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점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던 비대면 경제가 급격하게 보편화되고 확산되면서 펜데믹 기간 중 연평균 14.1%씩 급성장하였다.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으로 글로벌 리테일 이커머스세일즈의 시장규모는 2021년 약 4.92조달러에 이르고, 2025년에는 약 7.3조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현황이 지속되면 국내 택배 물동량이 50억개를 넘는 시점이 2~3년 가량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배송체계의 자동화·스마트화와 같은 전면적 재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 물류시스템은 물류처리 전 과정의 자동화, 정보화, 지능화를 완성하는 것이다. 스마트 물류체계는 배달을 위한 ‘목적형 자율주행 이동수단’ 기술을 연동시켜야 하며, 물류센터에서 화물처리 전 과정을 지능화·자동화하는 기술인 ‘스마트 물류센터’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수년간 팬데믹으로 인해 항만 내 물류가 제때 이동하지 못하고 적체되는 문제점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물류 현장에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물류센터의 스마트화와 디지털 무역 플랫폼에서 찾을 수 있다. 유럽의 물류 중심국이라 말할 수 있는 네덜란드와 독일, 벨기에 그리고 영국 등은 수출입 현장에서의 하드웨어적인 유통·물류센터 스마트화를 추진했고, 항만과 공항 그리고 통관과 선사 정보 등의 데이터 통합과 정보 활용의 디지털화를 선행했다. 국내 스마트 물류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정부는 규제를 해소하고, 제도 정비를 통한 공공 인프라 공급을 확대해야 하며, 민간은 과감한 투자를 통한 시설을 구축해 운영 시스템을 개선해야 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국내 스마트 물류시스템 구축과 기업의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스마트·디지털 물류 혁신 현황분석 -자율주행/풀필먼트/항만/콜드체인-」 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총 7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물류·유통산업의 최근 동향, 자율주행 물류체계 대응 현황, 디지털·스마트화 물류서비스 기술개발, 융·복합 물류체계 구축(풀필먼트), 도심물류배송 인프라 구축, 스마트항만 추진 동향, 콜드체인 활성화 방안 등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 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1장 디지털 물류·화물 부문 글로벌 이슈 및 산업동향
1. 물류산업 스마트화·디지털화와 글로벌 트렌드
1) 새로운 전환시대의 글로벌 물류업계 트렌드
(1) 디지털 성숙도
(2) 메가 플랫폼·온라인 거래 급증
(3) 멀티소싱 전략 도입
2) 물류산업 스마트화·디지털화 앞당기는 실행방안
(1) 주요 연구방향
가. 화물안전운임제 안정적 정착과 실효성 제고
나. 물류분야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실태파악 및 정책과제 발굴
다. 첨단자료 활용 데이터 기반 화물운송 및 물류시장 정책통계 구축
라. 생활물류 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법·제도 등 정책 선도
마. 한국판 뉴딜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스마트 물류기술 체계 구축 지원
바.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대비한 국제물류정책 지원
사.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및 수출입 자율주행차량 하역지원시스템 기술개발 선도
아. 디지털 물류시범도시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한 도시물류체계 구축 지원
자. 스마트 물류인프라 확보 지원
차. 코로나19 물류산업 영향 분석
2. 물류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추진전략
1) 국가물류기본계획(`21∼`30)
(1) 첨단 스마트 기술기반 물류시스템 구축과 디지털 전환
(2) 단절없는 물류 위한 공유·연계형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3) 사람 중심 좋은 일자리 조성과 고품격 물류서비스 창출
(4) 지속 가능한 물류산업 환경 조성
(5) 새로운 수요 대응 위한 물류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체질 개선
(6) 글로벌 경제지도 변화에 따른 전략적 해외시장 진출
2) 새정부의 물류 분야 정책 방향
(1) 자율주행시대 대응 위한 물류체계 구축
