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현대 사회는 고령화 및 삶의 질 향상으로 인간의 생명과 건강이 최우선으로 중요시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재생의료/유전체분석 분야의 글로벌 기술 산업화 수준은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재생의료는 2030년부터 본격적인 질환 치료기술 및
산업으로 정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상업적 결과물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어 세계 각국은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투자와 지원을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는 가운데 우리정부도 재생의료를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평가하고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건강정보시스템(HIS), 현장진단(POC)으로부터 의료정보보호, 의료빅데이터, 유전자분석 및 원격의료진단
등은 스마트의료/병원을 구현하는 솔루션으로서 정보통신,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들과의 협력이 진행 중인 가운데, 최근 들어 병원 및 의료기관
등에서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트랜드와 기술변화, 의료 소비주의로 인한 환자들의 니즈가 급증하면서 신기술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환자 편의성
및 접근성, 유연성 개선과 비용절감 등 서비스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재생의료・유전체분석/스마트의료・맞춤의료 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첨단 재생의료‧유전자치료/스마트의료 최근 산업동향과 신기술개발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재생의료•유전체분석/스마트의료•맞춤의료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줄기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의료서비스,
의료빅데이터 등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Ⅰ편 첨단 재생의료/유전체분석 산업
제 1장 첨단 재생의료/유전체분석 최신 산업동향 및 연구개발
동향
1. 재생의료 샨업 동향 및 전망
1) 재생의료의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특성
가. 재생의료의 정의
나. 재생의료와 기존 의료기술의 차이점
(2) 응용분야
가. 재생의료의 적용 분야
나. 재생의료의 기술 전망
2) 기술 및 시장동향
(1) 기술동향
가. 제품 현황
나. 임상시험 현황
다. 줄기세포치료제 기술 제품화
전망
(2) 시장 및 산업 동향
가. 시장규모 예측
나. 세포치료제 기업 분석
다. 재생의료 분야 투자 현황
3) 각국의 재생의료 추진동향
(1) 영국
(2) 일본
(3) 미국
(4) 캐나다
(5) 한국
4) 전망 및 시사점
2. 근골격계 재생의료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1) 근골격계 질환 관련 줄기세포·재생의료 산업 동향
(1) 국내외 산업 동향
가. 글로벌 동향
나. 미국의 근골격계 분야 동향
다. 국내 동향
(2) 근골격계
질환의 줄기세포·재생의료 제품화 특징
가. 근골격계 질환의 줄기세포·재생의료 제품 동향
나. 주요 제품 정보
2) 근골격계
질환 관련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개발 동향
(1) 논문 분석
가. 분석 개요
나. 근골격계 질환 줄기세포 연구 동향
⒜ 세계 연구 동향
⒝ 국내 연구 동향
다. 근골격계 질환 조직공학 연구 동향
⒜ 세계 연구 동향
⒝ 국내
연구 동향
(2) 특허 분석
가. 분석 범위
⒜ DB검색 범위
⒝ 기술 분류 및 검색식 도출
⒞ 분석방법
⒟ 검색결과
나. 근골격계 질환 특허 동향분석
⒜ 근골격계 질환
⒝ 세부 근골격계 질환 분야 특허동향
⒞
세부 근골격계 질환 분야 특허 기술 주기
⒟ 세부 근골격계 질환 분야 주요출원인 분석
⒠ 기술경쟁력 분석
3. 면역질환
재생의료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1) 면역계 질환 관련 줄기세포·재생의료 산업 동향
(1) 국내외 산업 동향
가. 글로벌
동향
나. 국내 동향
(2) 면역계 질환 줄기세포/재생의료 제품화 특징
가. 특징
나. 주요 제품 정보
2)
면역계 질환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개발동향
(1) 논문분석
(2) 면역계 질환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 동향
가. 세계 연구
동향
⒜ 연도별 논문 동향 및 주요국 현황
⒝ 주요연구주제
⒞ 주요 게재 저널 및 IF 현황
⒟ 주요 저자 현황
⒠ 최다 인용논문
나. 국내 연구 동향
⒜ 주요 게재 저널 및 IF 현황
⒝ 주요 저자 현황
⒞ 최다
인용논문
(3) 특허분석
가. 분석 범위
⒜ DB검색 범위
⒝ 기술 분류 및 검색식 도출
⒞ 분석방법
⒟ 검색결과
나. 면역계 질환 줄기세포/재생의료 특허 동향분석
⒜ 정량분석
⒝ 세부 질환 분야 특허동향
⒞
세부 질환 분야 특허 기술주기
⒟ 세부 질환 분야 국제 특허분류(IPC)별 특허 분석
⒠ 세부 질환 분야 주요출원인 [Top
10] 분석
⒡ 세부 질환 분야 기술경쟁력 분석
제 2장 줄기세포치료제 최신분석 기술개발동향 및 임상적용 현황
1.
