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 [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공유
정가
380,000
판매가
342,000
구매제한
최소 1개
구매혜택
할인 : 적립 마일리지 :
배송비
무료
택배
방문 수령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에이스테크노타워10차 407호
상품코드
1000130085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18쪽 (A4)
ISBN
979-11-5862-165 (93500)
제조일
2021-01-21
구성

상품상세정보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신기후체제의 출범에 따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저탄소 경제사회로의 이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전환(energy transition)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석탄과 원자력에너지 사용이 감소하고 친환경 에너지원의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에 세계 각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새로운 사업모델에 대한 공공ˑ민간 투자도 증가하면서 에너지 산업 내 혁신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선도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전환 정책은 국가마다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핵심을 이루고 있는 내용은 발전 부문의 연료 저탄소화, 수송 부문의 Mobility 청정화, 산업 및 건물 부문의 에너지효율 고도화, 수요측면에서 에너지수요 감축 등으로 대별된다.

 우리나라는 정부를 중심으로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제도 개선,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 중이며 신기후체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안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11조 1,5092억 원이 편성됐다. 에너지전환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부문은 2020년 3조 8,571억 원에서 2021년 1조 385억 원 증가한 4조 8,956억 원이 편성됐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시스템 전반의 혁신과 일자리창출을 유도해 나가기 위해 그린뉴딜 관련투자를 강화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에너지전환 및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주요 선진국 현황과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여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에너지전환 정책과 실효성 분석, 전력산업의 변화 전망과 전력부문 주요 환경정책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현황 및 트렌드, 수요자원거래시장/전력중개시장/에너지자립섬/친환경에너지타운/제로에너지건축물/에너지저장시스템의 주요 기술 및 관련 정책을 수록하였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에너지전환 정책과 전력산업 전망
제 1장 에너지전환 정책과 추진성과
1.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1) 세계 에너지 지형의 변화
(1) 세계 에너지 수급 현황
(2) 세계 에너지 정세 변화
2) 세계 에너지와 기후변화 위기대응
(1) 에너지 사용량 증가
(2) 기후변화 위기대응
3) 에너지전환으로의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2. 국내외 에너지전환 정책 동향과 실효성 분석
1)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 및 도입 배경
(1) 국제협약 체결 및 청정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치적 공약
(2) 지역 경제공동체(EU)의 결정
2) 주요국 에너지전환 정책과 추진성과
(1) 주요국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독일
나. 영국
라. 프랑스
마. 일본
(2) 주요국의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성과
가. 독일
나. 영국
다. 프랑스
라. 일본
3) 국내 에너지전환 정책 방향과 실효성 분석
(1)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방향
가.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계획
(2) 에너지전환 정책 관련 현주소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전력계통
라. 원전해체
(3) 에너지전환 정책의 실효성 분석
가. 에너지전환의 실효성 제약 요인 
나. 에너지전환의 실효성 제고 방안
다. 시사점
제 2장 전력산업 전망과 전력부문 환경정책
1. 전력산업 규제기관 및 경쟁체제 도입 현황
1) 국내외 전력산업 규제기관 현황 및 역할
(1) 해외 규제기관 현황 및 역할
가. 미국
나. 영국
다. 독일
라. 프랑스
마. 일본
(2) 국내 규제기관 현황 및 역할
가. 전기요금 조정 절차
나. 규제기관(ERC) 개요
다. 기관의 의사결정 독립성 : 낮음
2) 국내외 전력산업 경쟁체제 도입 현황
(1) 전력산업 경쟁체제 도입의 필요성
(2) 경쟁체제 도입 효과
(3) 국내외 경쟁체제 도입 현황
가. 해외 주요국 도입 현황
나. 국내 도입 현황
(4) 국내 경쟁체제 도입 여건 평가
(5) 시사점
2.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전력산업의 변화
1) 전력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사례
(1) 미국
(2) 유럽
가. 독일
나. 오스트리아
다. 남아공
2) 주요국의 전력산업 동향
(1) 미국
가. Exelon
나. Con Edison
다. 평가
(2) 독일
가. E.ON
나. RWE 
다. 평가
(3) 일본
가. TEPCO(도쿄전력)
나. KEPCO(간사이전력)
다. 평가
3) 미래 전력산업의 변화 전망
(1) 전력수요의 변화
(2) 전력의 생산과 수요관리
(3) 전력거래방식
(4) 규제제도
(5) 신기술의 영향
3. 국내외 전력부문 주요 환경정책
1) 주요국의 전력부문 주요 환경정책
(1) 전력의 공급신뢰도와 설비예비율
가. US DOE의 전력 공급신뢰도 유지 방안 검토
나. PJM의 설비예비율 현황
다. 영국(GB)의 설비예비율 현황
라. 저탄소 전력시스템 이행을 위한 전력공급의 효율적 안보 확보
마. 한국과 해외사례의 설비예비율 비교분석
(2) 수요반응자원의 활용
가. IEA DSM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및 정책권고
나. 수요(반응)자원의 최대수요 감축 잠재력
다. 수요반응자원의 활용유형
라. 세계 수요반응자원 시장 및 정책동향
(3) EU의 전력부문 연소관련 환경기준
가. 기본체계
나. 특정 액체연료의 황함유량 감축 지침
다. 산업배출지침의 대규모 연소공장에 대한 특별규정
라. 중규모 연소공장 지침
(4) 미세먼지 대기환경기준의 국제비교
가. 세계 주요 대도시의 미세먼지 농도
나. 미세먼지 대기환경기준의 국제비교
(5) 전력요금의 국제비교
가. 시장 환율 전력요금
나. 구매력환율 전력요금
다. OECD 국가별 시장 환율 전력요금 비교
라. OECD 국가별 구매력환율 전력요금 비교
(6) EU의 2030 기후 및 에너지 대책
가. 기본체계 및 세부계획
나. 에너지연합 계획 (2015.2.25.)
다. 에너지시스템 전환 계획 (2015.7.15.)
라.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 계획 (2016.7.20.)
마. 유럽인을 위한 청정에너지 계획 (2016.11.30.)
(7) 영국 정부의 국민대화 방법
가. 국민대화의 개념, 영향, 편익, 비용 및 지원 기구
나. 국민대화의 추진배경
다. 국민대화의 추진방법
라. 사례분석: 커다란 에너지전환에 대한 국민대화
마. 국민 참여 형태의 국제비교
2) 전력부문의 에너지・환경정책 관련 법제도 
(1) 현정부의 전력부문 관련 정책
가. 현정부의 에너지정책 중 전력부문 관련 정책
나. 현정부의 환경・기후변화 정책 중 전력부문 관련 정책
(2) 미세먼지 및 기후변화 관련 전력부문 법제도
가. 근거 법규
나. 법규의 주요 내용
(3) 수요관리 및 수요자원 관련 전력부문 법제도
가. 근거 법규
나. 법규의 주요 내용
(4) 전기요금정책 관련 법제도
가. 근거 법규
나. 법규의 주요 내용
(5) 협의, 협력 및 의견수렴 관련 전력부문 법제도
가. 근거 법규
나. 법규의 주요 내용

