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드론은 군사용 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민간 산업분야로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감시용, 연구
개발용, 촬영용, 범죄수사용, 물류용, 통신용, 레저용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드론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 불에서 2016년
326억 불, 2030년에는 2,742억 불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연평균 16%에 육박하는 엄청난 규모다. 특히 AI(인공지능),
3D 프린팅,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국내의 현재 드론 관련 원천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 대비 60%로 제품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은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드론산업 경쟁력 역시 선진국 대비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드론을 차세대 국가
성장동력으로 인식하여, 2017년 12월 드론, 자율자동차, 무인선박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인 무인이동체를 혁신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이는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공통적으로 갖춰야할 6대
핵심기능기술개발과 5대 용도별 플랫폼 개발 계획 수립을 통해 2030년까지 드론 관련 기술경쟁력 세계 3위, 세계 시장점유율 10%, 수출액
160억 달러 달성한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 5월, 13대 혁신성장동력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드론산업 분야에 향후 5년간 4,550억원을 투자하여 현재 시장규모가 700억원에 이르는 드론 시장을 2022년까지 1조4000억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집약체인 드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여 「차세대 드론 산업 분야별 실태분석-드론/임베디드/WPT/카메라모듈」을 발간하였다.
본서Ⅰ편에서는 드론산업의 분야별 기술개발 현황과 시장동향, 글로벌 산업동향과 주요 활용 분야 및 기술적용 방안을 소개하였으며, 2편에서는 드론의
핵심 기술인 임베디드, 무선전력전송(WPT), 카메라모듈 분야를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집약체 드론
제 1장 드론 개발 기술 현황
1. 기술 개발
현황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정부지원 정책
가.
범위
(a) 제품분류 관점
(b) 공급망 관점
나. 정부지원 정책
(a)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2)
외부환경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다. 무역현황
(3) 기술환경 분석
가. 기술개발트렌드
(a) 드론의 기본 기술
(b)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부가 장치들 추가
(c) 소프트웨어 기술은 드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나. 기술환경분석
3) 기업
분석
(1) 주요기업 비교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a) 중국
(b) 미국
(b)
프랑스
(c) 독일
(d) 일본
(e) 이스라엘
(f) 국내 중소기업 사례
나. 국내업체동향
4) 기술개발
현황
(1) 기술개발 이슈
가. 최신 차세대 드론 개발 동향
나. 군사용 목적의 드론의 기술 개발 현황
다. 소형, 레저용
및 상업용 드론의 기술 개발 현황
(2) 특허동향 분석
가. 차세대 드론 기술 개발 특허 상 주요 기술
나.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a) 차세대 드론 기술 개발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다. 차세대 드론 기술 개발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라.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마.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5)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가. 차세대 드론 개발 기술 분야 주요 연구개발 기관
(a) 카이스트 무인 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b)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정익기연구단, 항공추진단
(c) 무인이동체 미래 선도 핵심 기술개발 사업단
(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국방과학연구소
나. 연구개발 자원
(a) 정부 지원 프로그램
(b) 중소기업 대상 시설 및 장비 지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6) 기술로드맵 기획
(1)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데이터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요소기술 선정
(2) 차세대 드론 연구개발
목표 설정
(3) 핵심요소기술 심층분석
2. 드론 산업 및 기술 이슈
1) 드론 기술현황
(1) 구성요소 및
기술체계
가. 구성요소
나. 기술체계
다. 드론 핵심기술
(a) 비행제어시스템
(b) 추진동력 기술
(c)
탑재장비・센서 기술
(d) 자율비행 및 충돌회피 기술
(e) 데이터링크 기술
2) 드론 주요 기술 분석
(1)
기술개요
가. 무인기 시스템 관련 핵심기술
(2) 무인기 기술동향
가. 비행제어시스템
나. 지상통제시스템 및
통신
다. 임무데이터 활용
라. 임무수행 자동화
마. 플랫폼 하드웨어
바. 비행제어시스템 기술 동향
사. 무인기 통신
기술 동향
아. 소형무인기 장애물회피 기술분석
3) 드론 산업 이슈
(1) 드론 시장 규모
(2) 급성장하는 글로벌
드론시장과 경쟁 구도
4) 국내외 주요 업체 현황
(1) 주요 해외 업체 현황
가. 혁신으로 민간 드론시장을 평정한
DJI
(a) DJI를 세계 제일의 드론기업으로 만드는데 일조한 ‘팬텀’
(b) 매출의 80%가 해외 매출
(c) 급격한 성장은
R&D 투자를 통한 스피드 혁신
(d) 산업용 드론과 다양한 관련 하드웨어 출시를 넘어 소프트웨어 회사로 진화
나. 중국,
DJI사의 국내시장에서의 광폭 행보
(a) 국내 출시 현황
(b) 세계 최초 플래그십 스토어 홍대 개장
(c) 세계 최초 실내
드론 비행장 ‘DJI 아레나’ 경기도 용인에 구축
(d) DJI 를 꿈꾸는 국내 기업들을 위한 과제
(2) 기타 해외업체
현황
가. 미국, 페이스북의 꾸준한 인터넷 드론 개발
나. 중국, 샤오미의 드론 시장 출사
다. 프랑스, 패럿
라. 중국,
이항
마. 미국, 인텔의 리얼센스 접목한 드론 발표
바. 프랑스, 에어버스
(3) 국내 업체 현황
가. ㈜유맥에어(
http://www.umacair.com/)
나. 유콘시스템㈜(
http://www.uconsystem.com)
다. ㈜케바드론(
http://www.keva.kr)
라. ㈜엑스드론(
http://www.xdrone.co.kr)
마. 드로젠(주)(
http://www.lobit.co.kr)
바. ㈜바이로봇(
http://www.byrobot.co.kr)
사. 유비파이(
http://www.uvify.com)
아. ㈜휴인스(
http://www.huins.com)
자. ㈜주니랩(
http://www.junilab.co.kr)
차. ㈜이에스브이(
http://www.esv.co.kr)
카. 유시스(
http://www.udrone.co.kr;
www.usis.kr)
타. 엣센디지탈(
http://www.essendigital.com)
5) 드론 기술
이슈
(1) 드론 관련 핵심 기술
가. 드론 관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
3. 4차 산업혁명과 드론
1) 4산업혁명의
도래와 드론
(1) 4차 산업혁명의 진행과 전망
가. 개요
나. 4차 산업혁명 속의 드론
(2) 4차 산업혁명과 드론의
발전
가. 드론 생태계
나. 드론 산업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의 진행
(a) 자율 비행
(b) 센서 융합
(c)
사물인터넷(IoT)
(d) Big Data
다. 기술발전 트렌드
(a) 전기전자 SW
(b) 네트워크 연결성
강화
(c) 자율지능화
(d) 모듈부품화
라. 시사점
4. 기술수준 및 소요 기술
1) 기술수준
(1) 드론
산업화 단계 및 기술개발 추세
가. 인공지능 기술
나. 드론 충돌감지 및 회피 기술
다. 제어 및 통신(C2) 기술
라.
