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2015년 12월 Post-2020을 대비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850.6백만톤CO2e) 대비 37%로 결정하였다. 파리 COP 21 이후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국제적으로 공식화되면서 후속작업으로
부문별 세부이행계획 및 정책적 대응방안 마련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추진(2025년) 등과 관련하여
건물부문의 구체적인 기술적, 정책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으로 인식되고 있다. 2030년 이후에는 제로에너지건물과 같은 녹색건축물분야의
시장규모는 전체 시장에서 약 60%를 차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활성화를 위해 2017년부터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기준을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강화하고, 2025년에는 제로에너지가 의무화될 예정이다. 이에 온실가스 감축과 연계한 산업 육성의 필요성에 따라 국토부, 산업부, 미래부 등 각
부처는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을 국가 경쟁력으로 발표하였으며, 건물 부문의 스마트화, 제로에너지건물 보급 활성화, 단열규정 강화 등을 신산업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술 및 정책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주요 선진국은 건축 산업구조, 정책/제도 전반의 개혁 및 지원을 통해 제로에너지건물의
보급 확대를 위한 시장 전환이 진행 중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에서도 녹색 건설 시장의 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제로에너지/녹색건축물 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여 「스마트 건축물 정책/기술 실태분석-에너지/설비/리모델링/Smart Grid」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제로에너지/녹색건축물 산업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설비시스템/그린리모델링/스마트시티·그리드용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제로/신재생에너지 건축/설비시스템 산업
제1장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책 및 산업분석
1.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정책 동향
1) 제로에너지건축물 주요 활성화 현황
(1)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정의 및 개념
(2)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동향
가. 우리나라
나. 해외
⒜ 유럽연합
⒝ 미국
⒞ 일본
(3) 국내 제로에너지빌딩
기술 동향과 전망
가. 관련 R&D 수행현황 및 기술수준
나. 제로에너지빌딩 보급활성화 방안
다. 패시브 패키지화
방안
라. 액티브 패키지
마. 패키지 품질인증
2) 제로에너지건축물 새로운 시장과 패러다임
(1) 제로에너지건축물 시장규모
및 전망
가. 시장규모
나. 2030년의 한국
다. 빌딩, 에너지 먹는 하마 대변화 필요
(2) 제로에너지빌딩, 미래
건설산업의 신패러다임
가. 신페러다임
나. 제로에너지빌딩의 목표 달성과정
다. 로드맵을 통해 본 세계 각국의 제로에너지빌딩
목표
라. 2025년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추구하는 한국
마. 건물에너지 효율 기준,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를 위한 채찍
바.
인센티브,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를 위한 당근
(3)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린다
가. 빌딩, 에너지를 소비하는 공간에서 에너지를 사고파는
공간으로
나. 건설업체,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이 열린다
(4) 제로에너지빌딩시대 대비 전략
가. 의무화에 따라 강화될 제도
수준에 맞는 건설기술 개발 필요
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융복합된 개념의 기술개발 필요
다. 건물주는 건물을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단으로 봐야
3) 제로에너지건축물 주요사업 및 개선과제
(1) 주요사업 내용 및 추진 현황
가. 선도형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2) 개선과제
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의 실효성 제고
나. 건축물 에너지성능
인증제도의 차별화
다. 기존 건축물에 대한 제로에너지건축 적용방안 모색
2.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책 및 추진 사례
1)
제로에너지건축물 주요 정책 및 현황조사
(1) 미국
(2) EU
(3) 일본
2) 국내 제로에너지 건축물 추진
사례
(1)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사례
가. 예비인증 1, 2호: 세종시 선관위 사옥, 송도 공동주택
나.‘17년 11월 현재
제로에너지 건축물 예비인증 7개소
(2) 서울 노원 제로에너지 실증단지
가. 사업 개요
나. 계획 내용
다. 추진 현황 및
실증 효과
(3)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가. 서울 장위4구역 주택재개발 시범사업
⒜ 건축 개요
⒝ 적용 기술
나.
