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 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공유
정가
420,000
판매가
378,000
구매제한
최소 1개
구매혜택
할인 : 적립 마일리지 :
배송비
무료
택배
방문 수령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에이스테크노타워10차) 1206
상품코드
1000130566
제조사
지식산업정보원
규격
624쪽 (A4, 서적, PDF)
ISBN
9791158622589
제조일
2024-06-07
구성

상품상세정보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보고서 소개 ]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화 관련 질병의 발생률이 높아지면서, 이들에 대한 치료와 요양 서비스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은 향상되었지만, 이에 따라 의료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2025년부터 첨단바이오 분야 R&D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첨단바이오’를 반도체에 이은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만들고, 2035년까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 200조원 시대를 열 계획이다. 바이오산업 규모는 2021년 기준 약 44조 3000억원이다.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가 가능한 혁신적 의약품을 개발해 난치병을 치료하고,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 진단 및 치료기술을 개발해 곧 마주할 초고령화 사회도 대비할 예정이다. 


인구 고령화, 팬데믹 유행, 만성질환자 증가 등의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마이크로니들’이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로서 국내외 제약·바이오업계의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은 경피전달 시스템의 한 종류로 모기 침만큼 가는 바늘을 피부에 침투시켜 약물을 효율적으로 도달하게 하는 방법이다. 기존 주사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단점으로 꼽는 통증이나 외상은 물론 감염, 두려움, 거부감 등을 해소해 ‘무통증 주사’라고도 불린다. 특히, 마이크로니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흡수 증대와 피부 장벽 투과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마이크로니들과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마이크로니들 기술은 추후 다양한 의약품의 제형 변형을 통해 전략적 도구로도 사용이 가능해 현재 많은 기업들이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극(克)노화를 극복하기 위한 노인성 질환 치료제 및 마이크로니들 분야의 기술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총 3편으로 구성되었으며, Ⅰ편은 고령 친화 산업 현황과 항노화/역노화/노인성 질병 치료제 분야를 수록하였고, Ⅱ편에서는 마이크니들/엑소좀 약물전달체 R&D 분야를, Ⅲ편에서는 차세대 신약 및 백신 개발 임상 현황과 연구개발 분야를 다루었다.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 목차 ]


제Ⅰ편 고령친화산업과 항노화/역노화 R&D

제1장 세계 고령화사회 실태와 고령친화 기술·산업 개발동향

1. 고령친화산업의 실태와 각국의 정책방향

1) 고령화시대의 도래

(1) 국내외 고령화 현황 및 전망

(2) 고령친화 기술의 필요성

2) 고령친화산업의 실태와 향후 대응 과제

(1)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검토 필요성

(2) 고령친화산업의 분류와 문제점

(3) 고령친화산업 운영체계의 취약성

(4) 향후 개선과제

3) 각국의 고령화 관련 에이지 테크 정책

(1) 국내 정책동향

(2) 해외 정책동향

가. 에이지 테크의 시대

나. 미국

A) 장수 및 수명 결정 요인을 식별하기 위한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반 전략

B) 인공지능(AI)/머신러닝(ML)을 활용한 중소기업 지원

다. 영국

A) 영국의 에이지 테크 규정

B) 영국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법적 문제

C)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의 기금 지원

D)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와 에이지 테크 벤처기업인 Zinc社의 ‘건강한 노화 촉진 상’

라. 일본

A) 돌봄 로봇 개발·보급 촉진 사업

B) 돌봄 관계자를 위한 돌봄 로봇의 도입·활용 지원 정책

C) 돌봄 개발기업을 위한 돌봄 로봇의 개발·실용화 지원 정책

마. 중국

A) 중국의 ‘스마트 건강·양로(노인 돌봄) 산업 발전 실행 계획(2021-2025년)

B)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 고령자 사업의 발전과 양로 서비스 체계에 관한 계획

C) 스마트 건강·양로 제품 및 서비스 보급 목록 신고 업무에 관한 통지

바. EU

사. 호주

4) 각국 고령친화산업 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고령친화산업의 트렌드

(3) 주요국 해외 고령친화 산업 현황

가. 유럽의 실버 이코노미

A) 실버 이코노미(Silver Economy)의 등장

B) 시니어 시장을 넘어 인구 고령화의 개념

C) 산업 섹터별 변화

나. 싱가포르의 고령친화 산업

A) 헬스케어 스타트업

B) 아시아 시장과 고령화 사업

C)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지원

D) 유망 고령산업 분야

다. 국내 고령친화산업 新산업화

2. 고령화 기술·제품 개발동향

1) 신체활동/이동 보조 분야

(1) 고령친화·재활 시스템

가. 정의 및 필요성

A) 정의

B) 기술개발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A) 가치사슬 

B) 용도별 분류

(2) 고령친화·재활 시스템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개황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A) 세계 시장