(2) 효율적인 스마트 도시 물류시스템 선제적 구축
(3)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 및 안전성 제고
(4) 유통·제조·플랫폼 산업을 선도하는 융복합 물류체계 구축
(5) 물류 표준화·디지털화 확산 및 국가물류지도 구축
(6) 국가 물류의 균형성·다양성·회복 탄력성 강화
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디지털 물류 서비스
나. 코로나19, 새로운 기회와 지속되는 위기 극복
A) 코로나19, 비대면 플랫폼 사회 새로운 기회
B) 지방 소도시, 농산어촌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과 지속되는 위기
C) 새로운 기회와 지속되는 위기요인 인식
다. 국가균형 발전 대응을 위한 로컬 디지털 물류기술 활용전략
A) 농산어촌 디지털 생활물류 서비스 개념
B) 농산어촌 디지털 생활물류 서비스 목적
C) 농산어촌 디지털 생활물류 서비스 기대효과
라. 로컬 여건 인식과 해결을 위한 제언
A) 로컬 현실에 맞는 역량 강화·지원 필요
B) 지방의회와 행정의 적극성 제고
C) 로컬 디지털 물류 서비스, 끝이 아닌 시작
(7) 시민 참여형 물류 확산
(8) 지속가능한 철도물류산업 체계 구축
(9) 첨단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공·항만 구축·운영
(10) 친환경 해운물류 시스템 구축
3) 디지털 물류정책 방향 및 실증사업 동향
(1) 디지털 물류의 정의 및 유형별 사례
(2) 디지털 물류의 정책 방향
(3) 디지털 물류 실증사업 동향
가. 김천시
나. 제주도
다. 청주시
3. 주요 국가의 화물운송시장 대응전략
1) 감염병 시기의 화물운송시장 동향과 전망
(1) 감염병 시기의 경제 동향
(2) 감염병 시기의 화물운송시장 동향
가. 수출입 화물 동향
나. 생활물류 화물 동향
다. 일반화물 동향
2) 4차산업혁명 시대의 화물운송시장 동향
(1) 자율주행 화물자동차 도입
(2) 화물운송 플랫폼 비즈니스의 확대
(3) 체계화된 정보의 관리와 분석 필요성 증대
3) 주요국 화물운송시장 대응전략
(1) 4차산업혁명 대응 방향
(2) 국가별 4차산업혁명 대응 공공정책
가. 한국
나. 독일
다. 미국
라. 일본
마. 중국
바. 유럽연합 국가
4. 디지털 유통·물류 시장 및 산업전망
1) 디지털 유통 시장동향
(1) 온라인 유통 급성장 및 풀필먼트
(2) 해외 온라인 유통 시장
(3) 국내 온라인 유통 시장
(4) 세계 유통산업 디지털화
2) 디지털 물류 시장
(1) 디지털 물류 시장현황
(2)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3) 기업 동향
가. IBM
나. ORACLE
다. SAP
라. AT&T
마. INTEL
바. SAMSUNG SDS
5. 고부가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특허분석과 표준화전략
1)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R&D 투자동향
2)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기술 특허분석
(1) 분석 개요
(2) 국가별 연도별 출원동향
(3) 출원인 분석
3) 물류·유통 서비스 표준개발
(1) 서비스 표준화 여건
(2) 핵심 서비스표준 개발
가. 신속하고 체계적인 디지털 물류·유통 서비스 표준화
A) 콜드체인
B) 무인사업장
C) 물류·상품정보
제 2장 자율주행/친환경 시대 대응 물류체계 개발현황
1. 자율주행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관련기술과 수송역량 개발동향
1) 자율주행 관련 기술 현황과 전망
(1)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술개발 현황
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A)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B) 자율주행 택시/공유 서비스
나. 자율주행 물류 운송
A) 지역 간 화물운송 서비스
B) 생활물류 서비스
다. 자율주행 공공서비스
A) 도로 시설 유지 서비스
B) 도시 환경 유지 서비스
C) 공공 서비스
라. 자율주행 인프라 서비스
A) 도로인프라 서비스
B) 데이터 관리 서비스
(2) 자율주행 핵심기술 변화 방향
가. 차량 기술
A) 인지 센서
B) 판단·제어 기술
C) 사이버 보안과 블록체인 기술
나. 도로인프라 관련 기술
A) 도로정보 디지털화
B) 위치정보 기술
다. 통신(WAVE, 5G)
라. IoT 기술(Edge Computing)
2) 자율주행 화물자동차와 화물운송시장
(1) 화물 부문 자율주행기술의 발전
(2) 국내 화물자동차 운송시장과 자율주행 화물자동차
(3) 자율주행기술 도입 준비 및 시장수용성 제고 중장기 전략 필요
3) 국내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21∼`25)’ 수립·확정
(1) 기본계획 수립배경
(2)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3) 세부 추진과제
가.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기술 고도화
A) 자율주행 여객 서비스 구현
B) 자율주행 화물배송 서비스 구현
C) 자율주행 사회기반 서비스 구현
