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인구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생활수준 향상으로 처방과 치료에서 예방중심 건강관리의 관심이 높아지며 헬스케어 시장이 커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비대면 진료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AI, 애플리케이션, 가상현실 등 IT 기술이 의료서비스와 융합한 것으로 그 범위가 매우 넓다. 특히 AI진단, 원격진료, 디지털 치료제, 의료정보 등의 분야에서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국내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약 237조 원에서 2030년 약 450조원으로 연평균 6.7%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1520억 달러에서 2025년 404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22%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내의 경우, 원격진료나 개인 의료데이터 활용 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과 관련한 규제가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며 아직은 걸음마 단계 수준이다. 이에 정부도 혁신성장 헬스케어를 미래 유망사업으로 선정하고 ‘K-헬스케어’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역량을 기반으로 비대면·개인 맞춤형 돌봄·의료서비스 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각적인 재정투자에 집중한다. 이와 관련되어 2022년 편성된 예산은 ▲IoT 기반 어르신 돌봄서비스 및 만성질환 위험군 대상 모바일 헬스케어 확대 323억원 ▲보건의료 데이터 통합·연계 생태계 조성 및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의료서비스 실증사업 확대 232억원 ▲스마트 병원 모델 보급·확산 235억원 등 총 790억원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동향을 적시에 분석하고 대비함으로써 미래 보건의료 산업을 주도하고자 「디지털/스마트 헬스케어 R&D전략 -AI/빅데이터/메타버스/디지털트윈」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로벌 헬스케어 동향과 바이오헬스 해외 진출 현황, 스마트/디지털 헬스케어 개발현황과 AI/빅데이터/메타버스/디지털트윈 활용 의료·헬스케어 R&D동향, 스마트케어(돌봄) 서비스 현황 등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 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1장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 헬스케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 COVID-19가 헬스케어 산업에 미친 영향
(1) 코로나19의 제약산업 영향
가. 글로벌
A) 신약 임상시험 과정의 진화 촉진
B) 글로벌 처방의약품 매출 타격 제한적, R&D 비용 지출은 보다 효율화
나. 국내외 주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현황
다. 국내
(2) 코로나19의 의료기기 산업 영향
가. 의료기기 글로벌 시장 동향
나.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A) 로슈(Roche)
B) 애보트(Abbott Laboratories)
다. 코로나19의 국내 의료기기 산업 영향
라. 코로나19 진단시약 주요 기업 개발 현황
A) 수젠텍
B) 씨젠
C) GC녹십자MS
2) K-방역 디지털헬스케어 우수사례
(1) 예방 및 검사를 위한 기술 적용
가. 병원체자원정보관리시스템
나. 스마트검역시스템
다. 특별입국자 자가진단앱
라. 진단장비
(2) 확산방지(환자·접촉자 관리)를 위한 기술적용
가. 코로나19 역학조사지원시스템
나. 자가격리자 안전보호앱 등
(3) 전화상담·처방 등 비대면 기술적용
가. 전화상담 및 처방
나. 주요 의료기관 비대면서비스 제공
(4) 기타 비대면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기술
2. 스마트·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주요동향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1) 스마트 헬스케어
(2) 디지털 헬스케어
가.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
나.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구조
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의 배경
2)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산업·정책동향
(1) 기술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2) 주요국 시장 및 기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중국
(3) 국내 시장 및 기업 동향
(4) 정책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산업·정책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 핵심 기술 동향
가.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기술
나.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기술
다. 빅데이터 기술
라. IoT 기반 헬스케어 기술
(2) 산업 동향
가. 스타트업 동향