이미지 처리 기술
마. 배터리 용량 증대 기술
(2) 요소기술 및 기술명세
가. 드론 관련 요소기술
(3) 기술수준 및
경쟁력
가. 기술경쟁력 수준 비교
(a) 주요 국가별 기술수준 현황
나. 주요국 연구기관 핵심기술 연구동향
다. 체계
구성기술별 국내 기술수준
다. 주요 핵심기술별 수준
라. 부품 경쟁력
(4) 소요 핵심기술
가. 고신뢰성과 비행안전성 보장
경량 비행조종컴퓨터 기술
나. 드론 안전운항을 위한 충돌회피 및 자율비행기술
다. 드론 탑재 첨단센서 및 임무장비 기술
라.
드론 동력시스템 핵심기술
마. 드론 교통 및 공역 관리시스템 기술
바. 드론 데이터링크 핵심기술
사. 드론 지상통제
핵심기술
아. 드론 혁신 재료 및 제작기술
자. 드론 공력기술
차. 드론 최적설계 기술
제 2장 드론 산업 동향
1.
드론의 개발배경 및 역사
1) 드론의 개발역사
(1) 시대별 변천사
가. 폭탄을 떨어트리는 방식의 1900년대
나. 첫
무인기 제어에 성공한 1910년대
다. 최초의 원격조종 비행기 시대를 연 1920년대
라. 드론이란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
1930년대
마. 전투용으로 실전에 투입된 1940년대
바. 정찰용 비행으로 활용폭을 넓힌 1950~60년대
사. 기만정찰기로
발전시킨 1970년대
아. 초경량 군사용 무인기 등장한 1980년대
자. 지구환경 감시에 기여 하게 된 1990년대
차.
2000년대 이후
2) 드론의 개발 동향
(1) 군사용 무인기 개발동향
가. 미국
나. 이스라엘
다. 유럽
라.
중국
마. 일본
바. 한국
(2) 상용 드론 개발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중국
라. 일본
마.
한국
2. 드론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1) 일반 현황
가. 전체시장
나. 국가별시장
(2) 분야별 드론
시장 전망
가. 글로벌 민수용 드론 시장
나. 민수무인기 활용분야별 시장전망
다. 군수 무인기 시장분석
라. 국외 전문기업
현황 및 전망
(a) 군수부문
(b) 민수부문
마. 무인기 산업 투자동향
바. 국내 시장동향
(a) 국내 시장
전망
사. 드론 산업 성장 및 통계 전망
(a) 산업 성장
(b) 시장 동향
(c) 통계 및 전망
(3) 국내 시장
현황
가. 산업구조
(a) 완제기
(b) 부품 등 연관산업
(c) 가치사슬
(d) 산업진단
나. 국내 드론 관련
산업, 인력 및 인프라
(a) 기업 현황
(b) 수출입 현황
(c) 고용현황 및 전망
(d) 투자현황
다. 국내 드론
등록 현황 및 특이점
라. 국내 드론 시장 전망
(a) 경제 규모 기반 국내 민간 드론 시장 예측
(b) 드론 수요 예측
시나리오별 분석 통한 국내 시장 부스트업 시나리오
(c) 국내 군용 드론 수요 및 시장 전망
(d) 국내 정부 드론 수요 및 시장
전망
(e) 국내 민간 드론 분야별 수요, 시장 및 활용시장* 가치 전망
(f) 국내 민간 드론 부스트업 효과에 의한 분야별
시장(도입+활용)가치 전망
마. 국내 무인기 산업 시장분석
(3) 유형별 시장 현황
가. 기체유형별 시장현황
(a) 간단한
구조와 효율적인 공기역학적 특성이 특징인 고정익 드론
(b) 모든 방향으로의 비행이 가능하고, 호버링이 가능한 회전익 드론
(c)
손바닥 크기의 휴대성이 좋은 나노(Nano) 드론
(d) 고정익과 회전익을 결합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드론
나. 기체유형별
시장전망
다. 기체유형별-기술별 시장현황과 전망
라. 기체유형별-활용분야별 시장현황과 전망
(4) 활용 분야별 전망
가.