줄기세포치료제 주요 동향 및 전망
1) 줄기세포치료제 개요
(1) 정의
가. 줄기세포의 정의
나. 줄기세포의 종류
(2) 필요성
가. 경제적 측면 :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줄기세포
나. 사회적 측면: 고령화사회에서의 수요 증가와 상용화 추세
(3) 문제점
2) 국내외 줄기세포치료제 연구동향
(1) 국외 연구동향
가. 역분화 기술의 진보와 실용화 추세
나. 체세포 복제기술의 진보와 다양한 선택
다. 또다른 선택으로서의 직접교차분화
라. 내인성 줄기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줄기세포 미세환경 조절
마. 새로운 치료가능성 실현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성과 창출
⒜ 미국
⒝ 유럽
⒞ 일본
(2) 국내 연구동향
가. 다양한 줄기세포를 활용한 치료효능 연구성과 확보
나. 연구 활성화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3) 국내외 줄기세포치료제 정책동향
(1) 국외 정책동향
가. 줄기세포 실용화를 위한 전략적 정부정책 추진
⒜ 미국
⒝ 유럽
⒞ 일본
⒟ 중국
나. 우수한 줄기세포주 수립·수집 전략 강화
⒜ 미국
⒝ 영국
⒞ 일본
(2) 국내 정책동향
가. 국가 차원의 줄기세포 연구전략 마련 및 정책·기획 강화
나.
줄기세포치료제 추진계획
⒜ 줄기세포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부처연계 강화
⒝ 기초․원천 연구역량 강화 및 산업화 촉진형 연구개발
지원
⒞ 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를 촉진하는 줄기세포 핵심 인프라 확충
⒟ 신속한 제품화를 위한 제도 정비 및 생명윤리 인식 제고
다. 투자계획
⒜ 정부 투자계획
⒝ 부처별 투자계획
4) 국내외 줄기세포치료제 시장 동향
(1) 국외
시장동향
(2) 국내 시장동향
5) 국내외 줄기세포치료제 발전방향
(1)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다양성 필요
(2)
타 개발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발전방향이 필요
(3) 혁신적 제도개선과 글로벌 네트워크 요구
2.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 및
시장동향
1) 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 연구동향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가. 줄기세포의 산업화
나. 신약개발의 특성
다. 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의 필요성
(2) 국내·외 연구동향
가. 국외 연구동향
나. 국내 연구동향
(3)
문제점 및 발전방향
(4) 향후 전망 및 시사점
가. 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 연구의 전망
나. 협연을 통한 질환모델
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 원천기술 개발
다.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실용화 지원 및 인프라 확충
2) 주요
신경계질환에서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개발 동향
(1) 퇴행성신경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가. hPSC
(human pluripotent stem cell)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
나. ADSC (adipose-derived stem
cell)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
다. 줄기세포의 이식률 개선
(2) AD (Alzheimer’s Disease)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가. NSC (neural stem cell)
나. MSC (mesenchymal stem cell)
다. ESC
(embryonic stem cell)
라.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마. ADSC
(adipose derived stem cell)