KCC 서초사옥
⒜ 건축 개요
⒝ 적용 기술
(4) 인증제도 이전 추진 사례
가. 대전 죽동 제로에너지 주택단지
⒜
건축 개요
⒝ 적용 기술
나. 인천 국립환경과학원
⒜ 건축 개요
⒝ 적용 기술
⒞ 에너지 성능 평가
3) 해외
인센티브 정책 및 사례
(1) 영국
가. 영국의 건축물 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
나.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인센티브
정책
(2) 미국
가. 연방정부의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정책
나. 지방정부의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정책
(3) 기타 국가들의
해외 정책 및 사례
가. 독일
나. 일본
다. 싱가포르
라. 캐나다
3.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경제성과 확대
방안
1)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및 경제성
(1) 인센티브제도 관련 문헌
가. 녹색건축물 인센티브 제도 개선
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도입
다.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 방안
(2) 제로에너지빌딩 경제성 관련 문헌
가. 친환경
건축물 인센티브 경제성 분석
나. 제로에너지빌딩 기반 구축 및 경제성 확보
다. 서울시 건물에너지 인센티브 제도 경제성
검토
2)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확대 방안
(1) 재정지원 확대
가. 정부 재정지원을 통한 보조금 규모 비교: 전기차 vs
제로에너지 건축물
나. 설비 보조금 대상 및 지원 확대
다. 설계비 등 부대비용 지원
라. 세제 감면 규모 및 유형
확대
마. 전력 요금체계 및 판매금액 특화
(2) 금융 프로그램 지원
가. 금융권 대출한도 확대
나. 저금리 대출 및 이자
지원
(3) 인허가 간소화 등 행정절차 개편
(4)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 개선
가. 제로에너지 용적률 인센티브 현실화
나.
제로에너지 용적률 인센티브의 실현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개선
다. 건축기준 완화 항목에 세대수 포함
3) 제로에너지 건축물 활성화
방안
(1) 도시재생과 연계한 ‘주민참여형 제로에너지 뉴딜’ 사업
가. 배경 및 개요
나. 정책 운영방법
(2)
녹색·제로에너지건축 채권제도
가. 정책 운영방법
나. 정책 주체별 세부내용
⒜ 주체1: 건축물소유주 및 예비건축주
⒝ 주체
2: 청정에너지 생산자
⒞ 주체 3: 중앙 및 지방정부
제2장 신재생에너지 관련 건축 산업과 정책분석
1. 신재생에너지
주요이슈와 트렌드 현황
1) 2018년 에너지 분야 주요이슈와 쟁점
(1) 주요기관의 2018년 유가 전망
(2) 석유메이저의
탈석유화와 사업다각화 진행
(3) 파리 기후협정의 이행은 가능한가
(4) 미국 LNG 수출증대와 에너지 안보
(5)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과 에너지 핵심정책
(6) 주목 받는 일본의 풍력 발전
(7)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
확정
(8) 경제급전 vs 환경급전
(9)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확산
(10) 국내 탄소배출권 향방은
2) 국내외
에너지 신산업 트렌드 및 활성화 과제
(1)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가. ICT 융합 가속화
나. 분산형 전원의
확산
다. 재생에너지의 안정화
라. 전통적 에너지원의 청정화
(2) 국내 에너지 산업의 문제
가. 핵심 기술에 대한 투자
부족
나. 분산형 전원 활성화 제약
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의 지연
라. 경제급전 원칙으로 실제 발전믹스 변화
미미
(3) 시사점
2. 재생에너지 주요 시장과 정책 동향
1)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1)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가.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의 신규 설치 및 관련 투자액 지속적으로 증가
나. 2040년 1차 에너지 소비 기준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은 3,455Mtoe로, 2014년 대비 1.8배 성장 전망
다. 2040년 세계 신재생발전 설비용량은 5,170GW로, 2014년
대비 2.8배 성장 전망
(2) 신·재생에너지 발전원별 시장 현황
가. 수소에너지
나. 연료전지
다.