건설 분야 전망
(a) 건설 분야 활용
(b) 시장전망
(c) 에너지 분야 전망
(d) 농‧임업 분야 전망
(e)
촬영 분야 전망
(f) 치안 및 방재 분야 전망
(g) 통신 분야 전망
(h) 보험 분야 전망
(i) 배송 분야
전망
(j) 소비/취미용 분야 전망
2) 글로벌 동향
(1) 국내외 정책동향
가. 미국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R&D 투자
(c) 주요 인프라
(d) 민간기업 동향
(e) 시장 현황 및 전망
(f)
R&D 현황
나. 일본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주요 인프라
(c) 민간기업 동향
(d) 시장 현황
등
(e) R&D 동향
다. 중국 동향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주요 인프라
(c) 민간기업
동향
(d) 시장 현황 등
(e) R&D 현황
라. 영국 동향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R&D
투자
(c) 주요 인프라
(d) 민간기업 동향
(e) 시장현황
마. 러시아 동향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R&D 투자
(c) 주요 인프라
(d) 민간기업 동향
(e) 시장 현황 등
(f) R&D
현황
바. 싱가포르 동향
(a) 주요 정책 및 제도
(b) 민간기업 동향
(c) 시장현황 등
사.
국내동향
(a) 미래부
(b) 국토부
(c) 산업부
(d) 부산시
(e) 대구시
(f) 수원시
(2) 국내
정책동향
가. 드론 산업 기반 구축 방안 (관계부처 합동)
(a)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
(b) 미래기술 경쟁력 강화
(c)
시장 창출 지원
(d)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구축
(e) 안전한 운영환경 조성
3) 글로벌 개발동향
(1) 글로벌 군사용
무인기 개발동향
가. 미국
나. 이스라엘
다. 유럽
라. 중국
마. 러시아
(2) 글로벌 민간 드론
개발동향
가. 미국
나. 중국
다. 유럽
(a) 프랑스
(b) 독일
(c) 영국
(3) 미국 내 드론 시장
현황과 최신 활용 사례
가. 드론 시장 현황
(a) 미국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드론 산업
(b)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최신 개발 현황과 보안 이슈
(c) 무인드론 기술의 고도화
(d) 사회적 합의와 안전 규제
나. 구글과 아마존
중심의 드론 물류 시스템
(a) 프로젝트 윙(Project Wing)
(b) 아마존 프라임 에어 서비스(Amazon Prime Air
service)
다. 기타 응용 서비스의 최신 현황
(a) 통신기반 시설
(b) 건축 및 안전
(c) 재난 현장
조사
(d) 드론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e) 드론 레이싱
라. 시사점
(a) 산업 전반에 걸친 영향력
(b) 안전 및
규제 문제
(c) 통합 항법 플랫폼의 빠른 개발과 도입의 필요
(d) 공간적인 위험요소를 줄이기 위한 드론 활용
(e)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시장 창출
(4) 비행하는 중국의 드론 산업
가. 중국 드론 시장 및 산업 현황
(a) 중국의 드론
시장
(b) 중국 드론 산업의 특징
(c) 중국의 주요 드론 기업
나. 시사점
(a) 엔터테인먼트 소비재로서 드론의
인기 및 소비 확대
(b) 중국 드론 시장/산업의 급발전 및 향후 높은 잠재력 기대
(c) 중국 청년들의 창업 열기 등이 중국
드론산업의 발전을 복합적으로 견인
(5) 일본, 1차 산업 AI‧IoT‧드론 등을 활용해 성장동력 장전
가. ICT를 활용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미래 산업으로 탈바꿈하는 수산업
(a) AI‧IoT를 도입한 참치 양식장
(b) 드론을 활용한 김 양식장
(c)
수산물을 취급하는 인터넷 도매업체 ‘Foodison’, ICT를 활용한 마켓 플레이스 구축
나. 드론을 도입해 농작물 재배 상황을 파악하는
등 스마트 농업 실현도 박차
(6) 국내 개발동향
가. 국내 군사용 무인기 개발동향
나. 국내 민간 드론 개발동향
다.
국내 드론 기술의 현주소
라. 드론의 핵심기술
(a) 비행제어시스템
(b) 추진동력 기술
(c) 탑재장비・센서
기술
(d) 자율비행 및 충돌회피 기술
(e) 데이터링크 기술
마. 드론개발의 미래전망
(a) 의사결정시스템을 갖춘 지능형
드론개발
(b) 장시간 체공 및 탑재중량 증대 가능 드론 개발
(c) 소형화 및 초소형화 드론 개발
(d) 인력절감효과를
실현하는 드론 개발
(e) 거대 기업들에 의한 대기권위성 개발
4) 드론 관련 주요국 로드맵 및 산업 활성화 지원 전략
(1)
공역 통합 관련 로드맵
가. ICAO의 ASBU(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계획
(a) ASBU 계획
상 무인항공기 모듈
(b) RPAS 패널
나. 미국의 공역 통합 계획
(a) 1단계 Accommodation(단기
계획)
(b) 2단계 Integration(중기 계획)
(c) 3단계 Evolution(장기 계획)
다. 유럽의 공역 통합
계획
(2) 드론 활용 관련 로드맵
가. 일본의 「소형드론 활용 및 기술 개발 로드맵」
(a) 소형 드론에 관한 환경 정비를
위한 민관협의회 구성
(b) 소형드론 활용 및 기술 개발 로드맵 주요 내용
나. 러시아 AERONET 로드맵
(a) 국가 기술
이니셔티브
(b) AERONET 로드맵 주요 내용
(3) 드론 산업 활성화 지원 전략
가. 금융관련 지원
(a) 국외
사례
(b) 국내 타산업 활성화 지원 사례
나. 시장 확대 지원
(a) 국외사례
(b) 국내 타 산업 활성화 지원
사례
다. 인력 및 인프라 지원
(a) 국외사례
(b) 국내 타 산업 활성화 지원 사례
3. 드론 산업의 경제
효과
1) 드론 산업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1) 제작시장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2) 활용시장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가. 건설 및 측량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나. 시설점검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다. 농·임업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라. 통신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마. 영상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바. 감시 및 방재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사. R&D 시장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3) 경제적 파급효과 종합
가. 생산유발효과
나. 부가가치
유발효과
2) 시사점
(1) 시장 전망 관련 시사점
가. 전 세계 시장 전망
나. 국내 시장 전망
(2) 규제/제도
관련 시사점
가. 무인항공기의 공역 통합
나. 소형드론 활성화
다. 산업 활성화 지원
(a) 소형드론 공공조달
현황
(3) 소요기술 관련 시사점
제 3장 드론의 활용
1. 주요 활용분야
1) 유망 활용분야 선정
(1) 해외 전망
유망 활용분야
가. Teal Group과 EuroConsult 활용분야 비교
나. 해외 전망 유망 활용분야의 활용사례
다. 해외
전망 유망 활용분야의 발전단계
(2) 유망 활용분야 선정
2) 분야별 활용현황
(1) 건설 과정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2)
인프라 점검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3) 측량 및 3차원 지도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4) 농‧임업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5) 영상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6) 감시 및 방재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7) 수송
가.