나.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실증환경 조성
A)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확대 및 운영 고도화
B) 규제자유특구를 통한 실증 및 상용화 추진
C)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확대 구축
다.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사업환경 조성
A) 디지털 도로인프라 기반 확보
B) 자율협력주행 통신 인프라 구축
C) 자율주행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
D)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평가체계 구축
라. 자율주행 안전성 강화 및 기술 수용성 제고
A) 자율주행 안전기술 고도화
B) 사이버보안 및 안전사고 대응체계 마련
C) 자율협력주행 통신 안전성 제고
D) 안전기준 국제조화 기반 마련
E) 자율주행 사회적 수용성 향상
마. 자율주행 교통물류 생태계 조성
A) 자율주행 국제협력체계 구축
B)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 기반 조성
(4) 2025년 자율주행 교통물류 미래상 및 기대효과
4) 물류 4.0 시대의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활용사례
(1) 물류 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유형
가. 물류 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유형 구분을 위한 참고 자료
나. 물류 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유형 구분
A) 물류/운송 데이터
B) 신 운송수단(자율주행트럭, 전기트럭, 배송로봇, 드론 등)
C) 말단배송 (Last mile delivery)
D)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E) 운송 최적화
(2) 물류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사례 검토
가. 물류 및 운송 데이터 활용 사례
A) 볼보(Volvo)
B) 아마존에서 마켓컬리
나. 신(新) 운송수단
A) 자율주행 트럭(Autonomous Truck)
B) 자율주행 배달 차량 (Autonomous Delivery Vehicle)
다. 말단배송 (Last-mile Delivery)
A) 아마존
B) 월마트
C) Click & Collect 서비스
D) 무인 락커
E) 냉장고, 트렁크 등
라. 수요응답형 서비스
A) 미국 캘리포니아 앱 기반 긱 워커(Gig Worker) 고용 형태 법안
B) 미국 식당 음식 배달 시장
C) Dolly와 Roadie –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물품 배달 스타트업
마. 물류 최적화
A) 그레이오렌지 로보틱스(GreyOrange Robotics)
B) 페브릭(Fabric) - 도심 속의 마이크로 물류센터
C) 오카도(OCADO) - 그리드(Grid) 창고 플랫폼
D) 샌디에고(San Diego) 모빌리티 허브 프로젝트
E) 남캘리포니아 말단배송 연구 사례
5) 첨단 수송을 통한 배송기술 발전 동향
(1)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 개발동향
가. 배송용 로봇의 분류
나. 배송용 로봇의 국내외 동향
다. 배송용 로봇 실용화의 규제 장벽과 정부의 규제개혁 로드맵
라.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의 핵심 기술
A) 배송용 자율주행 로봇의 기본 구조
B) 환경 데이터 표현과 사물의 관계 추론 방법
(2) 물류 배송 지능형 로봇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다.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A)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B) 기술-산업 현황 분석
라. 주요 출원인 분석
(3) 운송/배달 드론 주요기술 동향
가.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나. 기술개발 이슈
A) 효율적 운송/배달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B) 배송해야 할 화물을 인식하고 해당 화물을 운송을 위한 물체 인식 기술이 필요
다.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플레이어 동향
B) 국내 플레이어 동향
C)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운송/배달 드론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다.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A)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B) 기술-산업 현황 분석
라. 주요 출원인 분석
(5) 배송 로봇 및 물류 로봇 시장동향
가. 기술 개요
나. 시장 현황
다. 시장 동향