석탄액화가스
라. 태양열
마. 태양광
바. 바이오매스
사. 풍력
아. 소수력
자. 지열
차.
해양에너지
카. 폐기물 에너지
2) 재생에너지 주요 산업 동향
(1) MENA 지역, ’16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소폭
증가
(2) 아시아 지역의 태양광발전 설비용량 상위 50개 순위 발표
(3) 중남미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전원 확대 추진
(4)
도미니카공화국, 풍력발전산업 동향
(5) 노르웨이, 중동 사막에 적합한 태양광 패널 청소 로봇 개발
(6) 일본, 신재생에너지로 수소
생산 실증사업 착수
(7) 미국, 텍사스서 수입산 태양광 모듈 덤핑관세 공방
3) 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동향
(1)
해외
가. 일본 경제산업성,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위해 발전사업자 부담 경감책 검토
나. 프랑스 에너지환경부, ’22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다. 브라질개발은행, 중소 에너지기업의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확대
(2) 국내
가. ’30년 신재생
발전비중 20% 달성을 위한 민관·합동 회의
나. 신재생에너지 일자리 얼마나 늘어날까
다. 문재인式 에너지정책…8차 전력기본계획에
담으려면
4) 재생에너지 주요 기업 동향
(1) 해외
가. 중국 Jinko Solar社, 일본 SMBC은행 컨소시엄과
신디케이트론 계약 체결
나. 중국 ReneSola社, 폴란드 42MW 태양광 프로젝트 수주
다. 미국 테슬라社, 호주에 100MW급
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
(2) 국내
가. 동서발전, 당진화력 지붕태양광발전 상업운전 돌입
나. 두산, 연료전지사업 확대 위해 美
웰스 파고 은행과 협약 체결
다. 한화에너지, 저변 확대 나섰다, 미국 괌에 60MW 태양광발전사업 수주
3. 태양열 시스템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1) 태양열 시스템 구성요소
(1) 태양열 집열기
(2) 축열조
(3) 태양열 시스템 구성
가. 태양열
온수기
나. 태양열 난방 및 급탕 시스템
다. 태양열 냉방시스템
라. 태양열 산업공정열
마. 태양열 발전 시스템
2)
태양열 국내·외 시장동향
(1) 국내시장
가. 태양열 집열기
나. 태양열 시스템
(2) 세계 시장
가.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 비중
나. 용도별 현황
다. 국가별 현황
라. 태양열 발전 시스템 프로젝트별 현황
3) 태양열
기술개발 현황
(1) 선진국 현황
가. 태양열 집열기
나. 주거용 태양열시스템
다. 태양열 블록히팅/ 태양열 지역난방
시스템
라. EU 또는 IEA Task를 통해 추진되었거나 추진 중인 태양열 관련 프로젝트
마 태양열 발전기술
바. 태양열
건물
(2) 국내
4) 태양열 산업활동 및 보급현황
(1) 산업활동
(2) 보급현황
(3) 보급지원 현황
(4)
향후 계획
4. 지열 시스템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1) 지열에너지의 분류 및 특징
(1) 지열의 직접이용
가. 밀폐형
vs. 개방형 시스템
나. 심부지열 개발기술의 중요성
(2) 지열의 간접이용(지열발전)
2) 지열의 시추기술, 지열개발 사업의
경제성을 좌우
3) 국내 지열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지열의 직접이용 시장
(2) 지열발전
4) 지열발전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시급
제3장 건축물에너지 설비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스마트 건축물에너지 관리시스템 현황 분석
1) 스마트 건축물에너지
관리시스템 산업 및 시장 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조사
2)
스마트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나. 특허분류체계를 이용한 기술트리
다.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라. 요소기술별 종합평가
(4)
핵심요소기술 및 기술로드맵
가. 핵심요소기술
⒜ 요소기술 후보군
⒝ 핵심요소기술 선정
나. 로드맵 기획
⒜ 연구개발
목표 설정
⒝ 로드맵 기획
2. 냉난방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구체축열시스템 기술개발 특성과 평가
(1) 구체축열시스템의
설계 및 운전 조건에 따른 실내온열환경 특성