 

제 Ⅱ편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전망
제 1장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동향
1. 에너지 신산업 트렌드 및 추진 동향
1) 국내외 에너지 신산업 발전방향과 활성화 과제
(1)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가. ICT 융합 가속화
나. 분산형 전원의 확산
다. 재생에너지의 안정화
라. 전통적 에너지원의 청정화
(2) 국내 에너지 산업의 문제
가. 핵심기술에 대한 투자 부족
나. 분산형 전원 활성화 제약
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의 지연
라. 경제급전 원칙으로 실제 발전믹스 변화 미미
(3)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방안
가. 연구개발 투자 확대
나. 분산형 전원 확충
다. 재생에너지 보급 지원
라. 경제급전 중심의 전력거래 시스템 개선
2) 국내외 에너지 신산업 현황 및 전망
(1) 일반 현황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2) 권역별 주요국 에너지 현황 및 정책
가. 미국 및 중남미
나. EU
다. 아시아
(3) 주요국의 해외 진출전략 분석
가. 미국
나. EU
다. 중국
라. 일본
3) 국내 에너지 신산업 경쟁력 평가
(1) 에너지 신산업 분야별 선도국가 
(2) 에너지 신산업 경쟁력 분석
2. 에너지 신서비스 트렌드 및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에너지 신서비스 트렌드 및 정책 동향
(1) 해외 에너지 신서비스사업화 배경
가. 가상발전소(VPP)
나. 수요반응(DR)
(2) 해외 주요국 에너지 신서비스사업 정책 동향
가. 에너지 신서비스사업 인프라 및 투자 동향
나. 미국 신서비스사업 정책 동향
다. EU 신서비스사업 정책 동향
라. 일본 신서비스사업 정책 동향
마. 주요국의 신서비스 관련 동향 정리
(3) 주요 기업의 인프라 및 서비스 투자 방향
가. 미국
나. 영국
다. 스위스, ABB Ltd.
라. 핀란드, Ensto
마. 중국, Chint Group
바. 일본, Honda
사. 호주, AGL
(4) 해외 에너지 신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정리
가. 해외 기업들의 비즈니스모델 특징
나. 전기차 및 충전소 관련 비즈니스 모델
다. EMS 관련 Business Model
라. ESS 관련 Business Model
마. 수요반응 관련 Business Model
바. 스마트그리드 관련 Business Model
사. 전력빅데이터 관련 Business Model
아. VPP 유형의 Business Model
자. V2G Business Model
차. 국내 에너지 신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시사점
2) 국내 에너지 신서비스 정책 동향 및 생태계
(1) 국내 에너지 신서비스 정책 동향
(2) 국내 기업의 인프라 및 서비스 투자 방향
가. 거래
나. 공급
다. 수요
(3) 새로운 사업 창출 및 기존 사업 활성화 제약 요인 분석 및 방안
가. 에너지 프로슈머 거래시장에서의 사업활성화 제약 요인 분석 및 방안
나. 에너지 프로슈머 거래시장의 선도적 도입국 대응 상황 검토
제 2장 수요자원거래시장/전력중개시장
1. 가상발전소(VPP) 운영 현황
1) 가상발전소 개요
(1) 정의
(2) 유형
가. 공급형 VPP
나. 수요형 VPP
다. 융합형 VPP
라. 상업적 VPP
마. 기술적 VPP
(3) 기술적 특성
2) 가상발전소 기술의 구조
(1) 중앙제어 VPP
(2) 분산제어형 VPP
(3) 완전 분산형 제어 VPP 
3) 국내외 가상발전소 운영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EU
(2) 국내 현황
2. 수요자원 거래시장 현황 및 주요 쟁점
1) 수요자원 거래시장 개요
(1) 전력 수요관리의 개념
(2)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등장배경
(3) 수요자원 거래시장 제도 정의 및 운영구조
가. 정의
나. 운영구조
(4) 수요자원 거래시장에 대한 문제 제기
2) 수요자원 거래시장에서의 거래 방법 및 유형