나. 글로벌 IT 기업의 의료시장 진출 동향
다.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유망기업
A) Freenome
B) Helix
C) Color
D) PAIGE
E) LetsGetChecked
라. 국내 주요기업 현황
(3) 시장 동향
가. 글로벌
나. 국내
(4)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전략
가. 산업 특성
나. 국내 동향
A) 시장
B) 애로 사항
다. 해외 동향
라. 주요 추진과제
A) 시장 창출 지원 강화
B) 데이터 기반 융복합헬스케어 기기 개발
C) 활성화 기반 조성
4)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사례
(1) 새로운 IT 솔루션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2)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서비스형(as-a-Service) 솔루션
(3) 헬스케어 분야 서비스형 솔루션과 서비스형 헬스케어(Healthcare-as-a-Service) 솔루션
3. 헬스케어 10대 기술트렌드와 특허분석
1) 헬스케어 기술 10대 트렌드
(1) 원격 의료
(2) 인공지능 및 로봇
(3) 블록체인
(4) 세포치료 및 재생의료
(5) 유전자 편집 및 치료
(6) 증강/가상헬스
(7) 정밀 의료
(8) 디지털 치료제
(9) 혁신적 백신
(10) 연결된 인지 기기(IoMT)
(11) 그 외
가. 전자약
나. 뇌지도
다. 체외진단
라. 3D 프린팅
마. 나노 기술
2) 특허 데이터 분석과 헬스케어 기술 트렌드
(1) 분석 대상
(2) 분석 결과
가. 특허 등록 현황
나. 국가별 특허 Keyword 빈도 분석 결과
다. Keyword 시계열 분석 결과
라. Keyword Network 분석 결과
마. 시사점
제 2장 바이오 헬스 융합산업 해외진출 현황과 전략
1. 바이오헬스 미래유망기술 동향
1) 바이오헬스
2) 미래유망기술 주요동향
(1)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인공장기와 조직
(2) 손실된 인체감각을 대체하는 기기용 소재
(3) 맞춤형 암 백신
(4) 실시간 액체생검
(5) 생체 내 유전체 편집기술
(6) 인공지능 기반 분자 디자인
(7) 면역세포치료제 활성화 백신
(8) 오가노이드 기반 생체모사기술
(9)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10) 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3) 바이오헬스분야 R&D 투자동향
(1) BT분야 정부R&D 투자
(2) BT분야 민간R&D 투자
4) 바이오헬스분야 R&D 성과
(1) 과학기술적 성과
(2) 경제적 성과
(3) 산업적 성과
2. 의료·보건·헬스케어 산업 해외진출 현황과 전략
1)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
(1)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여건
(2) 국내 여건
(3) 2020년 추진성과와 한계
가. 성과
나. 한계
(4) 목표 및 추진 전략
2) 2020년 의료 해외진출 현황분석
(1) 신고제 등록 현황
(2) 지역별 의료기관 등록 현황
(3) 의료기관 종류별 신고 현황
(4) 의료 해외진출 전담부서 유무
(5) 진출형태별 신고 현황
(6) 신고 국가별 등록 현황
(7) 계약방식별 진출 현황
(8) 의료 해외진출 자본투자
(9) 특수목적법인 설립여부
(10) 규모별 의료 해외진출 신고 현황
(11) 진료과목별 의료 해외진출 신고 현황
(12) 의료 해외진출 연계 인력 고용 현황
3) 한국의 의료관광 발전과 정책현황
(1) 의료관광의 성장 배경
(2) 의료관광 정책
가. 한국의료홍보
나. 글로벌 헬스케어 인재 양성
다. 의료관광 융합 의료상품 확대와 맞춤 서비스를 통한 외국인 환자 편의성 강화
라. 외국인 환자 권익・안전 보호와 유치기관 지원 강화
4) 바이오헬스 산업 및 해외병원 벤처캐피탈 현황
(1) 개요
(2)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현황
가. CVC 개념과 현황
나. 바이오헬스 기업 설립 CVC 현황
(3) 해외 병원의 벤처캐피탈 설립 현황
가. Partners Innovation Fund
A) 개요
B) 투자 현황
나. Mayo Clinic Ventures
A) 개요
B) 투자 현황
다. Kaiser Permanente Ventures
라. 미국 병원 설립 기타 VC
A) UPMC Enterprises
B) Cleveland Clinic Ventures
마. HEALTHXCAPITAL
바. Triventures ARC
5) 제약·의료기기 등 혁신형 바이오기업 육성전략
(1) 산업 현황
(2) 혁신형 기업 지정 현황
가. 혁신형 기업 현황
나. 혁신형 기업 인센티브
(3) 비전과 추진방향
(4) 혁신형 기업 육성방안
가. 선발은 엄격하게 지원은 과감하게
A) 엄격한 선발체계 마련
B) 혁신형 기업 전주기 지원
C) 혁신형 기업 재정지원 강화
나. 성공사례 창출을 위한 적극적 해외진출 지원
A) 해외공동연구 지원
B) 해외 진출거점 정착 지원
C) 해외 진출과 인허가 지원
다. 산업도약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A) 보험수가제도 개선
B) 화장품산업육성법(가칭) 제정 추진
C) 우수인력 유입체계 마련
(5) 기대효과
3.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보험적용과 비즈니스모델 동향
1) 연구 배경
2) 디지털 헬스케어 보험 적용 동향
(1) 디지털 헬스케어 유형별 자금 조달 방법
(2) 주요 보험 적용 사례
가. 미국 사례(2사분면)
나. 독일 사례(4사분면)
3) 디지털 헬스케어의 비즈니스 모델 및 국내 동향
(1) 비즈니스 모델
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의 비즈니스 동향
나. 비용 부과 방식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2) 국내 동향
제 3장 스마트·디지털 헬스케어 개발 현황과 기술 전망
1.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개발 주요동향