A)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B) 세부기술별 시장 규모
C) 지역별 시장 규모
라. 기업 동향
2. 친환경 수소기반 물류 시스템 구축현황과 전망
1) 개요
2) 수소경제
(1) 수소경제의 재출현
(2) 수소의 역할
(3) 수소 모빌리티 전망
(4) 수소충전소 구축 추진체계
3) 수소물류시스템
(1) 수소물류시스템의 필요성
(2) 국내 수소물류시스템 구축 동향
(3) 수소물류시스템의 과제
4) 시사점
제 3장 국내외 디지털 물류·유통 사례 및 물류서비스 기술
1. 스마트·디지털 유통물류 최근현황과 주요기술
1) 스마트 물류 동향
2) 디지털 유통물류 주요기술
(1) 인공지능/블록체인 기술
(2) 유통매장 지원 기술
가. 매장 공간분석
나. 매장 관리 로봇
다. 스마트 판매대
(3) 풀필먼트 운영 기술
(4) 실감형 기술(가상·증강현실)
(5)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개발 추진방향
2. 물류 디지털화와 네트워크 기술활용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AI, IoT 결합된 물류자동화 기술 특허출원 분석
3. 물류 디지털화와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1) 인공지능 기술 수요와 시장
2) 물류 산업의 인공지능 응용 사례
(1)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가. 운송 분야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
나. 보관 분야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
(2) 물류 시스템 운영 측면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가. 단순 반복 작업을 대체하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나. 미래 수요 및 서비스 비용 예측
다. 인공지능 기반 배송경로 최적화
라. 예측 기반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
(3) 국내 사례 분석
3) 물류 산업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고도화 방향
4. 물류 디지털화와 데이터 기술활용 동향
1) 스마트 물류에서의 데이터 기술 동향
(1) 해외 동향
가. IoT
나. Cloud
다. 블록체인
라. Digital Twin
(2) 국내 동향
가. IoT
나. 클라우드
다. 블록체인
라. 디지털 트윈
2) 물류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물류 빅데이터 활용 동향
(1) 물류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 정보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나. 주요 물류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
다. 물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진단
(2) 물류 빅데이터
가. 개요
나. 주요 물류 빅데이터 특성 및 활용 분야
다. 물류산업 빅데이터 구축의 한계점
(3) 물류산업 인공지능 도입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에 대한 제언
(4) 유통/물류 빅데이터구축 및 분석 시스템
가. 산업 분석
A) 물류 트래킹 RFID 중심으로 성장 중
B) 공급망 전반에 걸친 빅데이터의 침투
C) 미래의 유통·물류 산업의 핵심기술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통한 데이터 분석
D) 우리나라는 물류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시작 단계
나. 시장 분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다.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플레이어 동향
B) 국내 플레이어 동향
C) 국내 기관 기술개발 동향
라. 특허동향 분석
A) 연도별 출원동향
B) 국가별 출원현황
C) 주요 출원인 분석
3) 물류유통 분야 블록체인 기술도입 사례분석
(1) 블록체인 기술 개용 및 내포 특성
(2) 물류 분야별 도입 사례 분석
가. 운송·유통 추적 및 관리 분야
나. 상거래·유통 연계 분야
4) 빅데이터 기반 물류 자동화 시장동향
(1) 기술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4) 기업 동향
가. 주요 기업 현황
나. 주요 기업 동향
A) Dematic
B) Honeywell Intelligrated
C) SSI Schaefer
D) Daifuku
E) Knapp
5. 물류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와 기술동향
1) 화물운송업 사례
(1) (글로벌) J.B. Hunt(J.B. Hunt Transport Services, InC,)
(2) (글로벌) 히타치물류(Hitachi Transport System, Ltd.)
(3) (국내) CJ대한통운
(4) (부산지역) 은산해운항공(주)