응용분야
(a) 사례
(b) 응용분야 및 효과
나. 기술적, 제도적 요구조건
(a) 기술적 요구조건
(b) 제도적
요구조건
3) 산업육성 위한 공공부문 드론 활용소요 발굴
(1) 공공부문 드론 활용소요 상세분석
가.「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사례
나. 건설 및 시설물 안전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다. 도로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라. 측량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마. 지적재조사 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바. 토지보상 현장조사 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사. 수자원분야 소형드론 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아. 철도보안정보 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자. 철도시설 유지보수 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차. 철도 공사현장 관리 분야 소형드론 활용업무 및 도입
수요
(a) 현황 및 향후 계획
(b) 드론 활용가능 업무 및 도입 수요
(c) 개선 필요사항
(2) 공공부문 활용소요
드론 획득 비용 분석
가. 국내 공공부문 활용 소요 드론 유형 분류
나. 세계주요 상업 드론 후보 분석 통해 공공분야 드론 소요
유형/평균 가액 산출
다. 공공분야 드론 활용수요 및 획득 소요 예산 분석
2. 드론의 활용 사례
1) 최첨단 장비를 활용한
재난감시
(1) 재난감시 패러다임의 변화- 새만금방조제
가. 드론에 의한 공간적 감시
(a) 방조제 피복석 유지관리
(b)
배수갑문 및 교량 유지관리
(c) 환경관리
(d) GIS 기반 서비스 시스템
나. 야간, 안개 등 악천후 감시
(a) 빛이
없어도 볼 수 있는 적외선(infrared, 赤外線)과 열화상카메라
(b) 야간 및 악천후 시 경계
(c) 가상 펜스
다.
도로함몰 감시
(a)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 Ground Penetrating Radar)
(b) 도로함몰 탐사
(c)
영상분석에 의한 도로함몰 발견
(d) 음파탐지에 의한 도로함몰 감시
라. 최첨단 재난감시 시스템 구축 방안
(a) 재난감시시스템
목표모델
(b) 매트릭스 분석에 의한 우선순위 결정
(c) 시스템 기본설계
2) 농업생산기반 측량기술의 전환점이 된
드론
(1) 드론의 개념
가.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각계의 드론 산업
(a) 구글
(b) 페이스북
(c) 아마존과
DHL
(d) 일본
(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 형태에 따른 분류
다. 비행고도에 따른 분류
라. 드론을 활용한
영상 결과물
(2) 농업생산기반 분야의 드론 측량기술 활용방안
가. 배수개선 사업지구 선정 검토에 활용
나. 등고선도 작성에
활용
다. 경리정리사업지구 측량에 활용
라. 배수암거 배치계획
(3) 드론(Drone)을 활용한 측량 방법
가. 정사영상과
수치표면 모형(DSM)의 활용
나. 드론(Drone) 측량의 외업 절차
다. 드론(Drone) 측량의 내업 절차
라. 드론을
활용한 측량 방법의 예
마. 정확도 검증
(4) 시사점
가. 농업분야 드론 기술개발(R&D) 필요
3) 도로안전사업
분야 국내․외 드론 활용 사례 및 기술 적용 방안
(1) 도로안전사업 분야 국내․외 드론 활용 사례
가. 도로 건설 분야 국내 드론
활용 사례
(a) 지장물 현황조사(국토교통부 토지정책과)
(b) 토공량·체적량 산출(LX)
(c) 도로 건설현장
안전관리(원주지방국토관리청)
나. 도로 유지관리 분야 국내 드론 활용 사례
(a) 도로절토사면
유지관리(한국건설기술연구원)
(b) 교량점검 활용(부산교통공사)
다. 도로 재난관리 분야 국내 드론 활용 사례
(a) 태풍과
집중호우에 의한 도로유실 현황조사(㈜공간정보)
라. 도로 건설 분야 국외 드론 활용 사례
(a) 건설현장 모니터링(미국
MTU)
(b) 드론 응용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도로건설 분야 활용(미국 DroneDeploy)
마. 도로 유지관리 분야 국외 드론
활용 사례
(a) 도로개선공사 전후 교통량 평가(미국 유타교통부)
(b) 광학영상기반 공항 도로포장 점검 기술(독일
airsight)
(c) 소리와 진동을 이용한 교량 균열조사(일본 NEC)
(d) 포트홀, 러팅 등 도로포장 현황조사(호주
멜버른대학)
바. 도로 재난관리 분야 국외 드론 활용 사례
(a) 도로보수 토공량 자동 산출(미국 버몬트대학)
(b) 동계
눈사태 위험지역 모니터링 및 관리(미국 워싱턴주교통부)
(c) 태풍으로 인한 재난재해 현황 조사(미국 하와이대학)
(2) 도로안전
관련 기술적용 방안 검토
가. 드론을 이용한 도로현장 조사 개요
나. 고정익 드론을 이용한 도로현장조사
(a) 고정익 드론 촬영
개요
(b) 고정익 드론 촬영 및 후처리 장비
(c) 고정익 드론 촬영 및 처리 과정
다. 회전익 드론을 이용한
도로현장조사
(a) 고정익 드론 촬영 개요
(b) 회전익 드론 촬영 장비
(c) 회전익 드론 촬영 영상
라. 교통안전공단
내 사업에서 드론 활용 방안
(a) 개통 전 점검 시 드론 활용 방안
(b) 교통안전특별실태조사 시 드론 활용 방안
(c)
첨단점검자동차(아라서)와 드론의 연계 활용 방안
(3) 드론활용 사업 도출
가. 기존 연구 사례 검토
