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환경부는 ‘안전한 환경,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2021~ 2030)을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며, 사전예방·관리에서 피해 대응·복구까지 확장된다.
첫째, 환경유해인자의 사전 감시를 강화한다. 미세먼지·소음 등은 물론 기후변화, 나노물질·미세플라스틱·미생물 등 잠재적 유해인자에 대한 건강영향도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WHO에 따르면 전 세계 117개국 6천 700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대기질 모니터링 결과 전 세계 인구 99% 이상이 유해한 수준의 미세먼지를 마시고 있다. 2019년 기준으로 연간 700만여명이 나빠진 공기질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사망했으며 대기오염이 초래한 건강 관련 비용은 8조 1000억 달러에 이른다고 WHO는 전했다.
둘째, 환경유해인자의 노출 관리를 강화한다. 실내공기·소음·빛 공해와 더불어 화학물질 평가와 산업계 관리를 강화한다. 2021년 유해화학물질 사고 건수가 최근 5년 사이 최다였으며, 전체 사고 58%(161건)는 환경부에서 영업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발생했다. 앞으로도 등록이 필요한 화학물질 수는 2021년까지 1천944종, 2024년까지 2천785종, 2027년까지 5천640종, 2030년까지 6천727종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셋째, 환경성 건강피해 대응능력을 강화한다. 가습기살균제·석면·환경오염 피해구제 시 합리적 수준의 지원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의료 사후관리 등 피해자 지원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환경보건 시스템을 견고화한다. 환경보건법 개정(`20. 12)으로 지자체별로 환경보건 표준조례가 만들어지고, 관련 계획이 수립될 예정이다. 끝으로 전문성이 보다 더 강화되며, 환경보건 빅데이터를 점진적으로 구축·공개할 계획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능동적 감시 및 저감과 환경보건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환경유해인자 감시·저감관리 대응기술 -미세먼지/유해화학물질/미세플라스틱」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총 3편으로 구성되었으며, 1편에서는 환경보건계획과 스마트안전 세부내용을, 2편에서는 환경유해인자별 노출·감시 강화방안과 대응기술을, 3편에서는 플라스틱 재활용과 대체물질 개발동향을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 Ⅰ편 환경보건과 스마트안전
제 1장 국내 환경보건 사례연구와 관련기술 추진방향
1.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2021~2030)
1) 계획 수립 배경과 역할
(1) 수립 배경
(2) 계획의 위상과 역할
가. 계획의 위상
A) 성격
B) 타 계획과의 관계
나. 계획의 역할
2) 현황 및 전망
(1) 제1차 환경보건종합계획 평가
가. 제1차 계획의 주요내용(2011년~2020년)
나. 종합 평가 및 시사점
A) 성과
B) 한계
(2) 환경보건정책 관련 현황 분석
가. 매체별 환경오염 현황
A) 일반환경
B) 생활환경
나. 체내 유해물질 농도
A) 중금속류
B) 화학물질
다. 주요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
라. 일반국민·전문가 인식
마. 국제 동향
A) 국제기구
B) 유럽연합
C) 미국
(3) 미래사회 전망과 여건 변화
3) 환경보건정책 추진방향
(1) 환경유해인자의 사전 감시 강화
가. 전방위적 환경보건 조사·감시 체계 구축
나. 잠재적 유해인자 대비 체계 마련
다. 사전 건강영향평가 제도 고도화
(2) 환경유해인자 노출 관리 강화
가. 생활환경 불편·위해요소 적극 관리
나.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 조성
다. 맞춤형 환경보건 서비스 제공
(3) 환경성 건강피해 대응능력 강화
가. 원스톱 환경오염 피해 대응 시스템 구축
나. 환경보건 피해구제 확대
다. 환경오염 취약지역 개선 체계 구축
(4) 환경보건시스템 견고화
가. 지역 중심의 환경보건 정책 추진 강화
나. 환경보건 조사·연구 결과 활용 활성화
다. 환경보건 조직 역량 및 전문성 강화
2. 국내 주요 환경보건 재난 전개과정과 역학연구
1) 연구 개요
2) 환경보건에서 역학의 역할과 기능
3) 국내 환경보건 분야의 주요 역학연구 성과 사례