바. 최적의 공여세포 선별하기
사. 이식할 부위 선정
아. 이식된
줄기세포의 통합 (integration)
(3) PD (Parkinson’s Disease)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4) HD
(Huntington’s Disease)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3) 글로벌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산업 현황 및 전망
(1)
유도만능줄기세포 시장 개요
가. 유도만능줄기세포 정의
나. 유도만능줄기세포 활용 영역
다. 유도만능줄기세포 분야 정부투자
현황
(2) 만능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유도만능줄기세포 관련 시장 분류
나. 글로벌 시장전망
다. 주요
기업체 현황
(3)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시장 트렌드 분석
4)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1) 질병치료
패러다임의 변화
(2) 바이오장기의 개발현황
가. 바이오장기
나. 바이오이종장기의 개발
다. 조직공학적 바이오장기의
개발
라. 바이오장기의 세포원, 줄기세포와 줄기세포 치료제
(3) 줄기세포 niche 연구
가. Paracrine
mechanisms
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4) 바이오장기 개발을 위한 세포지지체
가. 재생의학용 지지체의 특성
나. 생분해성 고분자의 특성
다. 조직재생용 세포지지체 개발 전략
3. 줄기세포치료제
국내외 기업체 현황
1) 연구개발 및 제품화 동향
2) 주요업체현황
(1) 강스템바이오텍
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시장
나.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시장
다. 크론병 치료제 시장
(2) 파마리서치프로덕트
가. 기업분석
나. 성장 여력이 풍부한 플라센텍스/리쥬비넥스
⒜ 인대/관절염 치료제 시장 성장
⒝ 타 근골격계 질환 치료제 대비 경쟁력
⒞ 매출액 추정
다. 투자포인트 및 Issue & Risk
⒜ 가동률 증가에 따른 GPM 개선 기대
⒝
상품∙제품 Mix 변화에 따른 GPM 개선 기대 279
⒞ 보호예수 기간 해제
(3) 코아스템
(4) 파미셀
가.
줄기세포 치료제 ‘하티셀그램-AMI’ 개발 업체
나. 정부 지원 대폭 확대...희귀 질환 치료제 등에 대한 임상시험 일부 면제 재논의
다. 실적, 파이프라인, 해외 계약 가능성, 정책 방향 등의 점검을 통한 보수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
4.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와 규제동향 및 평가 가이드라인
1)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업적 임상연구 동향
(1) 개요
(2) 연구방법
가.
검색방법 및 선별기준
⒜ 검색방법
⒝ 선별기준
나. 분석에 적용된 기본적 원칙
다. 국가별 임상연구 현황
라. 세포기원 및 종류별 임상연구 현황
마. 적응증별 연구현황
바. 국가별 적응증 개발현황
(3) 상업적 임상연구
동향
가. 국제적 상업임상연구 추이
나. 국가별 임상연구 현황
다. 임상단계별 임상연구 현황
라. 세포기원, 종류,
원료별 임상연구 현황
마. 체외조작 종류별 임상연구 현황
바. 적응증별 임상연구 현황
사. 국가별 적응증 개발 현황
(4) 고찰
2) 유럽 내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Holoclar) 품목 허가
(1) 제품의 일반적 특성 및 허가 시
검토자료
(2) 허가 조건
(3) 최소한의 조작에 관한 지침(안)
(4) 동일 시술 내 적용에 관한 지침(안)
(5) 지방조직을 이용한 치료에 관한 지침(안)
3) 줄기세포치료제 평가 가이드라인
(1) 품질고려사항
가.
일반적 고려사항
나. 원료물질
다. 제조공정
라. 제조공정 검증
마. 특성분석과 품질관리
⒜ 확인
⒝ 순도
⒞ 역가
⒟ 종양원성과 유전적 안정성
(2) 비임상 고려사항
가. 동물모델
나. 생체내
분포와 미세환경(niche)
다. 종양원성
라. 생체내 분화
마. 면역거부와 지속성
(3) 임상 고려사항
가. 약력학(Pharmacodynamics)
나. 약동학(Pharmacokinetics)
다. 용량결정시험
라.