가. 시뮬레이션 대상 건물 모델링
나. 시뮬레이션 조건 및 방법
다. 실내온열환경
평가
(2) 구체축열복사냉난방시스템과 외기전담공조시스템의 통합 적용에 따른 냉방성능 평가
가. 시뮬레이션 계획
나.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실내온열환경 평가
⒝ 냉방부하 제거특성
(3) 난방운전조건에 따른 구체축열 복사난방 공간의 실내 온열 환경
특성
가. 실험 계획
⒜ 실험실 계획
⒝ 실험 조건 및 방법
나. 실험 결과 분석
⒜ 1차 실험
⒝ 2차
실험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PCM 적용 건축기술 개발 현황
가. 건축물에서 PCM의 Passive 적용
방법
⒜ PCM 플라스터, PCM 모르타르
⒝ PCM 보드
⒞ PCM 블록
⒟ PCM 건축도장재, PCM
타일/Flooring
나. 건축물에서 PCM의 Active 적용 방법
⒜ PCM 보드를 활용한 천장패널 냉난방시스템
⒝ PCM
활용 바닥난방시스템
⒞ PCM 축열조 태양열시스템
다. PCM을 활용한 설비시스템의 효율 및 성능 향상
⒜ 동파방지밸브
⒝
열회수시스템의 열매 활용
⒞ PCM을 활용한 열대지역 통신기지국
(2) 구체축열 복사냉난방시스템 기술 개발 현황
(3) 중공
슬래브 구조 기술 개발 현황
3. 환기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제로에너지하우스에 적용 가능한 최적환기시스템
2) 배기열 회수
환기장치용 판형 열교환기
(1) 알루미늄 열교환기
(2) 종이 열교환기
(3) 플라스틱 열교환기
3) 에너지 절약
공동주택용 환기시스템
(1) 벽체매립형 환기시스템
(2) EPP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3) 소형 환기시스템
(4)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4. 조명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조명제어 시스템의 적용과 개발
(1) 조명제어 시스템의 적용
가.
대규모 조명제어 시스템
나. 중소형 조명제어 시스템
다. 스마트 자동제어 시스템
라. LED 가로등 조명 시스템
(2)
에너지 절약을 위한 위치측위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개발
가. 조명 제어 모듈 설계
나. 조명제어를 위한 위치측위 시스템
설계
⒜ Fingerprinting 기반 위치 측위 기술
⒝ 조명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다. 개발 평가
2) LED
조명제어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큐레이션을 적용한 스마트 LED 조명제어시스템
(2) 색온도 가변형 LED
조명제어시스템
가. LED조명제어시스템 구성
나. PWM 변조 방식
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라. 색온도 가변형
조명제어시스템 구현
마. 결과 및 고찰
3) 제로에너지 건물을 위한 블라인드PV 연동 LED 조명시스템 기술개발
(1)
연구개발과제
가. 제로에너지 건물을 통한 에너지 절감
나. 제로에너지 건물을 위한 개별 시스템의 필요성
⒜ 자동 블라인드PV
시스템
⒝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
⒞ LED 조명시스템
다. 통합 제어솔루션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가. 자동
블라인드PV 시스템의 연구현황 및 문제점
나.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의 연구현황 및 문제점
다. LED 조명시스템의 연구현황 및
문제점
5. 외피시스템 산업과 기술개발 현황
1) 고효율 건축외피 시스템 분석
(1)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2) 기업니즈조사
(3) 기술
분석
가. 기술동향 분석
⒜ 세계동향
⒝ 국내동향
나. 기술군 도출
⒜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 특허분류체계를 이용한 기술트리
⒞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다. 기술지수분석
⒜ 기술성장성 분석
⒝
기술수준 분석
⒞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 요소기술별 종합평가
2) 건물 외피시스템의 기술동향
(1) 그린리모델링
외피시스템의 분류
(2) 그린리모델링 공사의 외피선정 시 고려요인
(3) 해외사례
가. 마운틴 장비회사(Mountain
Equipment MEC), 오타와, 캐나다
나. 스탠호프(Stahope) 임대주택단지, 뉴캐슬(Newcastle), 영국
다.