(1) 온산 및 여천공단 환경오염 피해
가. 온산공단 환경오염
나. 여천공단 환경오염 피해
(2) 낙동강 페놀 사건
(3) 고잔동 주민 유리섬유 건강피해
(4) 베트남전 참전군인에 대한 고엽제 노출
(5) 고성 폐금속 광산 오염 피해
(6) 시멘트 공장 주변 주민 피해
(7) 원유유출로 인한 지역주민 및 방제작업자의 건강 피해
(8) 가습기살균제 피해
(9) 구미 (주)휴브글로벌 불화수소 누출 사고
(10)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주민에 대한 역학조사
(12) 장점마을의 비특이적 암발생 인정 사례
4) 환경역학 관련 이슈 및 전망
(1) 저농도 장기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2) 분석역학 연구설계
(3) 분자역학적 접근
(4) 과거 노출상황의 재연
(5) 장기적 추적조사와 상시적 질병감시
3. IoT 기반 환경보건 분야 사례분석 및 기술동향
1) IoT 기반 국내 및 국외 환경보건분야 적용사례
(1) 국내
(2) 국외
2) 인공지능(AI) 기반 IoT 기술동향
(1) AI 기반 IoT 기술 정책 동향
(2) AI 기반 IoT 연구개발 기술 내용
3) 시사점
4.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연구 기술 및 시장동향
1)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1) 개요
(2) 스마트 안전 시스템
가. 스마트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나. 스마트 안전보호장치
다. 무형의 위험인자
(3) 적용현장 사례
가. 수도권(Ⅱ) 광역상수도 용수공급 신뢰성 제고사업 제2공구 현장
나. 안성-평택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현장
다. 별내선 8호선연장 1공구 현장
라. 청주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현장
2) 산업용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동향
(1) 산업용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2) 관내 탐지용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 동향
가. 인텔리전트 피그(Intelligent Pig)
나. 배관 탐지용 로봇
(3) 산업용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장 동향
가. 시장 규모 및 전망
(4) 경쟁 현황
3) 그래핀 복합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감지 센서 개발
(1) 기술개발 배경
가.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는 유해 물질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
나. 원자폭탄보다 무서운 유해 활성산소, 과산화수소(H₂O₂)
(2) 국내외 환경
(3) 시장 규모
제 Ⅱ편 환경유해인자 노출 감시강화 및 대응기술
제 1장 공기 노출 유해인자 관련 연구·기술 동향
1. 유해대기오염물질 측정 및 분석기술
1) 입자상 유기독성물질 측정분석 및 자료해석
(1) 유해대기오염물질(HAPs)
(2) 입자상 유기독성물질의 측정분석
(3) 유기독성물질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오염원 추적
(4) 자료처리와 해석
2)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측정기술
(1) 미세먼지 측정기술의 전통적 역할
가. 측정데이터의 중요성
나. 입자성 미세먼지의 측정
다. 가스상 미세먼지의 측정
(2) 측정기술 역할의 변화
가. 시스템 진단·제어를 위한 측정
나. 난측환경 및 가스에 대한 측정
다. 실시간 · In-situ 측정기술의 필요성
(3) 미세먼지 배출저감을 위한 측정기술 적용 연구
가. 환경설비 제어를 위한 측정기술의 적용 연구 사례
A) SCR 설비 질소산화물(NOx) 저감율 향상을 위한 측정기술 적용 연구
B) 공정가스의 배출 저감을 위한 측정기술 적용 연구
나. 연소제어를 위한 측정기술의 적용 연구 사례
A) 화염 내 미세먼지 생성 억제를 위한 측정기술 적용 연구
2. 미세먼지 실태 및 저감기술 동향
1) 국내 미세먼지 오염의 특성
2) 국내 미세먼지 정책 현황
(1) 정책기반 강화 관련
가. 미세먼지 국외유입 측정망 구축
(2) 수송 부문 관련
가. 제1차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2021-2025)
나.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
(3) 산업 부문 관련
가.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사물인터넷 측정기기 부착 제도화
나. 전국 사업장 배출원 전수조사
(4) 국민건강 관련
