)
나.
UN(United Nations)
다.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
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 국내 에너지 관련 국가계획
(1)
2차 에너지 기본계획
(2) 7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가. 전력수급 현황 및 전망
나. 기본 방향
다. 분산형 전원(신재생
관련) 보급 목표
(3)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가. 비전 및 목표
나. 세부 정책 방향
3)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국가정책
(1)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관련 규정 현황 및 분석
가. 소재 관련 규정
나. 입지 규제
다. 운영
규제
(2)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정책 진행 방향
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나. 융・복합 및 패키지형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기준
(3) 수소전기차 보급 관련 현황 및 종합계획
가. 국내 수소전기차 관련 보급
여건
나. 2016년 정부의 수소전기차 보급 정책
다. 2016년 수소전기차 및 충전소 보급 관련 진행 현황
제 2장 수소에너지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에너지 개요
1) 수소에너지 정의 및 특성
(1) 정의
(2) 특징
가. 생산
나.
소비
다. 저장 및 운반
라. 효율성
마. 친환경성
(3) 필요성
2) 수소에너지 이용 기술
3) 수소생산
기술
(1) 개질기술
(2) 수전해 기술
(3) 가스화 기술
(4) 열화학 분해 기술
(5) 부생수소 활용(제철소
부생가스)
(6) 부생수소 활용(식염전해기술)
(7) 부생수소 활용(나프타분해공정)
(8) 부생수소 활용(프로판 탈수소
공정)
(9) 부생수소 활용(초산공정)
(10) 생물학적 수소제조 기술
(11) 물의 광분해 수소제조 기술
4) 수소에너지
이용 분야
(1) 에너지 저장-P2G(Power to gas)
(2) 에너지 생산-V2G(Vehicle to grid)
(3)
분산형 발전
(4) 난방용
(5) 수송용
5) 수소 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제도적 환경
가. 대기 환경규제
강화
나. 에너지 문제 및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2) 경제적 환경
가. 에너지, 자원 고갈 심화
나. 신성장 산업
요구
(3) 사회/문화적 환경
가. 기후변화 대응 요구 증가
나. 자연재해 대비한 에너지원의 분산
(4) 기술적
환경
가. 녹색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
나. 친환경 자동차 수요 증가
(5) 경쟁국 전략
가. 각국의 전략적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나. 기후변화 위기 가속화
2. 수소에너지의 가치사슬 구조
1) 수소에너지 공급 구조
(1) 생산
단계
(2) 저장 및 운송 단계
(3) 충전 단계
(4) 주요국의 수소에너지 공급 가치사슬 구조의 발전 방향
가.
미국
나. 독일
다. 일본
2) 수소에너지 수요 구조
(1) 가정용 연료전지
(2) 발전용 연료전지
(3)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EV)
3. 수소에너지 시장 전망과 보급 현황
1) 국내외 수소에너지 시장 동향
2) 국내외 수소에너지
보급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독일
다. 일본
(2) 국내 현황
4. 수소에너지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수소에너지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미국
나. 일본
다. 독일
라.
영국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미래창조과학부 사업
나. 산업통상자원부 수소연료전지사업단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다.
원자력 수소사업
라. 기타
마. 산업체 및 지자체의 움직임
2) 수전해 장치 기술 현황 및 전망
(1) 물 전기분해 기술
현황
가. 고온 수증기전해법
나. 양성자 교환막전해법
다. 알칼리 수전해법
(2) 정부 및 산업계 대응
(3) 물
전기분해 전망
3) 국내외 수소저장합금 연구개발 동향
(1) 수소저장합금 개요
가. 수소저장합금 원리
나. 수소저장합금
종류
(2) 해외 연구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3) 국내 연구개발 동향
가.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고성능
수소저장 시스템
나. 티타늄계 수소저장합금
5. 수소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
1) 수소기술 표준화 개요
(1) 수소기술
표준화 전략
(2) ISO/TC197 구성도 및 표준현황
2) 국제표준 개발 현황
3) ISO/TC197 주요작업반
동향
(1) WG24(ISO 19880-1 Gaseous hydrogen fueling stations - General
requirements)
(2) WG27(ISO 14687 Hydrogen fuel - Product
specification)
(3) WG28(ISO 19880-8 Hydrogen fuel-Quality
verification(Quality control)
제 3장 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
1. 연료전지 개요
1) 연료전지의 정의
및 특성
(1) 정의
(2) 작동원리
(3) 구성
가. 개질기(Reformer)
나. 스택(Stack)
다. 전력변환기(Inverter)
라.