피리저 가(PARISER STRASSE)의 집합주택, 뮌헨, 독일
라. Engelsby, 플렌스부르크(Flensburg), 독일
마.
GSW Headquaters, 베를린, 독일
바. Debis Building, 베를린, 독일
사. TERBRO 주택, 코펜하겐,
덴마크
아. 백악관(The White House), 워싱톤 D.C, 미국
자. 환경청 본부건물(EPA National
Headquarters), 워싱턴 D.C, 미국
3) 건축물 에너지성능평가를 위한 BIM 기반의 외피 자동 판단 알고리즘 개발
(1)
건물 외피의 유형 분석
가. 건물 외피의 유형 정리
나. 외피 유형의 특징 분석
(2) 외피 판단 알고리즘 정의
가.
단열조치 부위 판단
나. 외기에 직접 또는 간접 면하는 부위 판단
(3) BIM 기반의 외피 판단 알고리즘 개발
가. BIM
기반 벽 부위 외피 판단 알고리즘
나. BIM 기반 최상층 지붕 부위 외피 판단 알고리즘
다. BIM 기반 최하층 바닥 부위 외피
판단 알고리즘
라. BIM 기반 창호 부위 외피 판단 알고리즘
4) 전면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외부차양 설치 전·후에 따른 에너지
부하량 검토
(1) 시뮬레이션 개요
(2) 해석모델 설정 및 경계조건
(3) 시뮬레이션 결과
가. 이중외피 설치 전 에너지
부하량 검토
나. 이중외피 설치 후 에너지 부하량 검토(WWR 40%)
다. 이중외피 설치 후 에너지 부하량 검토(WWR
70%)
라. 이중외피 설치 후 에너지 부하량 검토(WWR 100%)
(4) 결론
제 Ⅱ편 스마트 친환경 에너지건축물 산업
제1장 녹색건축물 정책사례와 기술/사업 현황
1. 재생에너지
활용형 녹색건축물 기술 현황
1) 기술의 개요
(1) 자연형 태양열 이용기술
(2) 종류 및 특성
2)
주요핵심기술
(1) 설비형 태양열 이용기술
(2) 채광기술
(3) 태양전지 이용기술
(4) 태양광 발전
(5)
지열이용 냉난방기술
(6) 지중열교환기
(7) 풍력발전 이용기술
3) 녹색건축 해외사례
(1) Mont Cenis
Academy
(2) 바레인 월드 트레이드센터 (Bahrain World Trade Center)
(3) 캘리포니아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 자원순환형 녹색건축물 기술 현황
1) 자원순환형
녹색건축기술
(1) 녹색건축물 조성을 위한 자원순환의 개념
(2) 자원순환형 녹색건축기술
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나.
음식물쓰레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
다. 음식물쓰레기
디스포저(Disposer)
라. 유기성폐기물 혐기성 소화 시스템
마.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을 연계한 분산형 에너지화 시스템
바.
물순환
⒜ 빗물이용시설
⒝ 중수도 도입
2) 녹색건축물 관련사례
(1) 서울시
(2) 세종시
(3) SK
에코랩
(4) 국외
가. 스웨덴 하마비 허스타드
나. 런던 녹색마을 베드제드
다. 오스트리아 무레크시
3) 최첨단
통합디자인에 의한 녹색건축물
(1) 41 Cooper Square, 뉴욕, 미국
(2) 런던 시청사 (London City
Hall), 런던, 영국
(3) Starata SE1, London, 영국
3. 녹색건축물 관련 정책사례 및 사업 추진현황
1)
녹색건축 관련 해외정책
(1) 선진적 녹색건축 정책
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례(Green building
Ordinances)
나. 친환경 올림픽 준비를 위한 런던의 친환경 정책
(2) 중앙의 지역건축센터 및 인증제도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3) 지역의 녹색건축지원센터 및 인증제도
가. 영국의 지역별
녹색건축지원센터_CABE
나. 일본의 지역별 녹색건축지원센터
다. 네덜란드의 지역건축센터
2) 녹색건축 관련
국내정책
(1) 녹색건축 관련 법령 및 조례 현황
가. 녹색건축 관련 법⋅제도
나. 녹색건축 관련 조례 등
다.