가. 지하철 승강장 실내공기질 실시간 측정
(5)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2020년 추진실적 평가
3) 나노 미세먼지(Ultrafine particle) 관리의 중요성
(1) 나노 미세먼지(Ultrafine particle: UFP)
(2) 나노 미세먼지 발생원
가. 인위적 발생
나. 자연 발생
다. 실내 발생원
(3) 나노 미세먼지 측정 방법
(4) 나노 미세먼지 인체 유해성
가. 질병과의 관련성
나. 나노 미세먼지 중 생물학적 물질
(5) 나노 미세먼지 관리
가. 나노 미세먼지 관련 최근 연구동향
나. WHO의 나노 미세먼지 관리
다. 캐나다 몬트리올시의 나노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4) 환경위성 현황과 위성기반 미세먼지 관측기술
(1) 인공위성을 이용한 대기환경 감시
가. 미세먼지 위성관측의 필요성
나. 인공위성을 이용한 대기관측의 장점
다. 인공위성을 이용한 미세먼지 관측 원리
라. 인공위성에서의 미세먼지 산출물
A) 에어로졸 광학두께(Aerosol Optical Depth; AOD)
B) 에어로졸 단일산란알베도(Aerosol Single Scattering Albedo)
C) 자외선·가시광 에어로졸 지수(Ultraviolet·Visible Aerosol Index)
(2) 세계최초 우리나라 정지궤도 환경위성
가. 천리안위성 2B호(GK-2B) 환경탑재체 GEMS
(3) 최신기술이 융합된 인공위성 관측
가. 인공지능기법을 적용한 미세먼지 위성관측
5) 미세먼지 저감기술 동향
(1) 농업기계
(2) 선박
가. 습식 저감기술
나. 건식 저감기술
다. 기타 신기술
(3) 철도
가. 나노기술을 적용한 실시간 지하구간 오염물질 제거기술
A) 도시철도 터널 Hot Spot 구간 관리기술
B) 전동차 부착형 도시철도 터널 오염물질 제거기술
C) 초미세먼지 제거차량 시스템
나. 인공지능 기반의 지하철 이용객의 (초)미세먼지 노출 저감기술 개발
A) 인공지능 기반 (초)미세먼지 예측 및 고속 저감기술
B) (초)미세먼지 저감기술의 효율 향상 핵심기술
C) 지하철 (초)미세먼지 전구체 저감기술
(4) 항공
가. 바이오 항공유 개발
나. 친환경 항공기 개발
다. 도심항공교통(UAM) 도입
(5) 군용차량
6) VOCs 저감장치 기술개발 및 특허동향
(1)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2) VOCs 저감 장치 기술 개발 동향
가. 관련 연구개발 추진 사례
나. 기술 개발 이슈
A) 저온 구동 고효율 제올라이트 기반 VOCs 흡착 공정
B) 마이크로웨이브를 활용한 VOCs 저감 장치
다.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플레이어 동향
B)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주요 플레이어 특허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특허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나. 국내 플레이어 특허 동향
A)연도별 출원 동향
B) 국내 주요 플레이어 출원 동향(건수)
7) 고효율 헤파필터 연구개발 및 특허동향
(1) 고효율 헤파필터
(2) 필요성
(3) 범위 및 분류
가. 나노섬유 제조 분야의 가치사슬
나. 나노섬유 제조 공정 분류
다. HEPA 필터의 분류
라. 기술수준과 기술격차
(4) 국내외 시장현황 및 전망
가. 세계 시장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다. 경쟁 현황
(5) 기술 개발 동향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플레이어 동향
B) 국내 플레이어 동향
(6) 특허 분석
가. 연도별 국가별 출원 동향
나. 주요 출원인 동향
다. 국가별 세부 동향
A) 국가별 특허 점유율 동향
B) 국가별 피인용지수
C) 국가별 주요시장 확보율
3. 실내 공기질 측정·관리 시스템 개발동향
1) 복합센서와 공조기반에서 지능형 실내공기질 관리시스템 개발
(1) 연구 개발
(2) 관련 연구
가. 지능형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나. IoT 플랫폼 솔루션&복합센서 H/W모듈
(3) 연구 방법
가. 복합센서 및 공조기 연동 H/W 개발
나. 공조기 연동 H/W 모듈 개발
다. 공조기 연동기능 S/W 기능
라. 공조기 관제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
(4) 실험 결과
가. 공조기 연동기능 S/W 시험
나. 지능형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S/W 시험
A)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B) 실시간 오염 지도 서비스
C) 지능형 실내 공기질 관리 서비스
(5) 결론
2) 휴대용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개발