1) 스마트 의료기기(디바이스)
(1) 스마트 의료기기 개념
(2) 스마트 의료기기 응용분야
(3) 스마트 헬스케어 AI 및 인지기술
가. AI 및 인지기술
나. 인공지능 및 인지기술 이점
다. 헬스케어에서의 AI과 인지컴퓨팅 기술
2)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의 최신동향과 발전방향
(1) 연구 배경
(2) 웨어러블 헬스케어
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념 및 헬스 제품군으로의 활용
나. 웨어러블 스마트 텍스타일
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스템
(3) 스마트 헬스케어 웨어러블 제품의 개발 사례
가.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스포츠웨어
나. 건강 및 의료관리용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
(4) 차세대 웨어러블 헬스케어 소재 및 디바이스의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
가. 국제 저명저널의 최신 연구사례
나.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술 및 서비스 전망
3)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가.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기술
나. 의류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기술
다. 신체부착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기술
라. 생체이식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기술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A) Apple
B) Google
C) IBM/Microsoft/Amazon 등
D) Fitbit
E) Xiaomi
F) Movano
G) Quantum Operation
H) Onitor/Garmin/Misfit/TomTom/Doppel 등
I) Motiv/Jonson&Jonson/Qardio/Bodytrak/Poloar 등
J) Ralph Lauren/OMsignal/Silicon Labs 등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A) 삼성전자
B) 휴이노/메디코넥스/올비/마젤원
C) 피에스솔루션/웰티/에스엔티
D) 참케어/헬스리안/에이치엠이스퀘어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개발동향
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복지의료 ICT연구단
B)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C)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치매DTC융합연구단, 계산과학연구단 등
4)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5)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특허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6) 스마트 헬스케어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동향
(1) 연구 배경
(2)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가. Wi-Fi 무선통신기술
나. 블루투스 무선통신기술
(3) 제안 서비스
가. 놀이형 헬스케어
나. 스마트 기기를 통한 사용자 건강정보
다. 건강정보 데이터 자동 전송 및 관리
라. 실시간 체크 및 관리
마. 게임을 통한 순위 경쟁
바. 데이터 종합 및 분석
(4) 결론
2. 디지털 헬스케어(서비스) 개발동향 및 활용사례
1) 디지털 헬스케어
(1)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및 분류/범주
(2)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 동인 및 트렌드
(3)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현황
가. 주요국 대응
나. 최근 주요 국내 정책
(4)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이슈
2)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효과 연구
(1) 디지털 헬스 서비스
(2)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가. 해외
나. 국내
3) 국가별 디지털 헬스케어 추진현황
(1) 국내
가. 디지털 헬스 기술개발 현황
나. 디지털 헬스 기술 활용에 대한 의료계 인식
(2) 미국
(3) 독일
(4) 일본
4) 모바일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동향
(1) K-방역 모바일 헬스케어
가. 해외 입국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나.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다. 병원단계에서의 문진 어플리케이션
라.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의료서비스 플랫폼, 닥터콜(Dr. Call)
(2) 각 병원의 모바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가. 삼성서울병원
나. 서울대학교병원
다. 서울성모병원
라. 서울아산병원
(3) 국내 상용화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
가. 건강상태 자가진단(교육부) - 교육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학술정보
나. Samsung Health(삼성헬스) – Samsung Electronics Co., Ltd.