임상적 유효성
마. 임상적 안전성
바.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제 3장 유전자치료제 최신분석
기술개발동향 및 임상연구 현황
1. 유전자치료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유전자치료제 개요
(1) 유전자치료제 시대의 도래
가. 1세대부터 3세대에 이르기까지
나. 정부의 바이오의약품 육성책 발표 → 3세대 바이오의약품 업체에 기회
다. 특히
유전자치료제에 주목해야 할 시기
(2) 종류 및 특성
2) 유전자치료제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1) 주요 기술개발 현황
(2) 국내외 주요 연구동향
가. 국외 현황
⒜ 심혈관 질환
⒝ 망막질환
나. 국내 현황
⒜ 심혈관
질환
⒝ 망막질환
다. 미래전망 및 시사점
3) 국내외 유전자치료제 시장동향
(1) 세계 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2) 국내 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3) 유전자치료제 기업 개발 동향
가. 국내외 유전자치료제 기업 임상 현황
나. 중국 최초의 유전자치료제가 사장된 이유
다. 세포/유전자치료제관련 바이오기업 옥석가리기
4) 유전자치료제 주요 기업
현황
(1) 코오롱생명과학
가. 원료의약품은 여전히 먹구름
나. 티슈진-C로 찬란한 햇빛을 드리울 것
다. 신약
출시가 임박한 바이오 기업으로 접근
(2) 바이로메드
(3) 제넥신
가. 성장호르몬제(GX-H9) 동향
나.
자궁경부전암 치료백신(GX-188E) 동향
5) 유전자치료제 정책 현황과 과제
(1) 미래부 지원, 유전자치료 기술 미국
바이오기업으로 기술 이전
(2)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당면 문제
(3) 정책적 제언
2.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규제
및 특허동향
1) 유전자치료제의 연구개발 동향
(1) 임상연구 동향
가. 임상연구 관련 데이터 베이스 분석
⒜
질환별 현황 (1999-2015년)
⒝ 국가별 현황 (1999-2015년) 384
⒞ 바이러스 벡터별 현황 (1999-2015년)
⒟ 임상 2/3상 및 3상 현황
나. 임상연구 관련 학술 문헌 분석
(2) 비임상 연구 동향 (AAV 및 Glybera
평가 사례)
가. AAV 벡터의 비임상 평가 사례
나. Glybera 비임상 평가 사례
2) 국외 규제기관의 가이드라인
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결론
3) 유전자치료제 관련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가. 분석 범위 및 기준
나. 전세계 유전자치료제 분야의 동향
⒜ 전체 유전자치료제와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 유전자치료제 특허의 연도별 동향
⒞ 포트폴리오로 본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의 위치
(2) 한국특허에서의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분야의 동향
(3)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의 국가별 동향
(4) 유전자치료제의 주요 출원인
가. 다출원인 분석
나. 미국특허에서의 주요 출원인
(5)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분야 기술별 동향
가. 기술 분야별 점유율
나.