(a) 교통 조사 시 드론
활용 사례
(b) 교통사고 모니터링
나. 도로안전분야 사업 도출
(a) 회전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조사
(b) 포장상태
이상(포트홀 등) 위치 탐색
다. 도로안전분야 드론 적용 로드맵
제 Ⅱ편 드론 분야 주요 핵심기술
제 1장 임베디드
1. 드론 지원 임베디드 SW
1)
임베디드 SW
(1) 개요
가. 정의
나. 범위 및 분류
(a) 범위
(b) 분류
(2) 국내외
정책동향
가. 주력산업 연계형 대형·장기 R&BD 추진
나. 시장 활성화 및 산업 생태계 개선
다. 일본 정부,
미국·독일 등 선진국과 연대해 IoT 국제표준화 선도할 계획
라. 일본 업계, IoT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한 실험 전개
마. 일본
정부, 기술개발·실증실험을 적극 독려
(3) 산업이슈 및 동향
가. 산업이슈
(a)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맞아 임베디드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이 확대 중
(b) 제4차 산업혁명 전개과정에서 기계산업의 구조변화
나. 핵심플레이어 동향
(4)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세계시장
(a) 중국 임베디드 시장 현황
(b) 프랑스 드론 시장 확대
나. 국내시장
(a)
임베디드SW 및 모듈 매출 규모
(b) 임베디드제품 수출 비중과 수출 지역
(c) SW기업들이 예상하는 임베디드SW 시장 성장
전망
(5) 기술동향 및 이슈
가. 기술동향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a) 삼성전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합한
IoT용 보안 솔루션
(b) 인텔- 리얼센스
(c) DJI- 팬텀 4 프로
(d) LG CNS
(e) 시큐리티플랫폼-
IoT 기기 보안 솔루션
(f) 에스지에이(SGA)
(g) 펜타시큐리티
(h) 마크애니
(i) 드림시큐리티
(j)
큐브바이트
(k) 현대자동차
(l) 카이즈
(m) 자스텍엠
(n) 한양정보통신
(o) 디지파츠
다. 기술 인프라
현황
(a) 국가 연구개발 지원사업
(b) 중소기업 대상 시설 및 장비 지원
(6)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7) 주요
기술개발 테마
가. 기술개발 테마별 개요
나. 기술개발 테마별 동향 및 전망
(8) 중소기업 기술개발 테마
가. 중소기업
기술수요
나. 중소기업 기술개발 테마
2) 임베디드SW 중소기업이 드론 산업 진출시 고려사항
(1) 드론의 일반적인
구조
(2) 드론의 주요 구성품
가. 기체 프레임
나. 배터리
다. 비행 제어기(FC)
라. 모터
마.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
바. 카메라
사. 짐벌
아. 영상 무선 송수신기
자.
고글
차. 무선RF 통신
카. GPS
타. UBEC(Universal Battery Elimination
Circuit)
(3) 드론 산업 진출 시 고려 사항
가. 기체 설계 부분
나. 소프트웨어 부분
다. 배터리
부분
(4) 오픈소스 플랫폼 활용방안
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a) 아두파일럿(ArduPilot)
http://ardupilot.com(b) 나. 멀티위(MultiWii)
http://www.multiwii.com(c) 플렛스봇(Flexbot)
http://www.flexbot.cc,
https://github.com/HexAirbot(d)
에어로쿼드(AeroQuad)
http://aeroquad.com(e)
다이드론즈 DIY DRONES(
http://diydrones.com/)
(f) 오토파일럿
http://px4.io(g) 클린플라이트
http://cleanflight.com(h) 엠리드
https://emlid.com(i) 크레이지플라이
http://www.bitcraze.io(j) Afroflight32
https://github.com/multiwii/baseflight나.
비 오픈 소스 콘트롤러
(a) KK 보드
(b) NAZA
다. 드론 OS
(a) 드론 코드(
https://www.dronecode.org)
(b) Airware
드론 OS(
https://www.airware.com)
라. 오픈소스
하드웨어
(a) 아두파일럿(Ardupilot) 계열 콘트롤러
(b) 멀티위(MultiWii) 계열 콘트롤러
(c)
OpenPilot 계열 콘트롤러
(d) Crazyflie 계열 콘트롤러
마. GCS 또는 설정 프로그램
(a) MultiWii
Conf(
http://www.multiwii.com/wiki/?title=MultiWii_GUI)
(b)
Mission Planner(
http://ardupilot.org/planner)
(c)
Openpilot GCS
(d) Clean Flight(
http://cleanflight.com)
(e) Tau Labs
GCS
(f) Naza-M V2
바. 오픈소스 플랫폼 활용 방안
(a) 촬영용 드론
(b) 공공용(농업용, 감시용,
기타...) 드론
(c) 경주용 드론
(d) 완구용 드론
(e) 교육용 드론
3) 국내 드론제조 및 협업이 가능한
기업
(1) 드론 제조 기업
(2) 모듈(디바이스) 제조 기업
2. 드론 지원 지능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분석
(1) 산업환경 분석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a) 상위 3대 기업
나. 국내시장
다.