(1) 연구 배경
(2) 실험장치 및 방법
가. 하드웨어 제작
나. 소프트웨어 구성
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 센서 평가
(3) 실험 결과
가. 광 산란 방식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센서 선정
나. 실내 공간별 미세먼지 농도 측정
다. 모바일 앱
라. 휴대용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 성능 검증
(4) 결론
4. 도시 미세먼지 인증표준물질 개발
1) 연구 내용
2) 활용 분야
3) 기존 연구와 차별점
5. 배기가스 정화 촉매 시장
1) 기술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동향
(1)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2) 세부항목별 시장 규모
(3) 지역별 시장 규모
(4) 국내 시장 규모
4) 주요 기업 동향
(1) BASF Catalyst
(2) Johnson Matthey
(3) Umicore
(4) Corning Incorporated
(5) Solvay
제 2장 환경유해인자 독성과 국가별 화학물질 규제동향
1. 환경유해인자(라돈/석면/유해가스/가습기살균제) 독성연구 사례분석
1) 라돈가스의 문제점과 사례분석
(1) 라돈가스의 환경적 문제점
(2) 각국의 라돈가스 환경문제 사례
가. 한국
나. 미국
다. 독일
라. 스페인
마. 스웨덴
(3) 라돈가스 유입의 방지법
가. 토양배기법(Active Soil Depressurization, ASD)
나. 자연배출법(Passive Soil Depressurization, PSD)
다. 표면 밀봉 기술
라. 차단막 설치 기술
마. 환기법
(4) 결론
2) 국내외 석면 관련 제도분석
(1) 석면 위해성
(2) 국내외 석면 관련 제도
가. 국내 석면 관련 제도
A) 국내 석면관리 제도의 연혁
B) 석면의 사용 주체
C) 석면의 관리 주체
D) 석면해체·제거작업 전담인력 기준
나. 국외 석면 관련 제도
A) 미국
B) 영국
C) 일본
3) 화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위험성 연구
(1) 연구 배경
(2) 연구범위 및 측정방법
가. 실제 화재현장에서의 유해물질 측정방법
A) 화재현장 건물 내 실내공기질 분석
B) 화재조사현장 유해가스 분석
나. 화재 재현실험 현장에서의 유해물질 측정방법
A) 실제 건물 화재 재현실험 현장 측정
B) 화재감식대회 실험세트 화재 현장 측정(포름알데히드)
(3) 결과
가. 실제 화재현장의 가스상 유해물질
A) 화재현장 건물 내 실내공기질 분석 결과
B) 화재조사현장 유해가스 측정 결과
나. 화재재현실험 현장에서의 유해물질 측정 결과
A) 실제 건물 화재 재현실험 현장 측정 결과
B) 화재감식대회 현장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측정 결과
(4) 고찰
가. 실제 화재현장 가스상 유해물질의 위험성
나. 화재 재현실험 현장 유해물질의 건강유해성
4) 환경유해인자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독성 연구
(1) 환경성질환과 환경유해인자의 연관성
(2) 환경성질환에 관한 연구 추세
(3)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폐질환과 화학물질의 연관성 규명을 위한 독성학적 연구
(4) 환경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독성학적 연구의 방향
가. 독성 발현경로의 활용
나. 환경성질환 유발 화학물질 선별 시스템 구축
(5) 결론
5) 환경보건분야 AIoT 기술 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적용 기술
(1) 연구 배경
(2) 노출 및 위해성평가
(3) 디지털트윈
가. 메타버스
나. 디지털트윈
A) 디지털트윈 개념
B) 디지털트윈 플랫폼 및 주요 기술요소
(4) 환경보건분야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
가. 환경보건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종류 및 수집 방법
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다.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 방안
라. 환경보건분야 디지털트윈 시스템 구현
A) 고해상도 환경유해인자 농도
B) 단위 공간의 총노출량 산정 프로세스
C) 실내공간의 디지털트윈 기술 적용 사례
D) 디지털트윈 기술 기반의 환경보건서비스
(5) 결론
2. 국내외 화학물질 규제동향 분석
1) 국외 주요 화학물질 규제 동향
(1) EU REACH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REACH 이행상황 점검 및 제재 지속
B) 허가 후보물질인 고위험성우려물질(SVHC)의 지속적인 증가