다. 캐시워크(적립형 만보기) - CashWalk, Inc.
라. Inbody(인바디) - Inbody
(4) 국내 상용화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가. 웰트(Welt) - 웰트
나. MINDD STIM - ㈜와이브레인
다. 갤럭시 워치 – 삼성전자
3. 디지털 치료기기(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주요동향
1) 디지털 치료기기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 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의료기기로서의 소프트웨어
(1) 의료기기로서의 소프트웨어 내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2) 의료기기로서의 소프트웨어 범위
(3)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가. 추진 배경
A) 비대면 진료 수요 등을 위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핵심 기술 부각
B) 전통적인 의료기기와 관리 방식의 차이 발생
나. 추진경과 및 평가
A) 제도 추진사항
B) 협업 추진사항
C) 정책 성과
D) 평가 및 향후과제
다. 외국사례(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추진 사항)
라.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현황
마. 유헬스(원격진료) 관련 의료기기
바. 인공지능 적용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사. 디지털 치료기기 임상시험계획 승인 제품
아. 디지털 치료기기 가상증강현실 소프트웨어(AR‧VR 제품)
3) 산업 및 시장동향
(1) 산업 분석
가. 디지털치료기기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 시작
나. 디지털치료기기 스타트업에 대한 민간 투자 진행
다. 정책적 지원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4)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 개발 이슈
가.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시작
나. 근거의 축적과 제시가 필수적인 디지털치료기기
다.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치료기기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국내 기관 기술개발 동향
5) 디지털치료기기 특허동향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 디지털 기술의 보건의료 서비스 활용현황과 전망
1) 디지털 의료 서비스의 현실과 전망
(1) 기존 병원 의료 데이터의 특성
(2) 병원 밖 의료용 데이터의 수집
(3) 데이터의 통합
가. 표준화
나. 보안과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의 구축
다. 익명화와 보안
(4) 인공 지능 예측력의 방향성
2) 재활 분야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와 전망
(1) 재활 분야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 활용 현황
(2) 재활 분야의 디지털 헬스 서비스 활용 효과 및 전망
3) 디지털 건강 정보의 생성과 활용 체계 구축
(1) 건강정보 디지털화
(2) 디지털 건강정보 활용을 위한 제언
4) 디지털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전망
(1)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가. 디지털 의료 인프라 필요성
나. 미래 의료서비스의 방향
다. 사람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2) 디지털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축 성과와 전망
가. 새로운 예방과 치료를 위한 디지털 건강관리 시스템
나. 디지털 건강관리 시스템의 장점과 제한점
제 4장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의료·헬스케어 개발동향
1. 의료/헬스케어분야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기술 연구동향
1) 의료/헬스케어 인공지능 현황
(1) 인공지능 기술
(2) 의료현장 인공지능의 현황
(3) 딥러닝의 의료분야 적용
가. 데이터 증강
나. 데이터 전처리
다. 딥러닝 모델의 학습
라. 학습 모델의 검증
마. 딥러닝 모델의 경량화
2) 의료/헬스케어 인공지능 한계 및 문제점
3)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1)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등장
(2)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기술적 접근