기술분야별 특허건수 추이
다. 세부기술분야별 특허건수 추이
라. 국가별 세부기술분야별 점유율
(6) 미국특허에서의 국제협력
및 공동 연구 현황
(7) 맺음말
3. 유전자치료제 임상연구 동향 및 승인규정
1) 유전자치료제 임상연구 평가 항목별 분석
(1) 안전성 평가
가. 질환별 안전성 평가
나. 바이러스 벡터의 평가
다. 벡터 및 transgene의 체내 동태
평가
라. 면역반응의 평가
(2) 생물학적 활성 평가
(3) 유효성 평가
(4) 결과 요약
2)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규정
(1) 유전자치료제 임상 시험현황
(2)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검토사항
(3) 각국의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에 관한 규정 및 절차
가. 미국
⒜ NIH - 재조합 유전자 자문위원회(RAC)
⒝ FDA - 생물학적제제 평가연구센터(CBER)
나. 유럽연합 (EU)
⒜ 윤리위원회의 승인
⒝ 환경영향평가
⒞ 임상시험 승인
다. 일본
라. 국내 현황
⒜ 임상시험계획서
⒝ 시설기준령 및 시설기준령 시행규칙에
적합한 시설을 입증하는 자료
⒞ 자가기준 및 시험방법
⒟ 안전성·유효성 관련자료
⒠ 생물안전관리
제Ⅱ편 스마트의료/맞춤의료 산업
제 1장 스마트의료 국내외 산업동향 의료정보기술 및 표준화
분석
1. 국내외 스마트의료 동향분석
1) 스마트의료 개요 및 미래 솔루션
(1) 개요
가. 배경 및 목적
나. 정의 및 범위
(2) 스마트 병원을 가능케 하는 솔루션
가. 의료 소비주의 (HEALTHCARE
CONSUMERISM)의 탄생
나. 의료 기관들이 직면한 과제
다. 스마트 병원을 가능케 하는 솔루션
⒜ 건강 정보
시스템 (HIS)
⒝ 현장 진단 (POC, Point of Care)
⒞ 환자 참여 및 엔터테인먼트
⒟ 원격 진료
(Telemedicine)
⒠ 완전한 서비스 통합
라. 스마트 병원 성장 요인
마. 스마트 병원 장애 요인
2) 국내외 스마트의료 동향 분석
(1) 정책동향
(2) 시장동향
(3) 기술동향
(4) 특허동향
가. 분석 범위
나. 연도별 특허동향
다. 특허 활동도 분석
라. IP 부상도 분석
⒜ 추세선을 통한
출원증가율 분석
⒝ 최근구간 점유율 분석
⒞ 특허 시장 확보력 분석
⒟ IP 부상도 분석 결과
(5) 표준동향
3) 국내외 ICT 융합 의료산업 전략
(1) 주요국의 ICT 융합 의료산업 추진전략
가. 추진 배경과 목적
나.
추진전략과 주요 수단
(2) 국내 ICT 융합 의료산업 추진전략
4) 국내 주요기업의 HT융합 신사업 진출현황 분석
(1) HT융합 신사업 진출현황
(2) 기업별 신사업 진출 현황
가. 삼성
나. LG
다. SK
라. KT
마. POSCO
(3) 시사점
2. 스마트의료/병원 정보 분야별 표준화 분석 및 로드맵 구축
1) 스마트의료정보 주요기술 및 표준화 분석
(1) 주요기술
(2) 국내외 기술갭 분석
(3) 표준화 현황 및
기술표준
가. 표준화 현황
나. 의료정보보호 기술 표준
다. 인증 현황
(4) 주요기술 표준화 분석
가.
유즈케이스 분석
⒜ 개요
⒝ 모바일 헬스 – 만성질환관리
⒞ 모바일 헬스 – 모바일 건강관리
⒟
평생개인전자건강기록 – PHR 기반 건강관리, 진료 및 조제
⒠ 원격의료 - 원격진료
⒡ 원격의료 – 원격 건강 증진
나. 표준화 항목 도출
2) 로드맵 구축 및 주요전략
(1) 표준화 로드맵 구축
가. 모바일헬스 기술개발
나. 평생개인전자건강기록 기술개발
다. 원격의료 기술개발
라. 유헬스 기반 기술 개발
마. 제품 및 서비스 상용화
개발
바. 표준화
(2) 주요 전략
가. 표준화 전략
나. R&D 전략
다. R&D-표준화
전략
3) 스마트의료 보안포럼 운영
(1) 2016년도 주요 수행계획
가. 2016년도 스마트의료보안포럼 연구목표
나. 수행 과제 내용
다. 수행 과제 방법
(2) 기대효과
가. 유스케이스 및 산업체 활용 계획
나.