주변보조기기(BOP)
(4) 특성
가. 높은 발전효율
나. 저공해, 저소음
다. 발전규모 조절 용이
2) 연료전지
종류별 특징
(1) 분류
(2) 종류별 특징
가. PAFC(Phosphoric Acid Fuel Cell)
나.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다. MCFC(Molten Carbonate Fuel
Cell)
라. SOFC(Solid Oxide Fuel Cells)
마. DOE 목표치
3) 연료전지 산업분야별 분류
4)
연료전지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5) 연료전지 분야 환경 분석
(1) 정책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연료전지 용도별 동향과 보급
현황
1) 연료전지 용도별 동향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2)
국내외 연료전지 보급 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연료전지 시장
및 업체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및 수출입 동향
나.
국내 시장 및 수출입 동향
다. 수출입 동향
(2) 국내외 연료전지 용도별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국내외 연료전지 업체 동향
(1) 해외 동향
가. Plug Power(PLUG:US)
나. Ballard
Power(BLDP:US)
다. FuelCell Energy(FCEL:US)
라. Bloom Energy
(2) 국내
동향
가. 발전용
나. 차량용 PEMFC
다. 주택 및 건물용
4. 연료전지 기술 및 특허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2) 연료전지 용도별 기술개발
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주요국 연료전지 기술개발
현황
(1) 미국
가. R&D 현황
나.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개발 현황
다. SOFC(Solid Oxide Fuel Cells) 개발 현황
라. 수송용 연료전지 개발 현황
(2)
일본
(3) 독일
가. 재생에너지 목표와 국가 기술개발 프로그램(NIP)
나. 수소연료 산업 증진을 위한 향후 지원
(4)
한국
4) 국내외 연료전지 특허출원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5. 연료전지 세부기술군 연구 및 기술
동향
1)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고성능화 및 저가화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2) 발전용 용융탄산염‧인산형 연료전지 출력‧내구성 향상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3) 수소제조 및 저장 비용 절감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4) 차세대 연료전지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EU
라.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5)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라. 관련 산업 또는 적용 사례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6) 연료전지 복합발전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기술의 정의
나. 기술의
범위
다. 하위 기술
라. 관련 산업 또는 적용 사례
(2) 국내외 연구 및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한국
(3)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
6. 연료전지 정책 동향
1) 시기별 정책 방향
(1) 해외
(2)
국내
2) 주요국 정책 및 제도
(1) 미국
가. 정책목표 및 전략
나. 정책담당기관 및 부서
다. 주요정책, 관련
법‧제도 및 프로그램
라. 주요사례 및 성과
(2) 일본
가. 정책목표 및 전략
나. 정책담당기관 및 부서
다.
주요정책, 관련 법‧제도 및 프로그램
라. 사례 및 성과
(3) 한국
가. 정책목표 및 전략
나. 정책담당기관 및
부서
다. 주요정책, 관련 법・제도 및 프로그램
라. 주요사례 및 성과
제 4장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동향
1. 자동차
산업 주요 동향
1) 국내외 자동차 시장 동향
(1) 해외 주요국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2) 품목별 자동차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가. 미국
나.
중국
(2) 국내 시장 규모
3) 국내외 자동차 분야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수소연료전지차
(2) 국내 R&D 동향
가. 엔진기반차
나.
하이브리드차
다. 전기차
라. 수소연료전지차
4) 국내외 자동차 분야 R&D 투자 동향
(1) 세계 R&D
투자 동향
(2) 국내 R&D 투자 동향
5) 국내외 자동차산업 정책 동향
(1)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2)
소재 강국의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지원정책
(3) 주요국 친환경자동차산업 육성 정책 추진
2.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동향
1)
수소연료전지차 개요
(1) 정의
(2) 환경성
(3) 구조
(4) 장점
가. 높은 에너지 효율
나.