무역현황
(3) 기술환경 분석
가. 기술개발트렌드
(a) 기술 현황
(b) 트렌드
나. 기술환경분석
3) 기업
분석
(1) 주요기업 비교
가. 메타빌드
나. 에이티디랩
다. 인큐빅
라. 케바드론
마. 유시스
바.
파이온시스템즈
사. 드로젠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인텔의 리얼센스
나. DJI 팬텀 4 프로
다. LG
유플러스
라. 우정사업부
4) 기술개발 현황
(1) 기술개발 이슈
가. 글로벌 ICT 기업들의 대규모 드론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을 선도하고 있음
나. 드론 산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크게 IT 부품기업, HW기업, SW 기업으로 분류할 수 있음
다. ETRI,
드론 교통관리체계를 위한 핵심보안기술 개발 추진
라. 일본 정부의 드론산업 육성 발표
(2) 특허동향 분석
가. 드론 지원
지능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특허 상 주요 기술
(a) 주요 기술
나.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a) 주요 기술별 국가별
특허동향
(b)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c) 드론 운영 기술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d) 드론 개발 기술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다. 드론 지원 지능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a)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라.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a) 국내 특허동향, 드론 운영 기술과 드론 개발 기술 모두 대기업 중심
마.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a) 드론 지원 지능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상대적 공백기술 분야는 드론 개발 기술
5)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가. 정부 지원 프로그램
나. 연구개발 인력
(2) 기술이전가능 기술
6) 기술로드맵
기획
(1).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2) 드론 지원 지능형 임베디드 SW 플랫폼
기술로드맵
(3)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2장 무선전력전송(WPT)
1. 드론 무선전력전송기술 현황
1) WPT의 정의 및
역사
(1) WPT의 정의 및 특징
가. 정의
나. 특징
(a) 근거리 전송시스템
(b) 근거리
무선전력전송
(C) 원거리 무선전력전송
다. 무선전력전송의 적용분야
(a) 소전력 분야
(b) 중·대전력 분야
(c)
초대전력 분야
라. WPT의 분류
마. 관련 주요 기업들의 움직임
(a) 퀄컴
(b) 인텔
(c) 애플
(d)
기타 기업
바. 중장거리 WPT 기술의 역사
(a) WPT 기술에 대한 각 일정별 주요 특징
사. 시장 및 전망
아.
무력전력전송 국내외 기술 동향
(a) 드론을 이용한 이동통신용 기지국 관리 기술개발 동향
(b) 무인항공기 통신 3GPP 5G 표준화
동향
(c) 애플 가세, 무선충전 시장 판 커진다. 시장 표준도 'WPC'로 정리될 듯
(d) BMW 무선충전 패드
(e)
샤오미 '무선충전 스마트폰' 시장 진출 공식화
(f) 파워리퍼블릭, 미래에셋대우와 IPO 대표주관사 계약 체결
(g) 아태지역 무선
충전 시장 2023년까지 연평균 34% 성장 전망
(h) 경산지식산업지구 '무선전력·메디컬·철도부품' 첨단센터 착공
2) WPT 응용
산업 분야
(1) 근거리 WPT의 산업 분야
가. 근거리 소전력 분야 기술동향 및 표준화 동향
(a) 해외 기술개발
동향
(b) 국내외 표준화 동향
나. 근거리 중전력 분야 기술 동향
(a) 해외 기술개발 현황
(b) 국내 기술개발
현황
다. 근거리 대전력 분야 기술동향 및 표준화 동향
(a) 해외 기술개발 동향
(b)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라.
전송매체 측면에서의 최근 동향
마. 무선전력 전송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2) 중장거리 WPT의 산업 분야
가. SPS
사례
(a) SPS의 개념
(b) SPS 시스템 역사 및 산업화 방향
나. HAPS 사례
(a) HAPS의
개념
(b) 시스템 역사 및 산업화 방향
다. Residential Power Service(RPS)
(a) RPS 서비스의
개념
(b) RPS 적용 사례
(3) 드론_WPT 관련 산업분야
가. 드론_WPT 기술도입의 필요성
나. 단거리 WPT
사례
(a) 1964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적용된 최초의 비행체 탄생
(b) 1992년 세계 2번째의 드론_WPT
자유비행
(c) 1997 세계최초의 레이저 이용 무선전력전송 비행체
(d) 2003년 2번째 레이저 이용 무선전력전송
비행체
(e) 2007년 최초의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실험
(f) 2009년 BBC방송의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을 이용한
헬리콥터 테더링 실험
(g) 2010년 Purde대학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헬리콥터 테더링 실험
(h) 2010년 최초의 다파장 광원
무선전력전송 실험
(i) 2010년 최초의 단색광 레이저 무선전력전송 실험
(j) 2011년 테슬라 코일 적용 무선전력전송
실험
(k) 2011년 MAV에 무선전력전송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
(l) 2014년, 드론에 무선전력전송을 적용하는
실험
3) WPT 기술 현황
(1) 마이크로파 이용 WPT 기술
가. 송출기 - 발진장치