정책활용 및 파급 효과
제 2장 의료서비스 최근 산업동향/혁신사례 및 정책동향
1. 국내외 의료서비스 최근 산업 혁신사례 및
정책동향
1) 글로벌 의료서비스 경쟁 현황
(1) 글로벌 헬스케어(Global Healthcare) 산업의 성장
(2)
해외 의료기관의 서비스 혁신사례
(3) 의료서비스 혁신 전략과 사례
가. 의료 제공자의 변화
나. 의료 소비자의 변화
다. 의료분야 스마트폰 활용 증가
라. 인터넷 포털 사이트 의료정보 서비스 강화
마. 의료 혁신을 실현할 시스템 필요
바. 환자 중심의 의료혁신을 위한 헬스케어 플랫폼
(4) 시사점
2) 2015년 의료 서비스와 모델 현황
(1)
변화 필요성의 배경 : 문제점과 제약
가. 가치의 재정의- “환자치료”에서 예방치료 중심으로 전환
나.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치료 받는 사람”에서 개인 건강 관리자로
다. 건장 증진과 의료 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방법
라. 의료자원의 문제
(2)
환경 변화의 7가지 시사점
(3) 새로운 모델, 새로운 역량 -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권장사항
가. 서비스 제공 모델
나. 다섯 가지의 전략적 역량
3) 스마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도입 방안
(1) 연구 배경
(2) 스마트 시대의
스마트 헬스케어
(3) 스마트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방안
(4) 법·제도적 쟁점 및 개선 방향
(5) 정책방향 및
시사점
2. 의료서비스산업 동향분석 및 HT융합 신사업 진출현황
1) 의료서비스 자원 및 이용 현황
(1) 의료서비스
자원 현황
가. 요양기관 및 장기요양기관 현황
나. 병상
다. 인력
라. 의료장비 현황
(2) 의료서비스
이용현황
가. 건강보험 일반현황
나. 건강보험 보험급여 현황
다. 장기요양보험 일반 현황
라. 장기요양 급여 현황
2) 국민의료비 및 의료서비스산업 규모
(1) 국민의료비 및 의료서비스산업의 구성
가. 국민의료비의 정의
나.
국민의료비의 구성
다. 의료서비스산업의 범위
(2) 국민의료비 규모와 추이
가. 국민의료비 규모
나. 기능별 분류에
의한 추이
다. 재원별 분류에 의한 추이
(3) 의료서비스산업 규모와 추이
(4) 주요국의 국민의료비 및 의료서비스산업
규모
가. 국민의료비 비중
⒜ 국민의료비의 기능별 분류
⒝ 국민의료비의 재원별 분류
나. 의료서비스산업 비중
3) 의료서비스산업 규모 예측 및 전망
(1) 의료서비스산업의 규모 예측
가. 분석절차 및 자료
나. 추정결과
(2) 미래 헬스케어 전망
가. 의료비 지출규모 증대
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부담 확대
다.
m-Health 및 웨어러블 기기의 활용범위 확대
⒜ 모바일헬스 이용의 증가
⒝ 웨어러블 활용기기의 활용 범위 확대
라.