2) 물류시설운영업 사례
(1) (글로벌) 히타치물류(Hitachi Transport System, Ltd.)
(2) (국내) 판토스
(3) (부산지역) 비아이디씨㈜ (BIDC)
3) 물류관련 서비스업 사례
(1) (글로벌) 네덜란드 로테르담항(Port of Rotterdam)
(2) (국내) LG CNS
(3) (부산지역) 부산항만공사
(4) (부산지역) 토탈소프트뱅크
제 4장 스마트 융·복합 물류체계 -풀필먼트, 물류센터/단지-
1. 미래 스마트 융복합 물류 기술적 환경분석
1) 생활물류 배송 및 인프라 구축 기술
(1) 도시물류 공동화, 도시 지하 물류운송
(2) 정온물류, 환경 친화적인 말단배송 기술
(3) 4차 산업기술 적용 말단배송 및 서비스
2) 스마트 물류센터 자동화 기술
(1) 자동화 기술 도입
(2) 풀필먼트 센터(Customer fulfillment center) 구축
(3) 대형 물류센터 내 무인화기술 도입
3) 물류 디지털 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및 실증 기술
(1) 물류 정보 연계 플랫폼
(2) 콜드체인, 안전물류
(3) 물류 정보화 솔루션 도입과 클라우드 진화
(4) 물류현장의 에너지 자원관리기술
(5) 화물운송 안전관리체계 구축
(6) 개방형 플랫폼
2. 스마트 도시 물류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연구 동향
1)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서비스 구축 및 발전 방향
(1) 풀필먼트 배경 및 현황
(2) 풀필먼트 서비스 구축을 위한 중요 요소
(3)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인력 구축
(4) 물류센터의 스마트화 동향
가. 글로벌기업의 스마트화 동향
나. 국내 주요기업의 스마트물류센터 개발 동향
다. 스마트물류센터의 개념과 발전단계
2) 도심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 구축사례와 시사점
(1)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MFC)의 등장 배경
(2)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MFC)의 개념과 운영 특징
가.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의 개념
나.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의 특징
(3) 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의 구현 기술
(4) 국내외 유통기업의 MFC 구축 사례와 시사점
가. 월마트(Walmart)의 로봇 MFC 사례
나. Fabric의 수직형 MFC 사례
다. Kroger와 Ocado의 AI기반 MFC 운영 사례
라. 롯데프레쉬의 전용 MFC 운영 사례
마. 이마트의 점포형 MFC 구축 사례
바. 아타보틱스, 수직형 MFC 모델
사. 기타
3) 국내외 유통물류센터 스마트 기술동향
(1) 국내외 물류 기술 동향
가. 입고/출고 자동화
나. 보관/피킹 자동화
다. 이송 자동화
라. 포장 자동화
마. 분류 자동화
바. 종합
(2) 향후 전망
가. 더 빠른 풀필먼트와 배송
나. 2025년 이후의 미래모습
4) 스마트 물류창고 및 물류로봇 특허출원 동향
(1) 스마트 물류창고 특허출원
(2) 물류로봇 관련 특허출원
5) 풀필먼트센터 확충 및 표준모델 확산
(1) 목표
(2) 현황
(3) 추진방안
가. 민간투자 촉진
나. 중소점포형 시범사범
다. 도심배송거점
6) 국내 제1호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1) 제1호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시설
(2)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 개요
가. 추진배경
나. 주요내용
3. 물류공동화 및 물류단지 실증사례 동향
1) 물류공동화의 개념과 중소유통산업의 환경 변화
(1) 물류공동화의 개념
(2) 중소유통산업의 환경 변화
(3) 인천시 유통·물류 환경 분석
(4) 인천 중소유통 물류단지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의견조사
가. 인천 중소유통 물류단지 수요 실태조사
나. 중소유통업 관련 전문가 인터뷰
다. 시사점
2) 국내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선정
(1) 2021년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
가.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
A) 김천시‧경상북도 : 로봇·드론배송 등 교통안전 디지털 물류혁신도시
B) 부산광역시 : 중소기업 간 협업형 라스트마일 서비스
C) 진안군 : 농촌지역 과소화마을 맞춤형 생활물류 서비스
D) 제주도 : 제주형 공유물류 플랫폼 구축
나. 디지털 물류시범도시 조성 지원
A) 화성 송산그린시티 : 환경친화형 물류체계 구현
B) 부산 에코델타시티 : 미래형 물류시스템 구축
(2) 2022년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
가. 물류서비스 실증사업(4건)
A) 서울시 : 상생·혁신·스마트 미래물류도시 High 서울!