행정규칙
라. 전국 지자체 조례
(2)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
가. 녹색건축 인증제도 G-SEED
⒜ 녹색건축 인증제도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 인센티브 및 기타
나. 장수명 주택 인증제도
⒜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 인센티브 및 기타
다.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제도
⒜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라. 지능형 건축물 인증제도
⒜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 인센티브 및 기타
마.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
기준
⒜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 인센티브 및 기타
바. 건강친화형 주택건설
⒜
개요
⒝ 운영주체 및 체계
⒞ 인증 기준 및 등급체계
사. 기타
⒜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인증제도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3) 국가 녹색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분석
(1) 중앙정부 녹색도시·건축정책 추진현황
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2020년 로드맵 마련
나. 부처별 온실가스 감축 세부내용
(2) 국가 녹색건축 기본계획 목표 및 전략
가. 추진
배경
나. 세부 내용
4) 서울시 녹색건축 관련 정책 사례분석
(1) 2030 그린디자인 서울 마스터플랜
가.
추진배경
나. 세부 내용
(2)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사업
가. 추진배경
나. 세부 내용
(3)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가. 세부내용
나. 자치구별 기준 적용현황
5) 녹색건축 조성관련 해외 정책사례 분석
(1) 도시환경개선
프로그램
가. 뉴욕시 그린인프라 계획
나. 시카고, Green Alley 프로그램
(2) 주택에너지효율화 사업
가. 독일
에너지․기후 통합프로그램
나. 미국 WAP(Weatherization Assistance Program) 지원 프로그램
4.
친환경에너지 타운 사례 현황
1) 친환경에너지 타운 주요 정책 및 현황조사
(1) 오스트리아
(2) 독일
(3)
일본
2) 국내 친환경에너지타운 사례 현황
(1)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추진 배경과 과정
(2)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사례조사
가.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나. 충북혁신도시(진천군)
다. 강원도 홍천군 소매곡리
제2장 그린리모델링 산업과
기술연구 동향
1. 그린리모델링 산업과 활성화 현황
1) 그린리모델링 현황 및 활성화 가능성
(1) 그린 리모델링 추진 배경 및
기대효과
(2) 해외 정책사례 및 국내 정책 추진방향
(3) 그린 리모델링 활성화 가능성
2) 국내 그린리모델링 정책 현황과
시장 활성화 방안
(1) 그린리모델링과 그린리모델링 창조 센터
가. 그린리모델링
나. 그린리모델링 창조센터
(2) 공공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가. 시범사업 개요
나. 시범사업 추진 내용
⒜ 2013년 사업 추진 내용
⒝ 2014년 사업 추진
내용
⒞ 2015년 사업 추진 내용
다.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3) 민간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사업
가. 이자지원사업
개요
나. 지원기준
⒜ 이자지원 대상 공사범위
⒝ 이자지원 기간 및 금액 한도
⒞ 이자지원 기준
⒟
신청절차
다. 사업 추진 현황
(4)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가. 이자지원사업 금융권 확대
나. 건축물대장에
그린리모델링 내역 표기
다. 대학건물 이자지원사업 참여 유도
라. 중장기 개선 방안
⒜ 공공부문 경영평가 반영
⒝
그린리모델링 사업비 확보
⒞ 녹색건축센터간 업무 협업을 통한 사업성 개선
3) 그린리모델링 사업모델 분석
(1) Post
근대주의와 녹색건축
(2) 그린리모델링 현주소
(3) 새로운 그린리모델링 향해
(4) 그린리모델링과 미래
2. 그린리모델링
정책관련 연구 방향
1) 그린리모델링 통합 정책 접근법
(1) 통합 패키지 접근 방법
(2) 정책 패키지 자가진단
툴
(3) 그린리모델링 통합 패키지 적용 성공 사례
2) 그린리모델링 정책 진단 및 방향 설정
(1) 현행 그린리모델링 정책
진단
(2) 향후 그린리모델링 정책 방향
(3) 정책 제안 과제 도출
(4) 정책 제안 과제 추진계획 수립
3.