C) SVHC 증가에 따른 허가물질 등재 추진
D) 신규 금지물질 지정
E) 추가적인 동물 시험자료 요구
F) 시험자료 요건 개정
(2) 미국 TSCA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5종의 PBT 물질에 대한 최종 규칙 발표
B) 4종의 물질에 대한 중요 신규사용 규칙(SNUR) 발표
C) PFAS 규제 통합로드맵 발표
(3) 일본 화심법
가.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과불화옥탄산(PFOA) 및 그 염화물을 제1종 특정화학물질로 지정
B) 2022년도 신규화학물질의 제조·수입신고 등과 관련된 일정 발표
(4) 중국 신규화학물질환경관리제도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기존화학물질 목록 추가
B) 미등록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조사 확대
2) 국내 주요 화학물질 규제 동향
(1)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등록 의무 등 불이행에 대한 조치 강화
B) 제한물질, 금지물질의 지정 내용 강화
C) 고분자화합물 및 나노물질 관련 시행규칙 일부 개정(시행 2021. 10. 14)
(2)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A) 유독물질의 추가지정 고시
B)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 지정
C) 대표설비 검사 근거 마련(환경부고시 제2019-157호 개정, 시행 2021.6.29)
D) 2021년 9월 화평법에서 신규 지정된 제한물질의 취급금지 시행
(3) 산업안전보건법
가. 규제 주요 내용
나. 규제 동향
3.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표시기준
1) 각국의 입법례
(1) 미국
(2) 일본
(3) 독일
2)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표시기준 관련 주요 내용
(1) 화학제품안전법 제정 배경 및 주요 내용
(2) 화학제품안전법상 표시기준 준수 의무
4. 국내 환경보건 강화를 위한 협력사업 및 법률추진
1) 어린이용품 자가관리 사업
2) 유해오염물질 저감화 협의체 발족
3) ‘통합 위해성 평가’ 도입
5.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상물질의 유해성 분류기준 적용 연구동향
1) OECD Global list project 중심의 국제적 화학물질 분류체계 적용 동향
2) 국내 화학물질 분류체계 및 적용 제도 고찰
3) 국내외 화학물질 유해성 분류자료 비교⋅분석
4) 국내 일부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유해성 정보 인식 실태
5) 국내 유해성 분류 적용의 합리적인 방안 제시
6) 결론
제 3장 유해물질 화학사고 현황과 대응기술 개발동향
1. 유해화학물질 사고사례와 대응현황
1) 유해화학물질 노출사고와 위험지역 설정·운영
(1) 유해화학물질 노출 위험에 취약한 한국의 공간구조
(2) 화학사고 누출로 인한 주변 지역 노출 사례
가. 산단과 인접한 마을에 불화수소가 확산된 구미 휴브글로벌 누출사고 사례
나. 소규모 산단에서 누출된 불산이 영주 시가지로 확산되어 피해가 발생한 사례
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밀집으로 피해가 확산된 인천 이레화학 사례
(3)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유럽의 ‘위험지역’ 설정 사례
가. 유해화학물질 노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토지이용계획’의 수립과 추진
나. 영국의 토지이용 규제와 위험등급 설정 사례
다. 유럽연합과 미국은 화학사고로부터 주민 보호를 위해 비상대응체계 구축
라. 미국은 인도 보팔사고를 계기로 지역 단위 대비체계 구축
(4) 화학사고 위험지역의 설정과 운영
가. 화학물질 위해성에 기반한 사고예측도를 이용하여 ‘위험지역’ 설정 관리
나. 화학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노출 위험 저감을 위한 실내대피 관리체계 구축
2)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현황
(1) 화학물질 사고 위험성
(2) 사고대비물질과 사고 사례
(3) 유해화학물질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 사례
가. 배경 및 목적
나.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 통계 및 특성
A)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로 인한 화학 사고 발생 현황