B) 인천시 : 공유물류망 기반 당일배송 서비스
C) 김해시 :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물류체계 구축
D) 익산시 : 마을전자상거래 다이로움 물류서비스 구축
나. 물류시범도시 조성사업(2건)
A) 서울시 : 용산전자상가 재정비 연계 디지털 물류계획 수립
B) 창원시 : 다차원 공간물류체계와 함께하는 물류혁신도시 구현
3) 도시 내 택배물류 공동 플랫폼 구축 방향
(1) 도시 내 택배물류 미래상
(2) 도시 내 택배물류 서비스의 한계점과 물류 공동 플랫폼의 필요성
(3) 도시물류 공동 플랫폼의 개념 정의 및 구축방안
(4) 시사점
제 5장 도심 물류배송을 위한 신규 인프라 개발·사례분석
1. 도심 물류배송/생활물류 현황과 문제점 분석
1)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과 정책방향
(1) 물류·유통 시스템의 스마트화
(2) 스마트 물류 인프라 확충
2) 도시물류체계 현황 및 문제점
(1) 도시물류 개념 정립 및 현황
(2) 도시물류 문제점 분석
가. 도로혼잡과 주‧정차 공간 부족 심화
나. 도심 내 화물차 교통안전 문제
다. 도심 내 환경오염 문제
라. 택배산업의 노동생산성 문제
3) 생활물류 대응 위한 물류인프라 변화
(1) 첨단 물류 유통 인프라 확충
가. 대형 거점 물류 인프라 조성
나. 중소형 도심 배송 지원시설 확충
다. 특화형 콜드체인 인프라 확충
2. 지하물류체계 개발과 기술사례
1) 지하물류체계 관련 개념 정의
2) 국내외 도시지하 공간 개발 및 계획 사례
(1) 스위스 지하물류시스템 프로젝트(Cargo Sous Terrain)
(2) 서울시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3) 싱가포르 도시지하공간 활용 사례 및 관련 계획
(4) 캐나다 레소(RÉSO)
(5) 프랑스 라데팡스(La-defense)
3) 지하물류 관련 기술 사례
(1) 수평방향 지하화물 운송기술
(2) 수직방향 지하화물 운송기술
(3) 지하공간 제습 및 환기 관련 기술
4) 도시 지하물류체계 구축 방안
(1) 지하물류체계의 미래상
(2) 비전/목표/추진전략
가. 비전
나. 추진 방향
다. 추진 목표
라. 중점 분야
(3) 지하물류체계 장애요인별 해결 방향
3.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연구
1) 드론을 이용한 물류배송
(1) 드론을 이용한 생활물류산업의 문제점 대응
(2) 드론 배송 운영시 문제점
(3) 드론의 규격설정과 모듈제안
가. 드론의 규격 설정
나. 드론 모듈의 제안
2)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방안
(1) 드론 배송을 위한 도심공간의 활용
(2) 도심 지하철과 연계한 물류시설
(3) 도심 지하철 역사를 이용한 드론 물류배송
(4) 영등포 지하철역사의 드론 물류시설 활용계획
3) 결론
4. 철도/항공 교통분야 국정과제와 물류 인프라 도입사례
1) 새정부의 철도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1) 수도권 30분 출퇴근 시대
(2)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 조성
(3) 전국 2시간 생활권 조성
(4) 지상철도 지하화
2) 새정부의 항공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1) UAM(Urban Air Mobility) 공약과 이슈
(2) 우주시대 공약과 이슈
(3) 신공항 공약과 이슈
3) 국외 철도수송 인프라 사례
(1) 중국
(2) 독일
5. 항만/공항 배후물류단지 현황 및 정책과제
1) 부산·인천지역의 배후물류단지 검토 배경
2) 최근 물류산업의 환경변화
(1) 급격한 물류수요 증가
(2) 글로벌 물류망 안정성 약화
(3) 디지털 전환 속도 가속화
(4) 콜드체인 물류시장 성장
3) 부산·인천지역 물류산업의 현황 및 특징
(1) 부산·인천지역 물류산업의 위상
가. 국내 물류산업에서의 위상
나. 지역경제에서의 위상
(2) 부산·인천지역 물류산업의 특징
가. 영세한 사업 규모
나. 높은 지역 특화도
다. 양호한 부가가치 창출력
라. 디지털전환 역량 미흡
(3) 부산·인천지역 물류흐름의 특징
가. 수출입 물동량 큰 폭 증가
나. 지역별 교역상대국 및 취급품목 차별화
다. 부산항·인천공항의 높은 환적률
(4) 종합평가 및 정책과제
가. 종합평가
나. 정책과제
제 6장 첨단 기술기반 스마트 항만·해운·물류시스템 동향
1. 스마트 해운물류 현황분석과 추진전략
1) 스마트 해운물류 전략 추진배경
(1) 포스트 코로나
(2) 해외 동향
(3) 우리의 현주소
2) 현황 및 문제점
(1) 선진국 대비 물류기술의 스마트화 지체
(2) 선사-터미널-운송사의 통합적 의사결정을 위한 스마트 물류기술 부재
(3) 항만안전 확보를 위한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 시급
(4) 물류기업의 디지털 전환 지연
(5) 물류데이터 거래인프라 부족
3) 스마트 해운물류 추진전략 및 주요과제