B) 국내 시장

(3) 고령친화·재활 시스템 주요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기업

나. 국내 기업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A) 국립재활원(NRC) 재활연구소

B)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

C) 재활공학연구소

(4) 고령친화·재활 시스템 특허 동향 분석

가.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나. 특허영향력 분석

A) 기술영향력

B) 시장지배력

다. 주요 출원인 분석

2) 주거/안전 분야

(1) 응급 안전·안심 서비스

(2) 낙상 감지

3) 헬스케어 분야

4) 정서/인지 케어 분야

5) 사회활동 분야

6) 돌봄 분야

(1) 관련 기술 개발

(2)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특허분석

가.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나. 특허 영향력 분석

A) 기술영향력

B) 시장지배력

다. 주요 출원인 분석

3. 메디푸드 및 고령친화식품 분야 주요동향

1) 정의 및 배경

2) 국내외 산업현황과 시장예측

(1) 우리나라 산업현황

가. 특수용도식품 산업현황

나. 식단형식품 품목신고 현황

A) 당뇨식단형 식품

B) 신장식단형 식품

다. 국내질환식 관련 식사서비스 제품 현황

A) 당뇨관련 서비스

B) 신장관련 서비스(저염, 저무기질, 저단백)

C) 암관련 서비스    

D) 기타 질환관련 서비스

라.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 현황

마. 국내고령자식 HMR/식단/반찬배달 서비스 제공 현황

(2) 글로벌 시장의 시장현황과 2017-2030 예측

가. 글로벌 Medical Foods(FSMP) 산업체 현황

A) Abbott

B) Nestle

C) Nutricia

나. 글로벌 질환별 식단형 제품 현황

A) 캐나다

B) 미국

C) 독일

D) 일본

3) 맞춤형 케어 푸드 관련 특허동향

(1) 연도별·국가별 출원동향

(2) 특허영향력 분석

가. 기술영향력

나. 시장지배력

(3) 주요 출원인 동향


제2장 항노화/역노화 R&D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현황

1. 항노화 치료제 개발과 산업동향

1) 항노화 치료제

(1) 정의 및 범위

(2) 기술의 목표 및 수준

2) 항노화 치료제 기술동향

(1) 기전 규명

(2) 진단

(3) 치료

가. 세놀리틱(Senolytic)

나. 세포 리프로그래밍

다. 시스템 측면에서의 노화 치료

A) 장수를 유도하는 기존 약물

B) 식이제한

C) 파라바이오시스

3) 항노화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전체 시장

(2) 분야별 글로벌 시장

(3) 지역별 시장

(4) 주요 기업 개발현황

4) 항노화 치료제 정책동향

(1) 주요국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라. 중국

마. 사우디아라비아

(2) 국내 정책동향

2. 세포 역노화 최신 연구동향

1)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1) 개요

(2) 해외 연구 동향

가. 후성유전정보와 노화

나.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다.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라. 저분자 물질을 이용한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3) 국내 연구 동향

(4) 세포 역노화의 산업적 응용

(5) 세포 역노화 연구의 전망

2) 노화의 분자적 매커니즘과 장수 관련 주요 신호전달 경로

(1) 인슐린/IGF-1 신호전달 경로 저해는 수명 증가

(2) 라파마이신 표적(Target of rapamycin; TOR) 신호전달 경로 저해는 수명 증가

(3)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신호전달 경로 활성화는 수명 증가

3) 지방세포의 노화 촉진 새 기전 규명

3. 퇴행성 뇌질환/치매 현황과 치료제 개발동향

1) 치매(Dementia)