(3)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 설명/해석 방법
(4)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 전망
4) 의료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안전성
(1) 신뢰성이 필요한 이유
가. 견고한 인공지능
나. 공정한 인공지능
(2) 의료 인공지능 안전성
가. 인공지능의 안정성 이슈
나. 안정성 평가방법
(3) 신뢰성/안전성 주요국 대응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연합
다. 일본
라. 국내
(4) 신뢰성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가. 인간의 기본권 보호와 의료진의 감독
나. 견고함과 안정성
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관리
라. 투명성
마. 다양성, 공정성, 차별 금지
바. 의료 발달
사. 책임
5) 의료분야에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적용사례
(1)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AI 알고리즘 기반 분석결과의 다중표현 제공
(2) 하이브리드 검색생성 강화 에이전트를 이용한 의료영상 보고서 생성
(3) 흉부 X-ray에 대한 전문지식 의미론적 기반의 보고서 자동생성
(4)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흉부 X-ray 임상보고서 생성기술
(5) 개별 의사 맞춤형 임상보고서 생성 및 추가 수정의 자동화
6) 의료분야에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적용분야
(1)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2) 당뇨(Diabetes)
(3) 유방암(Breast cancer)
(4)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COVID-19)
(5) 치매(Dementia)
(6) 신약 개발(Drug discovery)
(7) 임상 유전체학(Clinical genomics)
7)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내외 현황
(1) 인공지능 신약개발로의 전환
(2)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방법
가. 인공지능 신약개발 전주기별 예상 결과물
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후보물질 탐색
다. 신약 임상 개발 및 사용 단계에서의 인공지능
(3)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사례
가. 국내 인공지능 활용 기업
나. 국내 인공지능 기업 협업 사례
다. 해외 인공지능 활용 기업
라. 선진국의 AI 활용 신약개발 프로젝트
(4) 정부지원 신약 개발 지원
2. 의료/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현황과 기술전망
1)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1) 관련 연구
가. 빅데이터
나.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2)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가. Lunit
나. Flatiron Health
다. NOOM
라. BioBase
마. DB Insurance
바. Kirontech
사. SK Biopharmaceuticals
아. IBM
(3)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
가.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 및 해결과제
A) 헬스케어 분야에서 활용되는 빅데이터 종류
B)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
C) 헬스케어 빅데이터 해결과제
나. 해외 헬스케어 빅데이터 환황
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및 기대효과
A) 가명화 정보 규제 완화
B) 일관된 데이터 품질 확보
C) 전문인력 양성
2) 국내 공공의료정보 시스템과 공공헬스케어 빅데이터의 현황
(1) 공공의료정보시스템
(2) 현재 이용 가능한 공공의료 빅데이터
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 건강검진 정보 및 청구자료 기반 의료정보
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청구자료 기반 의료정보
다. 국립 암 센터 암 검진자 정보
라. 질병관리청 전 국민 영양조사
마. 근로복지공단 :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 빅데이터
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 의약품 이상 사례 보고시스템(KAERS)