(a) 마이크로파 진공관
방식
(b) 반도체 마이크로파 송출기
나. 송출기 - 안테나
(a) 임피던스, Impedance
(b) 효율,
Efficiency
(c) 지향성, Directivity
(d) 복사 패턴, Radiation pattern
(e) 이득,
Gain
(f) 편파, Polarization
(g) 대역폭, Bandwidth
(h) 빔포밍 기술,
Beamforming
(i) 위상배열, Phased Array Antenna
다. 전파 방사 공간 요소
라. 렉테나
(a)
기술개요
(b) 렉테나의 구성
(c) 렉테나의 기술적 분류
(d) 전력변환 효율 향상
(2) WPT 관련 제도
현황
4) 방송용 드론_WPT 현황
(1) 방송용 드론_WPT의 개요
가. 방송용 드론_WPT 시스템의 구성 개요
(2)
드론_WPT 개발 현황
(3) 드론_WPT 산업의 시장 기회
5) 국내외 주파수 운영 관리 현황
(1) WPT 측면의 전파운영
현황
가. 무선전력전송 구현을 위한 적정 주파수 대역
나. 국내 상황
(a) 전파정보 공개 현황
(b) 관련 주파수
동향
(c) WPT 관련 법·제도 현황
다. 해외
(a) 전파정보의 공개
(b) 관련 주파수 동향
(2) 드론_WPT
관련 고려 사항
가. 드론에 적용하는 주파수 현황
(a)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의 제어 (f1)
(b) 영상전송
(f2)
(c) WPT (f3)
나. 드론_WPT 측면의 전파운영 고려사항
(a) 전파 안전성
6) 시사점 및 향후
추진방향
(1) 시사점
가. 드론 산업의 발전 방향 모색
나. 방송용 드론_WPT 시스템의 구현 방안 도출
(a) 방송용
드론-WPT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주요 기술
다. 드론_WPT 시스템용 주파수의 선정 방안
(a) 적정 주파수 대역의
선정
(b) 적정 드론의 선정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산출
(c) 드론에 장착되는 렉테나의 설계
(d) 지상에서 송출하는 전파의
세기
라. 향후 주파수 연구 방향
2. 방송용 드론_WPT 전파활용 방안
1) 방송용 드론_WPT 목표 시스템
(1)
시스템 스케치
가. 방송용 드론_WPT의 정의
나. 전체 시스템 구조의 정의
다. 설계 요소별 고려사항
(a) WPT를
위한 적정 주파수 선정
(b) 드론의 선정을 통해 필요한 전력 산출
(c) 장착되는 렉테나의 설계
(d) 드론에서 필요한 전력이
산출되면 지상에서 어느 정도 세기의 전파를 송출할 것인가 결정
(e) 송출기에서 렉테나까지의 경로 중 원거리 전파손실(Far field
space loss)을 고려
(2) 요소기술의 선정
가. WPT 주파수의 선정
(a) 주파수 대역의 지정
(b) 전파환경에
대한 영향
(c) 안테나의 크기와 기술의 용이성
(d) 전력변환 효율
(e) 공간손실의 고려
(f) 기존 스펙트럼 사용자에
대한 간섭영향의 고려
(g) 주변환경 및 생체조직에 대한 영향의 고려
(h) 주파수 선정 검토사항 요약 및 주파수 선정
방안
나. 드론의 선정
(a) 드론 선정의 목표
(b) 로터
(c) 동체 크기(Wing span)
(d)
비행시간(Flight time)
(e) 운영 거리(Operating range)
(f) 운영 고도(Flying altitude)와
속도(Speed)
(g) 운영 온도(Operating temperature)
(h) 카메라 해상도 및 안정도 고려
(i)
위치관리 운영 기능
(j) 자율비행 및 자동 복귀 기능
(k) 중대형 드론의 선정
(l) 중소형 드론의 선정
다. 렉테나의
선정
(a) 렉테나의 구조
(b) 안테나 및 정류소자의 구조
(c) Rectifier array 구성 방법
(d) 방송용
드론_WPT 시스템에의 적용 방안
라. 송출기의 설계
(a) 발진기와 증폭기의 선정
(b) 안테나의 선정
(c) 안테나
어레이 방식을 이용한 빔 포밍(Beam forming) 방안
(d) 안테나 지향성(Beaming) 제어
(e) 안전조치
(3)
방송용 드론_WPT 목표 시스템의 통합
가. 예상 목표 시스템
(a) 필요 요소기술 - f3 주파수의 선정
(b) 드론
비행체
(c) 렉테나 구성
(d) 송출기의 구성
(e) 송출기의 트랙킹 기능
나. 목표 시스템 분석
(a) 목표시스템
구성 및 고려 사항
(b) Simulation 검토 사항
다. 목표 시스템 구현 및 운영
(a) 렉테나의 전력변환 효율 향상
방안
(b) 드론과 렉테나의 조합 방안
(c) 송출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한 전력 제어 방안
(d) 드론의 Beam
tracking 기능
(e) 자동충전 기능의 운영
2) 전파활용 효율화 방안
(1) WPT 주파수 선정을 위한 추가
고려사항
가.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주파수 대역
나. 드론의 지상제어용 및 영상전송용 주파수와의 관계
다. HAPS의 주파수와의
관계
라. SPS의 주파수와의 관계
(a) 5GHz, 11GHz의 무선중계시스템
(b) 레이더에 대한 대역내 간섭
(c)
상공과 지상간 통신의 PFD 제한
(d) ISM 대역의 하모닉과 전파천문시스템 대역의 관계
(e) 무선 LAN(IEEE802.11b,
2400~2483.5 MHz)에의 영향
(f) 마이크로웨이브 전파천문 시스템의 영향
마. ITU의 5GHz~7GHz 대역에서의 영향
분석
(a) Fixed-Satellite Service (FSS)
(b) Fixed Service(FS)
(c) Mobile
Service(MS)
(d) Passive Sensor
(e) Radio Astronomy
바. 국내외 소출력 주파수 분배 및
운용 현황
(a) 향후 전개될 대표적인 서비스 분야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음
사. 시사점
(2) 전파 간섭 회피
방안
가. 드론_WPT시스템에 의한 예상 간섭 모델
나. 전자파 간섭 메커니즘 종류 및 사례
(a) 간섭 메커니즘
(b)
HAPS에 의한 전자파 간섭의 분석 사례
(c) C-band 레이더가 DSRC에 미치는 전파 간섭의 분석 사례
다. 방송용
드론_WPT 시스템과 타 시스템 간 간섭 회피 방안
(a) 간섭영향을 최소화하는 주파수의 선정
(b) 스퓨리어스 및 하모닉에 의한
간섭 회피 방안
(c) 안테나 사이드 로브에 의한 간섭 회피 방안
(d) Intermodulation 간섭 회피 방안
3.