(1) 거래방법
(2) 고객 등록 요건
(3) 수요감축량 산정을 위한 기준선
(4) 거래의 유형
3) 수요자원 거래시장 현황
(1) 시장 운영현황 및 거래실적
(2) 소규모 수요자원 거래(국민DR) 추진
4) 주요국 수요자원 거래시장 주요 정책
(1) 미국
(2) 캐나다
(3) 유럽
가. 영국
나. 프랑스
(4) 일본
5)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주요 쟁점
(1) 고객 등록 조건에서의 문제
(2) 거래 기준선의 적절성 문제
(3) 원단위 개선의 한계
3.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현황 및 관련 제도
1)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개요
(1)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정의
(2)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구성
(3) 중개사업자 업무
(4) 중개시장 운영 현황
(5)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개설의 법적 근거 및 운영구조
2)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현황
(1) 시장 운영현황 및 거래실적
(2) 현재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의 한계와 과제
3) 국내외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관련 제도
(1) 해외 소규모 전력중개시장 관련 제도
가 독일의 중개사업자 지원 제도
나. 호주의 SGA 제도
다. 미국 캘리포니아 DERP 및 SC 제도
(2) 국내 소규모 전력중개제도 관련 법 개정 및 거래 흐름
가. 전기사업법 주요 개정 내용(2018.6.12.)
나. 소규모 전력중개 거래 흐름 및 기대효과
4) 해외 전력중개사업 추진 사례
(1) 호주
(2) 독일
(3) 일본
(4) 미국
제 3장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1.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사례 및 현황
1) 에너지자립의 개념
(1) 에너지자립의 다양한 개념
가. 지역 내 생산 에너지로 소비 충당
나. 재생가능한 에너지 사용
다. 계통 연계 지역의 에너지 자치 강화
라. 수동적 에너지 자립
(2) 에너지전환과 에너지자립
가. 에너지전환의 여러 개념
나. 에너지전환과 유사개념의 관계
2) 국내외 에너지자립섬 추진 사례
(1) 해외 사례
가. 덴마크 삼소(Samso)섬 
나. 카나리아 제도 엘 이에로(El Hierro)섬
다. 남태평양 토켈라우(Tokelau)
라. 카보베르데(Cabo Verde)
마. 사이프러스(Cyprus)
바. 피지(FIJI)공화국
사. 사모아(Samoa)
(2) 국내 사례 및 추진 현황
가. 국내 사례
나. 국내 추진 현황 및 구축계획
3) 해외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사례
(1) 선진국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사례
가. 호주 킹 섬(King Island) 마이크로그리드 사례
나. 카리비안 Netherlands 령 사바섬(Saba Island) 디젤 연동 태양광 및 ESS 하이브리드 시스템 IPP 입찰 프로젝트
다. 선진국 에너지자립섬 사례와 우리나라 에너지자립섬 사례의 비교 분석
(2) 개도국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사례
가. 인도양 Maldivies 5개 도서 마이크로그리드 건설 입찰 사업 : 몰디브 POISED(Preparing Outer Islands for Sustainable Energy Development) Project 사례 
나. 남태평양 Cook Island 마이크로그리드 건설 입찰사업
다. 남태평양 Tonga 도서지역 Hybrid 프로젝트
(3)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사업 참여사례
가. Guam 태양광 및 ESS IPP 프로젝트
나.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참여 사례