그린리모델링과 도시재생사업의 결합 사례
1) 중 ·저밀도형 사례
(1) 신규
가. 비키(Viikki)
⒜ 개발방식
⒝
에너지
나. 업튼(Upton)
⒜ 개발방식
⒝ 에너지
⒞ 재정지원
⒟ 개발특성
(2) 보봉(Vauban)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재정 지원
라. 개발특성
(3) 팰타운(Paltown)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개발특성
2) 고밀도(도심, 공동주택)형 사례
(1) 애시포드 ZED주택(Ashford
ZEDhomes)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2) 멜로즈 커먼즈(Melrose Commons)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재정지원
라. 개발특성
(3) 바킹 중심가 재개발(Barking Town Centre)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개발특성
(4) 말뫼(Malmo Bo01)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개발특성
(5) 가드스텐 태양주택
가. 개발방식
나. 에너지
다. 개발특성
라. 기타
4. 그린리모델링 기술연구
개발 현황
1) 그린리모델링 에너지저감 효과 예측 Tool 구축에 관한 연구
(1) 연구 목적과 절차
가. 연구의
목적
나. 연구의 방법 및 절차
(2) 국외 그린리모델링 에너지 저감 예측 Tool 사례분석
가. 유럽의 TABULA
나.
미국의 DEEP
(3) 국내 업무시설 레퍼런스 건물 정립 및 에너지 성능 평가
가. 국내 업무시설의 레퍼런스 건물 정립
나.
업무시설 건물유형별 에너지 성능 분석
⒜ 건물유형별 에너지 소비량 시뮬레이션 개요
⒝ 건물유형별 에너지 소비량 분석 결과
2)
공공건물 그린리모델링 경제성 평가툴 개발 및 활용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경제성 평가툴 개발 개요
(3)
활용사례
3)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 리모델링 설계방법 연구
(1) 노후 주거환경과 친환경 건축물 관련 정책
현황
가. 노후 주거환경의 실태
나. 친환경 건축물 관련 정책 현황
(2)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설계방법
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
나.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 리모델링 설계 방법으로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
제3장 스마트 시티/그리드
정책과 기술 현황
1. 제로에너지 스마트시티 조성 추진 현황
1)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의 개념 정립
(1) 스마트 도시 개념
및 분류
(2) 에너지효율화 및 에너지 저감
(3) 기존 유사도시 개념
(4) 제로 에너지 스마트도시의 개념 정립
가.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란
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와의 비교
2)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
(1) 계획 수립 내용
측면
가. 기존 계획의 한계
나. 계획 수립시 주안점
다. 계획 수립시 분야별 주요 필요사항
⒜ 개발계획 변경
단계
⒝ 지구단위계획 수립단계
⒞ 실시설계 단계
(2) 제도 개선방안
가. 에너지 통합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안)
나. S-Prosumer 추진
(3) 향후 사업 추진방안
가. 도시개발형 비즈니스 모델
나. 스마트 그리드형
비즈니스 모델
다. 신재생 도입 및 에너지 거래형 비즈니스 모델
라. 차세대교통 시스템 활용 비즈니스 모델
3)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1) 글로벌 동향과 국내 현황
가. 글로벌 동향
나. 국내 현황
다. 정책추진 방향
(2)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가. 도시 성장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추진
⒜ 신규개발 단계 - 국가 시범도시 조성 + 지역거점 육성
⒝ 도시운영 단계
- 기존도시 스마트화 및 확산
⒞ 노후·쇠퇴 단계 -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추진
나.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도입
⒜
도시에 접목 가능한 미래 신기술 집중 육성
⒝ 국민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다. 민간/시민/정부의 주체별 역할
정립
⒜ 민간의 창의성을 활용한 신성장동력 확충
⒝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 혁신기반 조성
⒞ 스마트시티 조성·확산을 위한
정부지원 확대
(3) 재정지원 원칙
2. 스마트그리드 산업과 정책 현황
1) 정보통신과 전력망의 융합, 스마트그리드
산업
(1) 개요
(2)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으로 관련 시장 활성화 기대
가. 세계 전력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기대주
나. 글로벌 대기업의 점유율이 높은 세계 시장 상황
다. 국내 기업의 성장으로 세계 시장의 지각변동 예상
2)
스마트그리드 정책과 산업 분석
(1) 해외 스마트그리드 산업 및 정책 동향
(2) 국내 스마트그리드 산업 및 정책 동향
가.