(1) 치매 정의 및 분류

(2) 치매단계 평가

2) 치매 치료제 연구동향과 임상

(1) 치매 예측 기술

(2)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시험

(3) 신경세포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뉴런 표지 기술 ‘NeuM’ 개발

3) 알츠하이머 치료제 산업동향

(1) 알츠하이머 치료제

가. 초고령화와 치매 발병현황

나. 발병 원인과 증상

다. 알츠하이머 진단과 치료

(2) 정책 및 규제현황

가. 해외

나. 국내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경쟁 현황

4. 미세먼지에 의한 노화 관련 질병 연구동향

1) 연구 배경

2) 미세먼지와 노화

(1) 면역체계 약화

(2) 지방축적

(3) 지방간

(4) 근위축

(5) 골다공증

(6) 신장 노화

3)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노화과정의 중요 인자

(1) 인플라마좀(inflammasome)

(2) ROS

(3) Nuclear factor-κB(NF-κB)

(4) 자가포식-리소좀

4) 결론


제3장 노화에 따른 질병과 치료제 개발동향 및 안티에이징

1. 노인 환자의 특성에 따른 약물사용

1) 서론

2) 노화에 따른 약동학적 변화

(1) 흡수

(2) 분포

(3) 대사

(4) 배설

3) 노화에 따른 약력학적 변화

4) 약물로 인한 부작용 발생

5) 약물-약물 상호작용

6) 운동과 약물의 관계

7) 노인 환자의 약물 투여 시 검토사항

(1) 약물 처방 검토

(2) 복약 순응도 저하

(3) 과량 복용

(4) 의료기관 전환(transition care)    

(5) 적절한 모니터링

8) 주의가 필요한 약물

(1) 경구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2) 항응고 약물

(3) 항우울제

(4) 고혈당 치료제

(5) 고혈압 치료제

(6) 파킨슨 치료제

(7) 항정신병 약

(8) 항불안제와 수면제

(9) Digoxin

(10) 이뇨제

(11)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2. 근감소증(Sarcopenia) 치료제 개발 동향

1) 근감소증

2) 해외 기업 근감소증 치료제 개발 동향

(1) Novartis

(2) MSD

(3) Regeneron/Sanofi

3) 국내 기업 근감소증 치료제 개발 동향

4) 결론

3.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개발과 산업동향

1)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2) 시장 현황

3) 기업동향 및 전망

4. 항고혈압제 개발과 산업동향

1) 고혈압 유병률

2) 글로벌 항고혈압제 시장

3) 항고혈압제 개발동향

5. 피부 노화와 안티에이징 기술개발과 관련 산업분석

1) 에스테틱을 통한 안티에이징

(1) 안티에이징 화장품

가. 글로벌 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

나. 제약사, 미용시술 기업의 활발한 시장 참여

(2) 피부관리 의료기기

가. 동안 피부

나. 에너지 기반 미용기기

(3) 스킨부스터

(4) 보툴리눔 톡신 & 필러

(5) 정맥주사로 맞는 NAD+

2) 안티에이징 시장의 규제 및 윤리 문제

(1) ‘노화는 질병이다’

(2) 노화 지표가 불분명

3) 안티에이징 연구 및 투자 현황


제Ⅱ편 마이크로니들과 약물전달체 R&D

제1장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최신 연구동향과 개발현황

1. 마이크로니들 최근 동향분석

1)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이해

(1) 마이크로니들 개념

가. 마이크로니들 정의

나. 마이크로니들의 분류

(2) 마이크로니들 R&D의 필요성

2) 마이크로니들 산업 동향

(1) 글로벌

(2) 국내

3) 마이크로니들 정책 동향

(1) 국외

가. 미국

나. 유럽

(2) 국내

4) 마이크로니들 기업 동향과 개발현황

(1) 국외

(2) 국내

2. 마이크로니들 관련 연구개발 동향분석

1) 마이크로니들 관련 이슈

2) 백신 전달체계 마이크로니들 기술 연구동향

(1) 백신 기반기술 - 백신 전달체계

가. 점막 백신(Mucosal Vaccine)

나. 마이크로니들(Micro needle)