2. 에너지자립섬 시장 경쟁력과 해외 진출 전략
1)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프로젝트 경쟁력 분석
(1) 해외 에너지자립섬 시장의 전개 및 경쟁요소
가. 시장의 전개 및 전망
나. 선진국 에너지자립섬 시장의 특성 및 경쟁력 요소
다. 개도국 에너지자립섬 시장의 특성 및 경쟁력 요소
(2) SWOT Model에 의한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시장의 경쟁력 평가
가. 선진국 IPP 시장에서 우리기업의 경쟁력 분석
나. 개도국 프로젝트 입찰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 분석
2)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시장진출 전략
(1) 시장별 핵심역량 요구
가. 선진국 마이크로그리드 시장
나. 개도국 마이크로그리드 시장
(2) 국내 기업의 해외 에너지자립섬 시장진출 전략의 제안
가. 선진국 IPP 사업 시장
나. 개도국 ODA 사업 시장
(3) 해외 에너지자립섬 시장 진출을 위한 민・관의 과제
3. 에너지자립섬 구축을 위한 주요 기반기술
1)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1) 마이크로그리드 유형 및 특징
가. 정의
나. 이점
다. 구성
라. 유형
마. 장단점
(2) 마이크로그리드 주요 요소기술
가. 전력 품질보상을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나. STS/IED(Static Transfer Switch/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다. Network Gateway
라. 에너지 생산을 제어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3) 국내외 마이크로그리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2) 지능형전력계량인프라(AMI)
(1) AMI 정의 및 구성
가. 정의
나. 구성
다. AMI 네트워크 구조
(2) AMI 통신 기술
가. 기존 AMI 통신기술
나. 새로운 무선 통신 표준 기술
3) 에너지관리시스템(EMS) 
(1) EMS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EMS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3) 국내외 EMS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4) EMS 기술 환경 분석
가. EMS 관리 기술 역할의 확대
나. EMS 관리 기술 관리대상의 확대
다. EMS 관리 기능의 확대
라. EMS 관리 기술 구성 형태의 변화
마. EMS 관리 기술 용도의 확대
바. EMS 관리 기술 구현 수준의 변화
(5) 국내외 EMS 주요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제 4장 친환경 에너지타운
1.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및 비즈니스모델
1) 친환경 에너지타운 정의
2) 국내외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1) 해외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가. 독일
나. 영국
다. 오스트리아
라. 일본
(2) 국내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가. 강원 홍천군(가축분뇨처리시설+하수처리장型)
나. 광주광역시(매립지型) 
다. 충북 진천군(하수처리장 연계 신재생융복합型)
3) 친환경 에너지타운 비즈니스모델 및 해외진출 방안
(1) 친환경 에너지타운 비즈니스모델
가. 구분 
나.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2) 주민 수용성 확대를 위한 민간참여 방안
(3) 해외진출 방안
2. 친환경 에너지타운 관련 법규 및 계획
1) 친환경 에너지타운 관련법규
(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2) 도시공원・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2) 친환경 에너지타운 관련계획
(1) 친환경 에너지타운 종합계획(2014.12.19.)
가. 추진 배경 및 목적
나. 친환경 에너지타운 기본방향
다. 시범사업 대상지역 및 추진현황
(2)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2014, 산업통상자원부)
(3)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2014, 산업통상자원부)
가. 계획 수립의 목적
나. 비전 및 목표
다. 제4차 세부추진과제
(4)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지식경제부, 2015.7)
제5장 제로에너지건축물
1. 제로에너지건축물 융합기술 및 대표사례
1)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의 및 분류
(1) 정의
(2) 분류
(3) 도입배경
2) 제로에너지건축물 요소기술 소개 
(1) 패시브 기술
가. 자연환기
나. 고성능 창문(또는 고성능 창호)
다. 고기밀
라. 외단열
마. 외부차양
바. 자연채광
사. 옥상녹화
(2) 액티브 기술
가. 고효율 보일러
나. 고효율 가전기기
다. 폐열회수 환기장치
라. 고효율 LED 조명
마. 태양광 발전
바. 풍력발전
사. 연료전지
아. 지열을 이용한 냉방/난방장치
자.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난방장치
차.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3) 제로에너지건축물 최신 융합기술 동향
(1) 제로에너지 건축을 위한 통합설계기술
(2) 패시브 건축기술
가. 고성능 창호 및 융합기술 동향