무공해
다. 연료의 무제한
(5) 단점
가. 고가의 차량 가격
나. 수소 공급 인프라 문제
다. 차내 수소 저장의
문제
라. 내연기관의 부재
마. 촉매에 백금 사용
2)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현황
3)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전망
(1)
단기적인 전망
(2) 장기적인 전망
3. 수소연료전지차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1) 미국
가.
포드
나. GM
(2) 유럽
가. 다임러 벤츠
나. 폭스바겐
(3) 일본
가. 도요타
나. 혼다
다.
닛산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4. 수소전기자동차 시장 및 기술 동향
1) 수소전기자동차 개요
2) 수소전기차 시장 및
출시 현황
(1) 시장 현황
(2) 출시 현황
3) 수소전기차 가격저감 기술개발 동향
5. 수소연료전지차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UN/ECE/WP.29 활동 현황
(1) SGS(안전분과)
(2) ELSA(전기안전분과)
2) 국내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현황
(1) 연구 현황
(2) 주요 연구내용
가. 연료 공급시스템 고정성 시험
나. 수소 저장시스템
충돌시험
다. 자동차 화재시 안전성 평가
라. 수소누설 위험모델 안전확보 연구
마. 실차화재시험
바. 전자파 적합성
시험
3) 안전기준 제개정 현황
(1) 수소안전성
(2) 운행안전성
(3) 전기안전성
4) 결론
6.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1) 수소충전소 개요
(1) 정의
(2) 공급방식
가. Off-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나. On-site 방식의 수소충전소
(3) 종류
2) 수소충전소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수소제조장치
기술개발 동향
(2) 국내외 수소충전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3) 국내외 수소충전소 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2017년 8월 기준)
제 Ⅱ편 폐기물에너지
제 1장 폐기물 자원관리 주요 제도
1. 폐기물 산업 특성 및 전망
1)
폐기물 산업 개요
(1) 폐기물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폐기물 산업 정의
2) 폐기물 산업의
특성
3) 폐기물 산업 전망 및 이슈
4) 폐기물 자원관리 패러다임 변화
(1) 1990년 이전
(2)
1990년대
(3) 2000년
(4) 현재
2. 폐기물 발생/처리 및 업체 현황
1)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1) 2015년도 폐기물 발생 현황
가. 폐기물 발생 현황 추이
나. 지역별 폐기물 발생량 분석
다. 폐기물 종류별
발생 현황 분석
라. 폐기물 성상 변화추이 분석
(2) 2015년도 폐기물 처리 현황
가. 폐기물 처리 현황 추이
나.
폐기물 종류별 처리 방법 변화 추이
다. 폐기물 처리주체별 처리 현황
(3) 폐기물처리관련 시설・장비 현황
가. 처리시설
현황
나. 폐기물처리업체 현황
(4) 생활폐기물 관리인원・장비 및 예산 현황
가. 지방자치단체의 생활폐기물 관리인원 및
장비
나. 자치단체 생활폐기물 관리예산
2) 폐기물 산업 주요 업체 점검
(1) 수집・운반업
(2) 폐기물
처분업
(3) 재활용업체
3. 폐기물 자원관리 주요 정책
1) 배출자 부담 제도
(1) 쓰레기 종량제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주요성과
라. 사회적변화(소비자・기업・사회적 측면)
마. 개선사항
(2)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가. 개요
나. 주요내용
2) 생산자 부담 제도
(1)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주요성과
라. 개선사항
(2) 폐기물부담금제도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폐기물부담금 부과 및 납부 업무 흐름도
라. 주요성과
(3) 폐기물예치금제도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주요성과 및 한계
3) 폐기물 종류별 관리제도
(1) 사업장 폐기물 감량화제도
가.
개요
나. 주요내용
(2) 의료(감염성)폐기물 관리
가. 개요
나. 주요내용
(3) 음식물 매립 금지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개선사항
(4) 포장폐기물 규제
가. 개요
나. 주요내용
다. 포장폐기물 발생억제
정책의 내용
4) 폐기물 적법처리 인증제도(Allbaro 시스템)
(1) 개요
(2) 주요내용
가. Allbaro 시스템
연혁
나. Allbaro 시스템 운영체계 및 구성
다. Allbaro 시스템
라. Allbaro 시스템 관련 법령
마.