드론_WPT 산업 활성화 방안
1) 방송용 드론_WPT 시스템 활용 방안
(1) 주요행사의 입체적 촬영
(2) 사회 안전 분야의
실시간 현장 영상 관제
(3) 산업환경 안전관리 플랫폼
(4) 기타 다양한 응용 분야
가. 대표적인 응용산업분야
(a)
무선통신 중계기
(b) 건물 내 IoT 디바이스 무선전력 공급 서비스
(c) Midair charging station
운영
2) 방송용 드론_WPT 산업의 발전방향
(1) 실증연구 방향성 제언
(2) 발전 로드맵
가. 로드맵 수립
배경
(3) 기대효과
가. 드론산업의 발전동력
(a) 드론의 기술 수준
(b) 산업용, 상업용 및 군사용 드론 시장
동향
(c) 드론 서비스 시장 동향
(d) 활용 용도에 대한 동향
제 3장 카메라모듈
1. 카메라모듈 분야의 새로운
전방시장 드론
1) 카메라시장 확대
(1) 카메라 모듈 성장 동력
가. 고화소화
나. 고기능화(OIS &
AF)
다. 다기능화(듀얼카메라)
(a) 듀얼 카메라 모듈의 장점
라. 다양화
(a) 자동차
(b)
VR/AR/드론/홍채인식
(2) 카메라 모듈 주요 부품
가.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나. 렌즈 모듈(Lens
Module)
다. AF액츄에이터(Auto Focus)+OIS(Optical Image Stabilizer)
(3) 카메라모듈 성장의
티핑포인트
가 휴대폰
(a) 전면카메라 고화소화
(b) 듀얼카메라 채택 확대
(c) 3D카메라 채택 시작
나.
자동차
(a) 자동차 카메라 의무 장착 확대
(b) 블랙박스의 일반화 및 세계화
(c) 자율주행차의 기본, 카메라
다.
CCTV
(a)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 시행
(b) 주택관리법의 개정에 다른 공동주택 CCTV
고화소화
(c) 1인가구 증가에 따른 CCTV 수요 확대
라. 신규 카메라 적용 영역 확대
2) 카메라 관련산업 시장
전망
(1) 카메라 시스템 시장 연평균 20% 성장 전망
가. 고성장 유지 전망
(2) 분야별 시장 전망
가. 휴대폰용
카메라 시장
나. 자동차용 카메라 시장
다. 보안용 카메라 시장
라. 무인항공기, 드론 시장
마. IoT, 의료기기 등
기타 시장
2. 카메라모듈의 변화
1) 듀얼카메라
(1) 스마트폰 수요 확대와 3D센싱, 듀얼카메라 채택 본격화
가.
듀얼카메라 확산
(a) 스마트폰 카메라 목표 는DSLR 대체
(b) 새로운 물리적 접근법 시도
(c) 듀얼 카메라 3세대로
진화
(d) 아이폰 7 플러스 계기로 본격 확산
(e) 2018년은 듀얼카메라 확대 국면
나. 듀얼 카메라 장점
(a)
DSLR의 장점인 아웃포커싱 구현
다. 증강현실의 플랫폼, 카메라모듈이 중심
라. 3D카메라와 AR
(a) 애플이 3D카메라에
투자 집중
(b) 듀얼카메라를 넘어서
마. 깊이감을 더한 3D Sensing
(a) 3D Sensing 기술 방식
(b)
3D Sensing 카메라 구조
(c) 업체별 동향
바. 카메라모듈 관련 검사장비, 광학 필터
(a) 카메라 모듈 수요 지속될
것
(b) 검사장비 시장 성장 예상
(c) 필터 시장 성장도 주목
사. 업체별 대응전략
(a) 다양한 솔루션
등장
(b) Apple, 듀얼 카메라 확대 채용
(c) 3D 센싱 카메라에 관심 집중
(d) 삼성전자도 듀얼 카메라 채택
시작
(e) 갤럭시 노트8 듀얼 카메라 예상 사양
(f) 3D 카메라로 진화 예상
(g) 3D 카메라의 확장성
아.
스마트폰 시장의 진화
2) 스마트폰의 변화와 부품업계의 영향
(1) 성숙기 진입한 스마트폰 시장
(2) 카메라 부품산업,
듀얼카메라로 신 사이클 도래
(3) 2017년은 중국 스마트폰의 듀얼카메라 채택 가속화 진행
3) 3D 깊이 카메라 모듈
기술
(1) 개요
가. 기술 정의
나. 기술에 대한 부연 설명
(a) 인식 기술별 세부 적용 기술
(b) 현재 상용화
되어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3D 깊이 카메라
(2) 현황
가. 기술개발 현황
(a) (국외) Microsoft
(b)
(국외) Intel
(c) (국외) Google
(d) (국외) Apple
(e) 국내 업체 진행 상황
나. 시장 및
산업체 현황
다. 3D 표준개발 및 전망
(3) 주요이슈 및 대응방안
가. 주요이슈
나. 대응방안
3. ADAS
시대의 카메라
1) 자율주행차 시대의 도래
(1) 개요
가. 향후 10년은 ADAS의 시대
나. ADAS 시장의 밸류체인,
센서
(2) 센서별 시장 분석
가. 카메라
나. 레이다(RADAR)
다. 라이다(LIDAR)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