나. 고성능 외피단열기술 및 융합기술 동향
다. 이중외피 융합기술
(3) 액티브 건축기술
(4)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기술 
(5) 신재생+ESS 통합관리시스템
4) 국내외 제로에너지 융합기술을 적용한 건축물 동향
(1) 해외 제로에너지건축물 대표사례 및 동향
가. 일본 타이세이건설 기술센터
나. 미국 NREL 제로에너지건물
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공과대학 빌딩
(2)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대표사례 및 동향
가. 제로카본그린홈(Zero Carbon Green Home)
나. 이지(EZ)하우스
다. 힐스테이트레이크 송도 공동주택 단지
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
2.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정책 동향
1) 해외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활성화 정책 동향
(1)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목표 및 평가체계
가. EU
나. 영국
다. 독일
라. 미국
마. 일본
(2)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지원 정책 사례
가. 독일
나. 영국
다. 프랑스
라. 미국
마. 시사점
2)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 정책 동향
3.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법・제도 현황
1)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1) 주요 내용
가. 목적
나. 대상
다. 평가기준
라. 인증절차
마. 운영・인증기관
바. 인증수수료
(2) 타 인증제도와의 비교
2) 인센티브 법・제도 현황
(1)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시 제공받는 인센티브
가. 건축물의 용적률 및 높이 완화
나. 주택건설사업 기부채납 부담률 완화
다. 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 확대
(2)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시 제공받는 인센티브
가. 설치 보조금 우선 지원
나. 세제 지원 
3) 지자체 조례 및 인센티브
(1) 지자체 조례를 통한 인센티브 제공 현황
가. 인증비용 지원
나. 건축기준 완화
다. 지방세 감면
라. 공사비용 지원
(2) 서울시 에너지절감 프로그램
가. 아파트 베란다용 미니태양광 지원
나. 에코마일리지 제도
다. 건물에너지효율화사업 융자지원사업
제 6장 에너지저장시스템
1.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산업 생태계 분석
1) ESS 정의 및 종류
(1) 정의
(2) 구성
가. 배터리
나. BMS 
다. PCS 
라. PMS 
(3) ESS 종류
가. 전기・화학적 에너지저장
나. 전기적 에너지저장
다. 기계적 에너지저장
(4) ESS 활용 범위
2) ESS의 산업생태계
3) ESS 연관 산업 현황
(1) 배터리 산업
(2) PCS 산업
(3) ESS 인테그레이션 산업
(4) 디벨로퍼
(5) O&M 
4) ESS 산업 주요 이슈
2.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ESS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해외 주요국 시장 동향
가. 북미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3) 국내 시장 동향
2) 국내외 ESS 분야별 업체 동향
(1) 국내외 분야별 업체 현황
가. 소형 ESS
나. 중대형 ESS
(2) 국내 ESS 업체별 현황 및 경쟁상황
가. 배터리 및 관련 제품
나. PCS
다. EMS/시스템 통합 등
3) 국내외 ESS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ESS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R&D 투자 현황
나. 산업 동향 및 연구 동향
(2) 국내 ESS 기술개발 동향
가. 국가 R&D 투자 현황
나. 국내 기술 수준
다. 산업 동향 및 연구 동향
3.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정책 동향
1) 해외 ESS 정책 동향
(1) 미국
(2) 일본
(3) 독일
(4) 호주
(5) 중국
(6) 캐나다
(7) 프랑스
2) 국내 ESS 보급 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1) ESS 보급 지원 정책
가. ESS 특례 요금제 실시 
나. 재생에너지 연계 ESS의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확대 적용
다. 기타 보급 정책
(2) ESS 보급 사업의 문제점
가. 경제성에 대한 미고려
나. 다수의 화재 사고 발생
다. 전력계통에의 부정적 영향
라. 재생에너지 연계 ESS의 전력 수요관리 기능 미흡
(3) 개선방안
가. ESS 설치에 대한 사전 영향 평가 실시
나. ESS 가동 정지에 따른 합리적 대응 조치 강구
다. ESS 안전 관련 규제 정비

 

도표(그림) 목차

배송안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보기[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 [품절도서] 에너지 신산업·서비스 정책 동향과 전력산업 수요자원 기술/시장분석 [PDF판매]
닫기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닫기

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