Allbaro 시스템 전자인계서 작성으로 기대 효과
5) 한국과 해외 폐기물 관리 정책 비교
(1) 법률체계 비교
(2)
“페기물처리법” 및 “재활용법” 체계 비교
(3) “폐기물 재활용” 법체계 구성
(4) “자원순환기본법” 유무의 비교
(5)
기타 법체계 구성
(6) 종합 분석
(7) 한국과 해외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비교
제 2장 폐기물에너지 산업 동향
1. 폐자원 에너지화 개요
1) 폐기물
(1) 폐기물의 개념 및 정의
가. 이론적 폐기물의 개념
나. 폐기물의
정의
(2) 폐기물의 적용 범위
가. 적용범위
나. 관련 용어
2) 폐자원
(1) 현행 규정상의 폐자원 관련
정의
(2) 폐자원 정의
3) 가연성 폐자원
(1) 현행 규정상의 가연성 폐자원 관련 정의
(2) 가연성 폐자원
정의
4) 유기성 폐자원
(1) 현행 규정상의 유기성 폐자원 관련 정의
(2) 유기성 폐자원 정의
5)
에너지화
(1) 현행 규정상의 에너지화 관련 정의
(2) 에너지화 정의 및 시설분류
6) 폐자원 에너지화 분류
(1)
자원순환에 의한 분류
(2) 폐자원 에너지화시설 분류
2. 폐자원 에너지화 현황
1) 해외 주요국의 폐자원 에너지화
현황
(1) 일본
가. 폐기물 처리 현황
나. 순환형 사회형성 추진 실적
다. 폐자원 에너지화 동향
(2)
EU
가. 폐기물 처리 현황
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방향
다. 폐자원 에너지화 동향
라. 생활폐기물 에너지
원단위
(3) 미국
가. 폐기물 처리 현황
나.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다. 폐자원 에너지화 현황 및 정책
방향
2) 국내 폐자원 에너지화 현황
(1) 에너지화 시설별 현황
가. 소각여열회수시설
나. 매립가스활용시설
다.
가연성폐자원 에너지화시설
라. 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시설
마. 하수슬러지 에너지화시설
(2) 신・재생에너지 및 폐자원에너지 보급
현황
(3) 폐자원 에너지화 정책 동향
가. 활성화 유도 제도
나. 폐자원 에너지 활성화 정책 방향
3. 폐기물에너지 산업
동향
1) 폐기물에너지 개요
(1) 환경 분석
가. 정책(Politics)
나. 경제(Economy)
다.
사회(Society)
라. 기술요인(Technology)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성
나. 구조
2)
폐기물에너지 시장 전망과 업체 현황
(1)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세계 시장규모
나. 국내 시장규모
다.
수출입동향
(2) 국내외 업체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폐기물에너지 R&D 및 특허출원
동향
(1) 국내외 R&D 동향
가. 해외 R&D 동향
나. 국내 R&D 동향
(2) 국내외 특허출원
동향
가. 세계 특허출원 동향
나. 국내 특허출원 동향
4.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현황과 기술 동향
1) 국내외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현황
(1)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개요
(2) 해외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현황
가.
유럽
나. 미국
(3) 국내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현황
2) 국내외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동향
(1)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가. 혐기성 소화
나. 유기성 폐기물의 열화학적 가수분해
다. DBS(Daewoo Biogas
System) 공법
(2) 해외 연구개발 동향
가. 유렵연합
나. 슈뢰벤마을의 바이오가스 플랜트 시설
다.