(1) 스마트 물류기술 개발 및 확산
가. 해운·항만 스마트물류 기술개발 및 확대
A)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및 상용화
B) 스마트항만 기술개발 및 구축
C) 스마트컨테이너
나. 물류 전 구간의 운송 최적화
A) 자율운항선박의 항만 기항 대비 기술개발
B) 항만-육상 간 운송 자동화
C) 물류운송 최적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 및 고도화
(2) 디지털 기반 해운물류 안전 확보
가. 항만 내 작업자 및 시설 안전 강화
A) 스마트항만안전플랫폼(SafePort System) 구축 및 확산
B) 디지털 트윈 기반 항만시설 관리 및 유지보수 스마트화
나. 첨단 해상통신기술 기반 선박사고 발생 방지
A)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 본격 운영 및 활성화
B) 스마트해양교통체계 서비스 고도화(R&D, `21∼`25) 추진
(3) 해운물류 데이터 경제 활성화
가. 플랫폼 기반 해운물류 신규 서비스 제공
A) 수출입 물류 공공·민간 데이터 공유플랫폼 구축 및 확산
B) 해운물류자원 공유경제 실현
나. 데이터 공유 및 유통 체계 구축
A) 해운물류 데이터의 유통 촉진을 위한 플랫폼 구축·운영
B) 물류 데이터 수집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법제도 개선
다. 스마트 해운물류 스타트업 육성
A) 스마트 해운물류 스타트업 육성 체계 구축
B) 스타트업의 신규 디지털 서비스 성능검증 지원 추진
(4) 전문인력 양성 및 민관협력 추진
가. 스마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전환
나. 공공·민간 스마트물류 역량 결집을 위한 협력
2. 국내외 자율운항선박/친환경선박 개발동향과 도입사례
1) 바다 위 디지털 뉴딜 ‘자율운항선박’
(1) 자율운항선박
(2) 자율운항선박 기술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철저한 성능 실증을 통한 국내 조선·해운산업 국제 경쟁력 확보
(4) 자율운항선박 이슈 및 향후 전망
2) 친환경 선박 개발이슈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선박 온실가스 및 연료의 황 함유량 규제 강화
(2) 그린뉴딜,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계획 수립 및 추진
(3) 조선·해운산업의 친환경 패러다임으로 선제적 전환이 필수
(4) 고효율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 현황
(5) 고효율 친환경 선박 산업동향
가. 해외 산업 동향
나. 국내 산업 동향
3. 해운/물류/항만/수산 스마트화 기술추세와 적용사례
1) 해운·물류분야 블록체인 시스템 도입
(1) 블록체인에 대한 해운⋅물류분야의 관심 고조
(2)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해운산업의 경쟁력 향상 가능
(3) 블록체인은 탈중개화를 가속화하여 물류시장의 주도권 변경
(4) 국내 블록체인은 IT기업이 주도
(5) 개방화⋅표준화를 통해 소수의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통합 전망
(6)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국내 해운⋅물류사의 준비와 함께 전략적 선택 필요
2)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항만 운용시스템 연구
(1) 연구 목적
(2) 데이터 분석 인프라 구축
가. 데이터 분석 서비스
나. 데이터 분석 서비스 구성
다.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라. 데이터 비식별화
마. 항만 운영 빅데이터 구축 및 운영
(3) 자동화 정보 시스템 설계4
가. 도·예선 배정 자동화 프로세스
나. 항적 항로 최적 운영 분석 시스템 설계
(4) 결론
3)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능형 항만물류기술 개발사업
4) 항만 연계물류 적용가능한 스마트 기술
(1) 화물 지능화 관련 기술
가. 스마트 컨테이너
나. 개별 화물 추적 기술
(2) 연계운송 효율화 관련 기술
가. 자율 운송 의사결정 기술
나. 운송 중개 시스템 기술
다. 트럭 연계 기술
(3) 연계운송 자동화 관련 기술
가. 트럭 군집주행 기술
나. 자율 화물 기차
5) 수산업(양식업) 스마트화 추세 및 기술동향
(1) 국외
(2) 국내
(3) 수산·양식산업의 디지털전환 가속화
4. 항만의 디지털 전환 사례와 적용기술 현황
1) 항만 연계물류 프로세스 현황 및 문제점
2) 디지털 항만의 4단계 발전 과정
3) 해외 항만 디지털화 사례
(1)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가. 디지털 항만 추진 목표 및 체계