B) 정비 불량으로 인한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 통계 및 특성
C) 적재 불량으로 인한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 통계 및 특성
D)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로 인한 누출 물질 통계
다. 운송·운반 차량의 사고 사례
A) 메탄올 탱크로리 전도 사고(교통사고에 기인)
B) 염산 탱크로리의 누출 사고(정비 불량에 기인)
C) 포름산 누출 사고(적재 불량에 기인)
라. 결론
(4) 화학사고 규제대응과 대응기술 개발
3) 유해화학물질 화학사고 대응기술 개발현황
(1) 화학사고 대응 국내외 기술 비교
가. 국내 기술동향
나. 해외 기술동향
(2) 유해화학물질 사고와 대응
(3)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방제제 기술 개발
가. 산성·염기성 유해화학물질 대응 방제제 개발
A) 중화반응열 실측
B) 과립 방제제의 중화반응 서방성
C) 제품 과립방제제의 실용성 확인
D) 과립 방제제의 불소제거 효과
E) 염기성 유해화학물질 대응 과립 방제제
F) 과립 방제제의 대량 중화시험
G) 과립방제제의 원거리 살포 시험
나. 탄화수소계 유해화학물질 대응 흡수방제제 개발
다. 산성·염기성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방제제 상용화
A) 국내 분말 방제제와 과립 방제제의 비교
B) 해외 분말 방제제와 과립 방제제의 비교
C) 국내시장 규모 및 전망
D) 해외시장 규모 및 전망
E) 과립 방제제의 판로확보 계획 - 공공 및 조달시장을 중심으로 단계적 국내시장 공략
F) 제품 관련 과립 방제제의 산업재산권 보유현황
2. 화학사고 대응 센서활용 ICT/모니터링 기술 주요동향
1) 화학물질 누출특성 고려한 폭발위험장소의 ICT설비 활용실태
(1) 조사 배경 및 목적
(2) 국내외 실태 조사
가. 국내
나. 미국
다. 캐나다
라. 영국
마. 독일
바. 일본
(3) 위험성평가를 통한 위험장소 구분 방안
가. 폭발과압에 의한 기준
나. 복사열에 의한 기준
다. 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폭발특성 기준값
2) 유해화학물질 원격 모니터링 주요기술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용도별 분류
(2)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 경쟁력 분석
나. 생태계 기술 동향
A) 해외 플레이어 동향
B) 국내 플레이어 동향
C) 기관 기술개발 동향
(3) 특허 동향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다. 주요 출원인 분석
(4) 인천남동산단 화학사고 24시간 원격 모니터링 사업
3) 가스센서 시장동향
(1) 가스센서
(2) 관련 정책 및 제도
(3) 시장동향
가. 시장 규모 및 전망
(4) 시장 주도 기술 동향
가. MEMS 기반 가스 센서
나. 전자 코(E-nose) 기술
다. 나노 촉매 결합가스센서
4) WO₃ 기반 가스 센서의 감응 특성 향상 연구동향
(1) 연구 배경
(2) 본론
가. WO₃ 가스 센서의 감응 원리
나. 나노구조(Nanostructure)
다. 도핑 & 데코레이션(Doping & Decoration)
(3) 결론
5) IoT기반 이용한 가스상 물질 측정용 스마트센서 개발과 전망
(1) 연구 배경
(2) 스마트센서
가. 기술과 제도 동향
나. 각 기술별 핵심기술
(3) 스마트센서의 개발
가. 대상 화학물질의 선정
나. 알람기준 선정
다. 스마트센서의 구조 및 주요성능
라. 스마트센서의 개발과정
A) 센서의 검정
B) 디자인설계
C) 기능설계, 기구설계, 3D 프린팅, 목업(Mock up)
D) 모니터링 플랫폼 설계
(4) 결론
제 4장 유해물질 통합 위해성 평가와 水환경 유해물질 현황·대응
1. 인체 및 생활 속 유해물질 통합 위해성 평가
1) 국민 체내 환경유해물질 농도 조사 및 결과
(1) 중금속
(2) 환경성 페놀류 및 프탈레이트 대사체
가. 비스페놀-A
나. 프탈레이트(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대사체)
다. 파라벤
(3) 과불화화합물(PFCs)
2) 국내 유통식품 미세플라스틱 오염수준 조사 및 결과
3) 생활 속 유해물질(13종) 통합 위해성 평가 결과
(1) 과불화화합물(2종)
(2)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8종)
(3) 포름알데히드
(4) 브롬화화합물, 노닐페닐
2. 상하수도/방류수 수질위생 처리기술과 현황분석
1) 상·하수도에 존재하는 미량의약물질 모니터링 현황
(1) 수질 관리 정책 현황
가. 국내 수질 관리 정책
나. 국외 수질 관리 정책
(2) 수처리 기술 현황 및 동향
가. 국내외 기술 현황
나. 국내외 기술 수준
(3) 수계에 존재하는 미량의약물질
가. 수질 시료 중 미량의약물질
A) 항생제 및 의약물질
B) 의약물질 관리 동향
나.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되는 미량의약물질