일본
(3) 국내 연구개발 동향
가. 유기성 종합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자동차연료화
나. 쓰레기 폐자원 가스화
기술
다. 축산분뇨 바이오가스 연구센터
라. 친환경 제철소
(4)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개발 전망
5. 폐자원
에너지화 시설 분야 사례
1) 홍콩 폐기물 자원화 시설 사례
(1) 홍콩 매립지 및 폐기물 자원화 시설 시설 현황
(2) 홍콩 폐기물 자원화 에코파크 사례
(3)
홍콩 가축 분뇨 퇴비화 플랜트 시설 사례
(4) 홍콩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계획
(5) 홍콩 통합형 폐기물 관리 시설 설치
계획
(6) 홍콩 태양광 발전시설 운영 사례
(7) T・PARK 하수슬러지 에너지화 소각시설
(8) North East New
Territories(NENT) 매립지
2) 해외 음식물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운영 사례
(1) 해외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현황
(2) 음식물 및 음폐수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 활용 사례
가. 디즈니월드 바이오가스화 시설 사례
나. 영국 바이오가스화
시설 사례(서머싯 주)
다. 영국 바이오가스화 시설 사례(햄프셔 주)
라. 미국 바이오가스화 시설 사례(Junction
도시)
마. 영국 바이오가스화 시설 사례(옥스퍼드셔 주)
3) 폐기물에너지화 기술 비교 및 섬지역 폐기물 처리 사례
(1)
폐기물에너지화 기술 장단점, 투자비, 운영비 비교
(2) 하와이 오아후 섬 폐기물 처리 사례
(3) 하와이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설치
계획
(4) 미국 버진 아일랜드 폐기물에너지화 시설 설치 계획
(5) 북대서양 버뮤다(Bermuda) 폐기물에너지화 시설
(6)
몰디브 북쪽 폐기물 소각 플랜트 프로젝트
4) 하남시 환경기초시설 및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사례
(1) 하남시 환경기초시설
사례
(2)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사례
제 3장 폐기물 고형연료 현황 및 법제도
1. 고형연료 개요
1) 고형연료의 정의
및 특징
(1) 정의
(2) 환경적 측면에서의 고형연료화 특성
가. 폐기물 처리상의 특성
나. 대기오염 물질의 발생 및
방지대책
다. 기타 특성
(3) 에너지측면에서의 고형연료화 특성
가. 연소특성
나. 자원화의 특성
다.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
2) 고형연료의 종류
(1) 폐기물 종류에 따른 분류
가. RDF(Refuse Derived Fuel)
나.
RPF(Refuse Plastic Fuel)
다. TDF(Tire Derived Fuel)
라. WCF(Wood Chip
Fuel)
(2) 모양 및 크기에 따른 분류
가. Fluff SRF
나. Pellet SRF
다. Powder
SRF
3) 고형연료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물질과 저감기술
(1) 질소산화물(NOx)
(2) 황산화물(SOx)
(3)
염화수소(HCl)
4) 고형연료 산업 환경 분석
(1)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2) 경쟁
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2. 고형연료 시장 및 기술 동향
1) 국내외 고형연료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무역 현황
2) 국내외 고형연료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국내외 특허
동향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주요출원인 분석
라. 국내 출원인 동향
3. 고형연료 관련
법제도
1) 해외 법제도 사례
(1) 유럽
가. 폐기물 고형연료의 법적지위
나. 폐기물 고형연료의 품질기준
(2)
미국
가. 폐기물 고형연료의 법적지위
나. 폐기물 고형연료의 품질기준
(3) 일본
가. 폐기물 고형연료의
법적지위
나. 폐기물 고형연료의 품질기준
2) 국내 법제도 현황
(1) 고형연료의 기준 및 범위
(2) 폐기물 고형연료의
분류
(3) 폐기물 고형연료의 품질기준
(4) 폐기물 고형연료 사용시설 기준
(5) 폐기물 고형연료 품질관리
(6)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
(7)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시설의 기타오염물질 배출관리
4.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 현황
1) 국내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 현황
(1) 지역별・제품별 제조시설 현황
(2) 지역별・제품별 사용시설
현황
(3) 2015년 지역별 원재료(폐기물) 발생・반입 현황
(4) 제품별 제조・판매・사용 실적 현황
가. 폐기물 고형연료
제조실적
나. 폐기물 고형연료 판매실적
다. 폐기물 고형연료 사용실적
라. 지역별 폐기물 고형연료 실적현황
(5) 수입
고형연료 현황
(6) 고형연료 공급현황 및 요인분석
2) 해외 고형연료화 시설 현황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