사.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아.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사업단 출범
(3) 전망
3) 국내 병원(의료)정보시스템 현황과 전망
(1) 병원정보시스템
(2)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 요소
가. 데이터웨어하우스(Datawarehouse)
나. 임상시험관리시스템(Clinical Trial Management System)
다.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3) 국내 병원정보시스템의 역사
(4) 국내 주요 병원정보시스템의 사례와 현황
가. 진료정보교류 사업
나. EMR시스템인증제
다. 정밀의료병원정보시스템(P-HIS)
라. 마이헬스웨이
마. 닥터앤서 사업
바. 공통데이터모델(CDM)
사. 인공지능 응급의료시스템
아. 데이터 중심병원
자.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사업
(5) 의료정보서비스 산업생태계 분석
가. 글로벌
나. 국내
A) 비트컴퓨터
B) 이지케어텍
C) 인성정보
D) 인피니트헬스케어
4) 인공지능 기반 인구집단 건강관리 연구동향
(1) 병원 중심의 의료정보 플랫폼의 태동
(2) 병원 정보화의 성과
가. 항생제 관리 시스템(Antibiotics Stewardship Program, ASP)
나. 급성 신손상 대응 시스템
(3) 병원 중심 의료정보화의 한계
(4) 가치기반 의료의 대두
(5) 인구집단 건강관리
가. 데이터 통합
나. 위험도 분류
다. 적극적 중재
(6) 의료인공지능과 인구집단 건강관리
5) 빅데이터 기반 응급·중환자실 관리 시스템구축
(1) 보건의료 빅데이터
(2) 응급·중환자 관리 현황
(3) 기존 관리 시스템의 한계
(4) OMOP-CDM 기반의 monitoring 체계 제안
제 5장 메타버스·디지털트윈 활용 의료·헬스케어 개발동향
1. 보건의료 분야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 주요동향
1)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기술 시장동향
(1) 개념
(2) 의료용 가상현실 기술 분야 글로벌 시장 동향
(3) 의료용 증강현실 기술 분야 글로벌 시장 동향
(4) 헬스케어용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시장 동향
가. 기술 개요
나. 시장 현황
다.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라. 세부기술별 시장 규모
마. 지역별 시장 규모
바. 국내 시장 규모
2)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정책 동향
(1) 국외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3)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기술 및 기업 동향
(1)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기술 원리
(2) 국내외 기술개발 사례
가. 국외
나. 국내
(3) 국내외 기업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4)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임상시험 및 허가 현황
(1) 국외
(2) 국내
5)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국내외 개발 및 허가 현황
(1) 국외
(2) 국내
6)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규격 현황
7) 의료용 가상·증강현실 분야 가이드라인 현황
8) 증강현실(AR) 스마트글라스 보건의료 융합 시뮬레이션
(1) 보건의료 환경과 시뮬레이션
(2) 관련 기술 동향
가. 의료 분야에서의 Google Glass 활용
나. 의료 분야에서의 HoloLens 활용
다. 스마트글라스 활용 의료 협업
(3) 연구 방법
가. 연구 설계
나. 연구 대상
다. 연구 도구
A)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인식
B)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기반 시뮬레이션 태도
C) 증강현실 스마트글라스 선호도 및 중요도
라. 자료 분석
(4) 결과
(5) 논의 사항
(6) 결론
2. 보건의료 분야 메디컬 트윈 활용현황
1) 의료 디지털 트윈의 국내외 활용
(1) 디지털 트윈
(2) 기존 기술과 디지털 트윈의 차이
(3) 의료 디지털 트윈
가. 의료 디지털 트윈
나. 의료 디지털 트윈의 이슈
(4) 의료 디지털 트윈 국내외 활용
가. 국외
나. 국내
(5) 포스트 코로나와 의료 디지털 트윈
2) 메디컬 트윈 기술현황 및 발전방향
(1) 메디컬 트윈 기술 배경
(2) 리빙하트 프로젝트
(3) AI기반 약물 디자인 및 임상시험 적용
(4) 향후 과제 및 방향
3) 의료분야의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3. 의료/헬스케어 메타버스 연구동향과 적용사례
1) 메타버스
2) 메타버스를 이용한 운동재활의 활용방안 연구
(1) 연구 배경
(2) 연구 방법
가. 국내에서 발행된 메타버스와 운동재활관련 문헌