다. 국내 지자체 수질검사항목 중 미량의약물질 조사
2) 미량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산화·흡착 기반 하수 방류수 강화처리 기술 연구동향
(1) 연구 배경
(2) 방류수 강화처리 기술
가. 산화기반 수처리 기술
A) 수산화라디칼 반응 특성 및 영향 인자
B) 오존(O₃) 기반 고도산화처리
C) 자외선(UV)기반 고도산화처리
나. 흡착기반 수처리 기술
A) 활성탄 흡착공정
B) 활성탄 특성
C) 활성탄 흡착에 미치는 수질 영향 인자
D) 분말활성탄(PAC) 활용 기술
E) 입상활성탄(GAC) 활용 기술
(3) 방류수 강화처리공정 비교 및 국내 적용성 평가
(4) 결론
3. 위험·유해물질 유출 해양오염 사고발생 현황 분석
1)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2) 신형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분석
3) 신형 해양오염사고 발생 영향 조사
(1) 친환경 연료 전환에 따른 위험성 제기
(2) 친환경 연료 전환에 따른 위험성 조사
가. 액화천연가스, 압축천연가스, 바이오가스
나. 액화석유가스
다. 바이오디젤
라. 메탄올
마. 수소
바. 암모니아
사. 배터리
(3) 신형 해양오염사고 발생 영향 조사
가. 환경·생태 영향
나. 사회·경제 영향
다. 건강·안전 영향
제 5장 잠재 유해인자 미세플라스틱 위해성과 저감·대응 기술
1.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위해성
1) 미세플라스틱 특성
2) 미세플라스틱 부문별 연구 현황과 환경오염 특성
(1) 해양 환경
(2) 육상 환경
(3) 기타 : 극지방
3) 미세플라스틱의 노출 및 영향 연구 동향
(1) 미세플라스틱 노출
(2) 미세플라스틱의 독성
2. 미세플라스틱 검출분석/처리를 위한 기술 연구동향
1) 수환경 내 미세플라스틱 검출분석법 최신 동향 연구
(1) 연구 배경
(2) 미세플라스틱 검출방법
가. Sampling
나. Pre-treatment
다. Qualitative/Quantitative analysis
(3) 결론
2) 미세플라스틱 처리를 위한 연구동향
(1) 연구 목적
(2) 미세플라스틱 선별 기술
(3) 미세플라스틱 선별 연구 동향
(4) 향후 미세플라스틱 선별 연구
3. 해양 환경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실태와 수거기술 동향
1) 해양 환경 미세플라스틱 실태
(1) 플라스틱의 해양 유출
(2)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생성
(3) 해양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 실태
(4) 우리나라 연안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 실태
(5) 해양 생물 체내의 미세 플라스틱 노출 및 축적
2) 미세플라스틱 수거 장비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4. 1차/2차 미세플라스틱 저감 및 관리방안
1) 1차 미세플라스틱의 대체물질과 기술 개발 현황
(1) 대체기술 적용 주요 사례
가. 화장품류(미용제품 및 개인위생·관리용품 포함)
나. 세정제 및 유지관리제
다. 농업 및 원예 용품
A) EdenResearch의 Sustaine® 미세캡슐 기술
B) 기술 적용 사례 : Mevalone
C) 기술 적용 사례: Cedroz
라. 도료·페인트·잉크류 및 코팅제
마. 인조잔디 충전재
2) 2차 미세플라스틱 관리 방안
(1) 타이어 마모 분진 및 미세섬유의 하수도에서의 유출 저감 방안
(2) 매크로플라스틱 중 병뚜껑 수집 및 재활용 방안
가. 물질의 자원순환성 확대 및 경제적 가치 증진은 미세플라스틱 유출을 방지
나. 병뚜껑 물질재활용 고품질화 추진 및 활용 확대
다. 재활용 공정 중 미세플라스틱 발생 모니터링 필요
라. 병뚜껑 별도 회수 프로그램 시범실시 확대
마. 페트병과 함께 병뚜껑 회수 리워드 확대
바. 분산형 지역순환 재활용 시 실용적인 재활용 제품 개발 필요
사. 용기부착형 병뚜껑 도입 검토 필요
아. 병뚜껑 자원순환성 제고를 위한 주체별 역할
제 Ⅲ편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대체물질 개발
제 1장 플라스틱 대체소재 및 재활용기술 개발동향
1. 바이오플라스틱 주요동향
1) 바이오플라스틱 분류
2)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정책동향
(1) 국외 정책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마. 그 외
(2) 국내 정책동향
3) 바이오플라스틱 기술개발 및 기업동향
(1) 바이오플라스틱 기술
가.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
나.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s)