다. 제트주사

라. 리포좀 전달체

(2) 결핵 백신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실용화 기술 개발

가. 결핵 백신의 접종 방법

나. 새로운 경피 약물 전달 기술, 마이크로니들

다. 기존 백신 전달에 이용된 마이크로니들 기술

라. 연구개발의 목표 및 적용분야

마. 결핵예방백신(BCG) 수급 안정화를 위한 국산화 추진

바. 마이크로니들 개발 현황

A) 결핵 백신 전달용 마이크로니들 연구 현황

B) 마이크로니들 관련 제조 기업체 현황

C) 사출공정을 이용한 코팅용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작

(3) 마이크로니들 기반 사람노로바이러스 DNA 백신 개발

가. 노로바이러스 백신 개발의 난점

나. 노로바이러스 DNA 백신 개발의 장·단점

다. 마이크로니들기반 전기천공법을 이용한 DNA 백신 세포내 전달 시스템

라. 전기천공 마이크로니들 제작

3) 치료/의료용 마이크로니들 개발 및 연구동향

(1) 감시림프절 표적화 나노미셀 방출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면역-화학적 암 치료법 개발

가. 암의 림프절 전이와 흑색종의 항암 치료

나. 면역항암치료

다. 마이크로니들 기술

라.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A) 1차년도

B) 2차년도

C) 3차년도

(2) 2형 당뇨 약물의 전달 효능을 개선한 ‘에그 마이크로니들’ 개발

(3) 골다공증 치료제 마이크로니들 개발

(4) 비만·탈모 마이크로니들 치료제 개발

가. 대원제약, ‘붙이는 비만치료제’

나. 신신제약, 녹는 마이크로니들 적용 ‘비만·탈모 치료제' 개발

다. 주빅-동아ST, 당뇨·비만 마이크로니들 제형 공동연구개발

라. 라파스, 의약품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품 개발

(5) 탈모증 치료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기반 모낭 줄기세포 전달 시스템 개발    304

가. 연구 개발 과제

나. 수행 내용

4) 피부 미용/화장품 마이크로니들 기술 연구동향

(1) 초음파 결합 마이크로니들 시스템을 통한 진정 및 재생 활성성분 경피전달

가. 연구 재료 및 방법

A) DMCS의 제작

B) KS-DMCS의 제작

C) 산소 운반체 함유 Serum 분석

D) 투명 피부 모델에서의 확산 관찰 및 분석

E) KS 용액 점착 니들 안정성 평가

F) KS 용액의 모델 시약 제조와 수직.수평 확산 측정

G) 형광염색 된 Serum의 외부 주입 수직. 수평 확산 측정

H) 형광염색 된 KS 용액과 외부 주입 Serum의 수직·수평 확산 측정

I) 초음파 결합 외부 세럼 주입기

J) 통계 처리

나. 연구결과

A) KS 용액 점착 니들 안정성 평가

B) KS 용액의 수직. 수평 확산성

C) 외부 액상 세럼의 수직 확산성

D) KS 용액 및 외부 액상 세럼 혼합 용액의 수직 확산성

다. 결론 및 고찰

(2) 3D 프린터를 활용한 마이크로니들 모양과 배치에 따른 피부 투과분석 연구

가. 연구 방법

A)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몰드 제작

B) 3D 마이크로니들 몰드 이용한 돼지 피부 투과 테스트

나. 연구 결과

A) 실체현미경 통한 피부 투과 육안확인

B) 실체 현미경 통한 피부 투과 깊이 측정 확인

다. 결론

5) 마이크로니들 제작 및 개발관련 연구동향

(1) 다공성 폴리머 마이크로 니들 제작 및 활용

가. 연구 배경

나. 다공성 구조물 제작 방법 확립

A) 다공성 마이크로 니들 제작

B) 마이크로 니들 특성 개선

C) 마이크로 니들의 피부 관통 실험

D)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sensor test

다.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라.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2) 미세가공 기술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개발 및 패럴린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가. 연구 배경