나. 해외에서 발행된 메타버스와 운동재활관련 문헌
다. 최근 메타버스와 운동재활관련 뉴스나 미디어 기사 내용
(3) 결과
가. 국내 메타버스 운동재활 분석
나. 해외 메타버스 운동재활 분석
다. 최근 국내외 메타버스 헬스케어 분석
(4) 결론
3)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연구
(1) 연구 배경
(2) 기존 연구
가. IoT 및 AI를 이용한 고령자 지원 서비스
나. 메타버스 개념과 활용가능 시나리오
(3) 제안 시스템의 알고리즘
가. AIP와 건강한 고령자를 위한 IoT와 AI 기반의 smart aging 알고리즘
나. 시설 및 만성질환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기반의 smart aging 알고리즘
(4)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구현 및 실현가능성 분석
가. 메타버스를 이용한 smart aging 시스템
나. 기존 기술과 제안시스템의 비교‧분석
다. 메타버스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 및 활용의 예
(5) 결론 및 토의
4)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상병원 추진현황
(1) 국립암센터
(2) 경희의료원
(3) 분당서울대
(4) 세브란스
(5) 일산 차병원
(6) 아이디병원
(7) 한림대의료원
5) 국외 가상의료(virtual health) 동향
4. 헬스케어 디지털기술 분야 시장동향과 전망
1) 헬스케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동향과 전망
(1) 기술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특성
가. 시장 원동력
나. 가치 사슬(Value-Chain)
(4)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1
다. 지역별 시장 규모
(5) 기업 동향
가. 주요 기업 현황
나. 개발 동향 분석
다. 주요 기업 동향
A) IBM
B) Siemens Healthineers
C) Koninklijke Philips
D) Allscripts
2) 헬스케어용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RTLS) 시장동향과 전망
(1) 기술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4) 국내 시장 규모
가.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기술별 시장 규모
(5) 기업 동향
가. 주요 기업 현황
나. 주요 기업 동향
A) STANLEY Black & Decker
B) Zebra Technologies
C) Aruba Networks
D) CenTrak
E) TeleTracking Technologies
제 6장 스마트케어(의료·돌봄) 관련 기술과 서비스 동향
1. 초고령사회 대비 고령층 스마트케어(의료·돌봄) 기술동향
1) 고령층 의료·돌봄 수요 대응 및 사회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
(1) 의료-요양-돌봄 간 합리적 이용 및 지역사회 거주 지원
(2) 재택의료 확대 등 고령층 의료접근성 제고
(3) 고령층 돌봄 인프라 확충·개선
(4) 건강보험 지출요인 관리 강화
(5) 국민연금 기금운용의 안정적 운용 및 수익성 제고
2) 국내외 ICT기반 노인 건강관리 서비스 동향
(1) 국내 노인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현황
가. 중앙정부의 노인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나. 지방자체 단체의 노인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2) 해외 노인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현황
가. 핀란드
나. 일본
다. 네덜란드
라. 미국
마. 영국
(3) IoT 기반의 토탈실버케어센터 구축 제언
3) 시니어 돌봄 관련 사례분석과 연구
(1) 헬스케어 돌봄 소프트웨어 기술
가. 생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건강문제 예측
나. 움직임 감지를 통한 낙상위험 예측
다. 약물복용 관리를 통해 만성병 환자 치료 지원
라.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한 자택요양 지원
마. 대화를 통한 외로움 완화 등 심리적 안정감 제공
(2) 모니터링 돌봄 서비스
(3) 돌봄 서비스 활용 제품개발
가. Ai 소셜로봇
나. 홈 오토메이션
다. 애플리케이션
라. 일상보조 로봇
(4) 신체활동 돌봄지원
가. 일상생활 지원
나. 기능회복훈련
다. 간호 및 처치
라. 응급서비스
(5) 이동 보조용 로봇
(6) 정서/사회 돌봄케어 사례
가. 그루브X 러봇(일본)
나. DMM PALMI(일본)
다. 엘리펀트 로보틱스 마스캣(중국)
라. Cedars-Sinai Hospital VR Health care(미국)
마. Taiyo생명보험 치매 예방앱(일본)
바. Voluntis Theraxium Oncology(프랑스)
사. CareCenter Software GmbH TACTLILE(오스트리아)