의료정보의 보안문제 대두
마. 홈헬스(Home Health)시장의 성장
바. 빅데이터의 활용 증가
사. 의료
소비자주의(Consumerism) 확대
아. 환자의 국가간 이동 증가와 의료기관․의료시스템의 해외진출 확대
제 3장 맞춤의료
국내외 주요동향 및 모바일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 맞춤의료 비즈니스모델 및 제도적 이슈
1) 맞춤의료 개요
(1)
맞춤의료(Personalized Medicine)의 개념
(2) 맞춤의료의 배경 및 필요성
2) 맞춤의료 현황과 발전과제
(1) 맞춤의료 기술 현황과 시사점
가. 맞춤의료 기술 체계
나. 생명정보기술 분야
다. 바이오 및 의료기술 분야
(2) 맞춤 의료 조직 및 비즈니스모델 현황과 시사점
가. 공통기반 분야
나. 의료 분야
다. 웰니스 분야
(3) 맞춤 의료 제도적 이슈와 시사점
가. 정보 관련 이슈와 시사점
나. 허가 관련 이슈와 시사점
다. 특허 관련
이슈와 시사점
라. 맞춤 의료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2. 국내외 맞춤의료/원격의료 관련 주요동향
1) 맞춤의료 산업동향
(1) 맞춤의료 시장 규모 및 전망
(2) 주요 맞춤의료 제품 현황
(3) 주요 업체의 대응 동향
(4) 국내
맞춤의료 산업 현황
2) 맞춤의료 기술동향
(1) 맞춤의약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맞춤의약 기술 동향
3)
맞춤의료 정책동향
(1) 미국 맞춤의료 정책 동향
(2) 유럽 맞춤의료 정책 동향
(3) 국내 맞춤의료 정책 동향
(4) SWOT 분석
4) 유럽 주요국의 원격의료 사업 모델과 시사점
(1) 유럽 주요국의 원격의료 제공범위 관련 법령
및 가이드라인
가. 프랑스
나. 독일
다. 영국
(2) 유럽 주요국의 원격의료사업 사례
가. 국가와 지방조직
등에 의해 추진되는 원격의료 프로그램
나. 병원조직에 기반을 두고 원격의료 사업을 하는 모델
다. 민간의 원격의료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사업을 하는 모델
3. 스마트병원을 위한 모바일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1) m-Health, 의료와 모바일의 융합모델
부상
(1) mHealth 개념 및 시장 현황
(2) 미국의 주요 mHealth 창업기업 현황
(3) Vodafone의
mHealth 사례
(4) 국내 mHealth 적용 사례
(5) 시사점 및 전망
2) 스마트 병원의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구축사례
(1) 관련연구
가. 모바일 환경을 위한 인터페이스
나. 앱 개발방식
다. Public Push 서비스
라. 병원정보시스템 운영 업무 비중
(2) 스마트병원에서의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가. 시스템 배치 구조
나.
Service 서버의 구성
다. 인터페이스 방식
라. 하이브리드 기반의 앱 제공
마. 병원정보시스템과의 연동
바.
통계정보
(3) 결론 및 향후 과제
제 4장 빅데이터 활용 보건산업 연구 혁신사례 및 정책동향
1.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산업 전망 및 정책방향
1) 빅데이터 개요
(1) 빅데이터의 정의 및 특성
(2) 빅데이터의 주목 배경
(3)
빅데이터 기술
2) 국내외 보건산업 빅데이터 활용 사례
(1) 해외 사례
(2) 국내 사례
3) 국내 보건산업
빅데이터 정책동향
(1) 국내 보건산업 관련 빅데이터 정책동향
(2) 보건산업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
4) 국내외
보건복지 빅데이터 동향 및 활용 방안
(1) 국내 보건복지 빅데이터 활용 사례 및 수요
(2) 국내 빅데이터 분석 사례
(3) 빅데이터 분석 방법
(4) 국내외 공공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서비스 사례
가. 국내 보건복지분야 공공데이터 활용
동향
나. 국내외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활용사례
⒜ 보건의료분야 활용사례
⒝ 사회 복지 및 안전 분야 활용사례
⒞
식품·의약품분야 활용사례
(5) 결론
5)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플랫폼 현황
(1) 의료데이터의 폭발적 증가(빅데이터)
(2) 빅데이터와 IT-Health 활용 동향
(3) 빅데이터 활용 기대 효과 및 제한점
(4) 건강경제의 열쇠 -
빅데이터 & IT-Health
(5) 건강경제 실현전략 -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플랫폼
6)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1) 개요
(2) 의료 데이터 기술 표준 동향
가. CCR (Continuity of Care
Record)
나. CDA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다. CCD (Continuity of
Care Document)
(3) 의료 데이터의 다양성
가. 정형화 정도에 따른 분류
나. 저장 방식에 따른 분류
다. 특성에 따른 분류
2.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현황
1)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공유 및 활용 기술
(1) 공개·개방된 빅데이터의 수집·관리 기술