산업동향
나. 정책동향
(3) 한, 미, 일 스마트그리드 정책 및 실증
가. 미국
⒜ 스마트그리드 정책
⒝
스마트그리드 실증 프로젝트
⒞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 성과
나. 일본
⒜ 스마트그리드 정책
⒝ 스마트그리드 주요
프로젝트
다. 한국
⒜ 스마트그리드 정책
⒝ 스마트그리드 주요 프로젝트
라. 국가별 상호비교 결과
마. 정책적
시사점
3) 국내 스마트그리드 관련 사업 및 특징
(1)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
(2)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3)
스마트그리드 구축 효과와 관련된 지표
3.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AMI/ESS 기술 동향
1) 스마트그리드시대의
에너지관리
(1) 에너지관리 측면의 스마트그리드 현황
(2) 합리적 에너지 소비와 관리
(3) 공동주택의 에너지
정보시스템
(4) 스마트미터와 원격검침시스템
2)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AMI 기술 동향
(1) 지능형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
(2) AMI 기술 개요
가.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개념
나. AMI
네트워크 구조
(3) AMI 통신 기술
가. 기존 AMI 통신기술
⒜ PLC
⒝ IEEE 802.11s (Wifi
Mesh)
⒞ IEEE 802.15.4(ZigBee)
⒟ IEEE 802.3(Ethernet, 초고속통신망)
나. 새로운 무선
통신 표준 기술
⒜ IEEE 802.15.4g(SUN)
⒝ IEEE 802.11ah(광역 무선랜)
⒞ IEEE
802.16(M2M)
⒟ IEEE 802.22b(TV White Space)
3) ESS(에너지저장시스템) 활성화 방안과 기술개발
현황
(1) ESS의 기술과 정책
가. 개념 및 기술
나. ESS의 수요
⒜ DR 애플리케이션(Utility 부하관리를
위한애플리케이션)
⒝ 계통운영 보조서비스(ancillary service) 애플리케이션
⒞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 분산형 전력저장 애플리케이션
다. ESS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법적 개념 정립
및 규정 마련
⒝ 에너지저장시스템 시장 활성화를 위한제도 마련
(2) 주요 국가의 ESS 시장 동향
가. 세계 ESS 시장
동향
나. 주요 국가의 ESS 시장 동향
⒜ 미국
⒝ 일본
⒞ 독일
⒟ 중국
⒠ 호주
⒡ 이머징
마켓
(3) 기술보급에 따른 사업모델 및 민간기업 사업체계 동향 사례 조사
가. ESS 대여사업
나. 제3자의 ESS 설비를
이용한 유틸리티사의 ESS 사업
다. 가정용 태양광발전+ESS를 이용한 가상발전소(VPP) 사업
라. 전기차 폐배터리를 이용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마. 이동이 가능한 유틸리티용 ESS 사업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