(2) 글로벌 기업 개발동향
(3) 국내 기업 개발동향
4) 바이오플라스틱 산업동향
(1) 글로벌 산업 동향
(2) 국내 산업 동향
5)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 특허분석
(1) 친환경 분해성 소재 분야 특허분석
가. 해외 플레이어 특허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나. 국내 플레이어 특허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2) 셀룰로오스 플라스틱 특허분석
가. 해외 플레이어 특허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나. 국내 플레이어 특허 동향
A) 연도별 출원 동향
B) 국가별 출원 동향(건수)
2. 지속가능한 친환경섬유와 화학재생 섬유 주요동향
1)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주요동향
(1) 친환경 섬유 ‘라이오셀’
(2) 라이오셀 섬유 국내외 기술동향
가. 해외기술 동향
나. 국내기술 동향
(3) 라이오셀 시장 동향
2)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주요동향
(1)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정의
(2) 자원순환 소재 글로벌 시장동향
가. 폴리에스터(PET)
나. 나일론
(3)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가. 자원순환 소재 글로벌 기술동향
A) 폴리에스터 재활용 기술 개발 동향
B) 나일론 재활용 기술개발 동향
나. 화학적 재활용 기술 분석
3. 폐플라스틱의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대응전략
1)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필요성
(1) 환경적 관점
(2) 경제적 관점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요소
2) 정책 동향
(1) 글로벌 동향
(2) 국내 동향
3) 기술 동향
(1) 물리적 재활용
(2) 화학적 재활용
가. 화학적 재활용 기술: 가스화 및 열분해(화학 원료화)
나. 화학적 재활용 기술: 해중합
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 정제
(3) 열적(에너지) 재활용
(4) 촉매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고부가가치 화합물로의 업사이클링 전환 연구
가. 촉매 폐플라스틱 분해 반응
A) 열분해-수소화 2단계 분해 반응
B) 수소 첨가 폐플라스틱 분해 반응
C) 수소 무첨가 폐플라스틱 분해 반응
(5) 폐플라스틱 촉매 열분해를 통한 재생 연료 및 화학제품 생산 기술 연구동향
가. 폐플라스틱의 촉매 열분해 기술
나. 바이오매스와 폐플라스틱의 혼합 촉매 열분해 기술
(6)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생물학적 분해 연구동향
가. 비생물학적 플라스틱 분해 기술
A) 광분해(Photodegradation)
B) 열산화 분해(thermo-oxidative degradation)
C) 가수분해(hydrolytic degradation)
나.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및 동향
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C)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D)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F)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PU)
4) 관련 기업 동향
5)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기술별 전망
(3) Retail 시장 전망
6) 폐플라스틱 활용 공정 및 제품 특허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현황
(3) 주요 출원인 분석
(4)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4. 플라스틱 재활용/친환경 패키징 개발동향
1)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기업 개발동향
(1) 해외
(2) 국내
2) 친환경 패키징 기업 개발동향
(1) 친환경 패키징
(2) 해외 친환경 패키징 관련 기업 현황
(3) 국내 친환경 패키징 관련 기업 현황
(4) 친환경 패키징 산업동향
가. 세계 포장재 시장
나. 국내 포장재 시장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
③ 결제완료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