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 활용한 보건복지 빅데이터 수집 및 제공 기술
⒜ SOA 개념
⒝ 관련 핵심 기술
⒞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Service Provider and Consumer)
⒟ SOA의 서비스 분류체계(Service Taxonomy)
⒠
SOA 참조 프레임워크(SOA Reference Framework)
⒡ SOA 참조모델(SOA Reference Model)
⒢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SOA 방법론 선정
나. 빅데이터 수집, 관리, 분석 등을 위한 방법과 상용 솔루션
⒜ 빅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한 기반기술
⒝ 빅데이터 분석 및 관리운영을 위한 인프라 기술/솔루션
⒞ 빅데이터의 분석 및 분석정보 제공을 위한
기술/솔루션
(2) 분석된 맞춤형 보건복지정보의 배포·활용 기술
가.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동향
⒜ 정부
⒝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대학병원
나. 맞춤형 정보 생산, 배포 및 활용 사례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개방정부 협력사업
⒝ 미국의 연방정부 주도
⒞ 민간기업의 주도
⒞ 맞춤형 정보 서비스 제공의
국내 사례
다.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빅데이터서비스 제공 방안
⒜ 넥스트커머스 시대의 정보 활용 기술
⒝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3)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분석 모델 사례
가. 보건복지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 보건복지 공공 빅데이터 분석의 목적 정의
⒝ 보건복지 공공 빅데이터의 이해
⒞ 모델링 및 분석방법 선택
나.
보건복지 공공 빅데이터 분석 사례
⒜ 만성질환 예측
⒝ 의료서비스 사각지대 파악
⒞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 추천모델
⒟ 지역별 노인복지자원 수요예측 모델
2) 보건복지분야 맞춤형 빅데이터 서비스 실행방안
(1)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서비스 추진방안
가. 미션 및 비전
나. 추진전략
다. 보건복지 빅데이터 추진전략의 우선순위
(2) 보건복지분야
공개개방 공공데이터의 기대효과
가. 보건복지분야의 사회안전망 강화 효과
나. 보건복지 개방공개 공공데이터의 경제적 효과
⒜
보건복지 공공데이터의 전면적인 공개개방(100%) 시 경제적 효과 추계
⒝ 2014년 및 2017년 보건복지 공공데이터의 경제적 효과
추계
(3)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관리·운영센터 구축 방안
가. 보건복지 빅데이터 관리운영센터의 필요성
⒜ 보건복지
빅데이터 환경에 의한 필요성
⒝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특성에 의한 필요성
나. 빅데이터센터 동향과 사례
다. 보건복지
빅데이터 관리·운영센터 구축방향
라. 보건복지 빅데이터 관리·운영센터 구축 방안
⒜ 보건복지 빅데이터 관리운영센터의 조직 및
운영 방안
⒝ 정보 및 서비스 제공방안
⒞ 기술 및 인프라체계 구축 방안
⒟ 거버넌스 체계 운영방안
(4)
공개·개방된 보건복지 빅데이터 활성화 법·제도 개선방안
가. 보건복지 빅데이터 관련 법·제도 개선 필요성
나. 보건복지 공개·개방
빅데이터 관련 법제도 문제
⒜ 정보의 공개
⒝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실정법 규정
⒞ 보건복지 공개 및 개방 빅데이터 관련
법제도적인 문제
다. 보건복지 빅데이터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문제
⒜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공개·개방시 개인정보보호 방안
⒝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의 개요
⒞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서의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 빅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정책제언
라.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및 기술 모델별 법․제도적 검토사항
⒜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서비스 실행방안별
법적문제 검토
⒝ 보건복지분야 빅데이터 기술모델 개발
마. 보건복지 빅데이터 공개개방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책
⒜
개인의료정보보호방안 마련
⒝ 보건복지 빅데이터 기술과 개인정보보호법의 상충현상 조화
⒞ 보건복지 빅데이터의 활용 옹호논리의 적극적
개발
바. 보건복지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 가이드라인 및 지침 마련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