나. 로테르담항의 추진과제
(2) 독일 함부르크항
가. 디지털 항만 추진 목표 및 체계
나. 함부르크항의 추진과제
(3) 벨기에 앤트워프항
가. 디지털 항만 추진 목표 및 체계
나. 앤트워프항의 추진과제
A) 디지털트윈 APICA(Antwerp Port Information & Control System)
B) 컨테이너의 인증된 디지털키인 CPu(Certified Pick Up) 플랫폼
C) 내륙 수로에서의 자율운항을 돕는 3D 소나(Sonar) 기술
D) 스마트유지보수 기술
E) 공급망 가시성 제공 플랫폼인 ‘CALISTA® P! NG +’
F) 스마트 접안 위치 설정 및 이미지 인식 기술
G) 화학물질 등 대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iNoses
H) 드론을 활용한 기름 유출, 보안 등 사건·사고 모니터링 및 조사
I) 5G 네트워크 활용
(4) 싱가포르항
가. 디지털 항만 추진 목표 및 체계
나. 싱가포르항의 추진과제
(5) 스페인 바르셀로나항
(6) 영국/이탈리아 스마트항만 프로젝트
가. 영국의 MARITIME 2050
나. 살레르노의 스마트 터널 프로젝트
4) 국내 부산항 디지털화 추진
(1) 디지털 항만 정책 및 추진과제
(2) 부산 항만산업의 스마트화 수준
5) 국내 제4차(`21~`30) 전국항만기본계획과 추진과제
(1) 최첨단·친환경, 고부가가치 디지털 항만 구축
가. 디지털·스마트항만 건설 및 고효율·친환경 항만운영시스템 구축
나. 항만과 연관산업이 함께하는 고부가가치 항만 육성
다. 친환경·신산업이 조화된 지속가능한 에너지 항만 구축
(2) 항만과 물류, 서비스를 선도하는 특화 항만 구축
가. 배후수송망 및 교통체계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강화
나. 권역별 거점항만 인프라 개발 및 서비스 혁신으로 항만경쟁력 강화
다. 연안·도서지역 SOC사업 확대를 통한 지역 지원 확대
(3) 지역과 함께 하는 상생 항만 구축
가. 시민과 지역산업 상생을 위한 항만·도시 및 해양공간 재창조
나.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통한 사람중심의 문화항만 조성
(4) 시민과 국가, 해양 영토수호를 위한 안전 항만 구축
가.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항만시설 방재시스템 구축
나. 해양영토수호 강화에 대비한 안보항만 구축
제 7장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를 위한 주요 동향 분석
1. 스마트 콜드체인 주요동향
1) 콜드체인(Cold Chain)
(1) 배경
(2) 개념
(3) 특징
2) 국내외 콜드체인 산업동향
(1)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중국
(2) 국내 동향
3) 국내외 콜드체인 정책·기술 동향
(1) 해외 정책동향
(2) 국내 정책동향
(3) 주요 기술동향
2. 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와 초저온 Logistics 동향
1) 바이오의약품 콜드체인의 디지털화 기술동향
(1) 보관시설
(2) 포장·소재
(3) 물류 인프라·장비
(4) 온도 모니터링 장치
(5) IoT·클라우드·AI·빅데이터
2) 백신 운송을 위한 초저온 Logistics 시장
(1) 시장 개요
(2) COVID-19와 Cooler box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경쟁 현황
(4) 시장 분석
3. 식품 콜드체인 물류산업 현황과 관련기술 동향
1) 식품 콜드체인 물류산업 현황
(1) 식품 콜드체인 물류 현황
(2) 생활물류영역의 콜드체인
(3) 민간기업과 단체 주도의 산업표준 수립
2) 식품 콜드체인 시스템 기술
(1) 물류기술
(2) 콜드체인 시스템과 설비기술
3) 콜드체인 시장/기업 동향
(1) 기술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다. 지역별 시장 규모
(4) 기업 동향
가. Lineage Logistics
나. Americold
다. US Cold Storage Inc
라. AGRO Merchants Group
마. NewCold Advanced Cold Logistics
바. Nichirei Logistics Group
사. Kloosterboer B.V
아. VersaCold Logistics Services
4. ASEAN 지역과의 신선식품 콜드체인 물류협력에 관한 연구
1) 연구 목적
2) ASEAN 지역의 콜드체인 현황
(1) ASEAN 지역의 콜드체인 시장
(2) 한국 - 신남방지역과의 콜드체인 현황
3) 일본-ASEAN 지역과의 콜드체인 협력
(1) 콜드체인 프로젝트
(2) 일본의 對ASEAN 콜드체인 규격 보급
도표/그림 목차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
③ 결제완료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