아. Tover The MagicTable(Tovertafel) (네덜란드)
(7) 고령친화 컨텐츠 케어 사례
가. IoT 스마트플러그 서비스
나. AI 스피커 ‘누구(NUGU)’
다. 서대문구 ‘똑똑 문안서비스’
라. 구로구 ‘스마트 토이로봇’
마.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ICT 서비스(ICT4Life) (유럽)
바. KT ‘키오스크 교육용 앱’
4) 노인성 질환 예측과 관리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현황
(1) 실버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데이터의 측정 및 확보
(2) 실버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현황
가. 노쇠 및 근감소증
나. 인지기능장애
다. 우울증
라. 기타 노인성 질환
2. 스마트케어를 위한 원격(재택)의료 주요기술 동향
1) 원격의료에 필요한 과학기술
2) 비대면 진료를 위한 진찰 및 임상검사
(1) 원격 진찰 기술
가. 디지털 청진기와 휴대용 초음파
나. 혈압계
다. 맥박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
라. 디지털 검이경(Digital Otoscope)과 스마트폰 기반 검이경
마. 원격 피부질환 검사
(2) 임상검사 기기
가. 원격 심전도와 부정맥 검사 기기
나. 원격 안과 검사 기기
다. 가정용 현장진단 기기
3) 원격 환자 모니터링(Remote Patient Monitoring)
(1) 원격 모니터링의 현황
(2) 심혈관계 질환의 원격 모니터링
가. 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A) 심박동기(pacemaker)
B)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C) 심장 재동기화 치료기(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D) 삽입형 루프 기록기(implantable loop recorder, ILR)
나.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A) 심전도 기반 장치(ECG based devices)
B) 비심전도 기반 장치(Non-ECG based devices)
다. 심부전의 원격 모니터링
A)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B) CIED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C) 삽입형 혈역동학 측정기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3) 비심혈관계 질환의 원격 모니터링
가. 당뇨병
나. 호흡기 질환
다. 신경계 질환
(4) 원격 모니터링의 장점 및 한계점
4) 국내외 원격의료 추진현황
(1) 국내 원격의료 현황
(2) 해외 원격의료 현황
5) 국내외 원격의료 시장동향과 전망
(1) 시장 현황
(2)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3) 기업 동향
가. 경쟁 환경
나. 주요 기업 동향
A) KONINKLIJKE PHILIPS
B) Medtronic
C) GE HEALTHCARE
D) CERNER CORPORATION
E) AMERICAN WELL
3.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기기 기술개발 동향
1) 환자 맞춤형 재활 의료기기
2)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기기 국내외 기술 현황
(1) 재활 로봇 기술 현황
가. 국외 재활 로봇 기술 현황
나. 국내 재활 로봇 기술 현황
(2) 신경 재활 분야 신경조절 관련 자극장치 기술 현황
가. 국외 신경조절 관련 자극장치 기술 현황
나. 국내 신경조절 관련 자극장치 기술 현황
3)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기기 국내외 특허분석
(1) 재활 로봇 관련 특허 현황
가. 국외 재활 로봇 관련 특허 현황
나. 국내 재활 로봇 관련 특허 현황
(2) 신경 재활 분야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특허 현황
가. 국외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특허 현황
나. 국내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특허 현황
4) 환자 맞춤형 재활의료기기 국내외 임상현황
(1) 재활 로봇 관련 임상 현황
가. 국외 재활 로봇 관련 임상 현황
나. 국내 재활 로봇 관련 임상 현황
(2) 신경 재활 분야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임상 현황
가. 국외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임상 현황
나. 국내 신경조절 자극장치 관련 임상 현황
통계(도표) 목차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
③ 결제완료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