나. 시편 설계 및 제작

다. 패럴린 코팅

라.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설계 및 제작

A)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설계

B)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제작공정

C) 마이크로니들 광학현미경 분석

D)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패럴린 박막 증착

마. 연구 결과

A) 성능시험 결과

B) 패럴린 코팅된 마이크로니들 이미지 분석

바. 고찰 및 결론

(3) RF 마이크로 니들링 장비 시장동향

가. 제품 개요

나. 글로벌 시장 전망

다. 지역별 시장 규모

라. 경쟁구도 및 키 플레이어

마. 국내 기업 동향

6) 마이크로니들 특허 동향

(1) 분석개요

(2) 국내외 특허출원 동향

가. 글로벌 동향

나. 국내 동향

(3) 기술별 특허출원 동향

가.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동향

나. 구조체 형태 관련 기술

다. 구조체 안정성 관련 기술

라. 응용 분야 기술

7) 마이크로니들 투자/연구 동향

(1) 분석 개요

(2) 분석 내용


제2장 치료·진단분야 엑소좀 활용과 나노메디신 연구개발 동향

1. 엑소좀(Exosome) 최근 동향분석

1) 엑소좀에 대한 이해

(1) 엑소좀 개념

가. 엑소좀 정의

나. 활용분야

(2) 엑소좀 R&D의 필요성

2) 엑소좀 산업 동향

(1) 글로벌

(2) 국내

3) 엑소좀 정책 동향

(1) 국외

(2) 국내

4) 엑소좀 연구/투자 동향

(1) 분석 개요

(2) 분석 내용

(3) 국내 엑소좀 관련 지원과제 현황

2. 엑소좀 주요 기술 동향과 특허 분석

1) 엑소좀 주요 기술 분야 및 플레이어 분석

(1) 엑소좀 분리 기술

가. 차등 원심분리(Differential centrifugation, DC)

나. 밀도 구배 원심분리(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DGC)

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라. 초여과 분리(Ultrafiltration, UF)

마. 면역포획 분리(Immunocapture, IC)

바. 침전 분리(Precipitation)

(2) 엑소좀 분석 기술

가. 엑소좀 물리적 특성 분석 기술

나. 엑소좀 유전 물질 검출 기술

다. 단백질 검출 기술

(3) 엑소좀 기반 약물 전달 기술

가. 모세포 형질주입 방법

나. 공동 배양 방법

다. 초음파처리 방법

라. 전기천공법

2) 각 분야에 대한 주요 기술 개발 방향 분석

(1) 엑소좀 분리 및 분석 기술 개발 방향

(2) 엑소좀을 활용한 진단 기술 개발 방향

(3) 엑소좀을 활용한 치료 기술 개발 방향

3) 엑소좀 특허 동향

(1) 분석개요

가. 분석대상 및 특허검색 DB

나. 분석대상 건수

(2) 국내외 특허동향

가. 국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기술분류별 특허동향

가.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동향

나. 질병 진단 및 분석기술

다. 치료제 관련 기술

라. 화장품 관련 기술

마. 주요 특허리스트

3. 질환 진단과 치료제의 엑소좀 활용가능성 연구동향

1) 차세대 치료제 엑소좀의 연구개발 동향

(1) 글로벌 엑소좀 시장 및 치료제 개발 동향

(2) 국내 기업 엑소좀 치료제 개발 동향

(3) 기존 기술 대비 엑소좀의 차별점 : 세포 치료제 및 약물전달시스템(DDS) 중심

2)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엑소좀의 활용연구

(1) 중추신경계로의 약물 전달의 어려움

(2) 엑소좀을 이용한 중추신경계로의 약물 전달

(3) 엑소좀의 혈뇌장벽 투과 메커니즘

(4) 질병 진단을 위한 엑소좀의 활용 가능성

(5) 중추신경계 질병 바이오마커로서의 엑소좀 연구

(6) 주요 중추신경계 질병 치료에 엑소좀의 활용

(7) 기타 중추신경계 질병 치료에 엑소좀의 활용

(8) 결론

3) 항암치료 병용요법에서의 엑소좀 기반 약물전달시스템의 적용 연구

(1) 연구 배경

(2) Exosome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가. 췌장암

나. 유방암

다. 난소암/난관암(Ovarian Cancer/Fallopian Tube Cancer)

라.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마. Kaposi’s sarcoma

(3) 종양 치료에 있어서 exosome의 확장 가능성

(4) Exosome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의 한계점

(5) 결론

4) COVID-19 치료 및 진단을 위한 Exosome의 임상적 적용 연구

(1) 엑소좀의 분리방법

(2) 진단적 도구로서의 엑소좀

(3) 치료제로서의 엑소좀 기능

(4) 코로나-19에서의 엑소좀

(5) 결론

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의 피부 장벽 개선에 관한 연구

(1) 연구 배경

(2) 재료 및 실험

가.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LRDEs)의 분리

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LRDEs)의 분석

라. 세포 배양

마. 세포 생존율 평가

바. NO 생성량 억제 활성

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아. Hyaluronidase 억제 활성

(3) 실험결과

가.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결과

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래 엑소좀(LRDEs)의 특성 확인

다. 세포 생존율 확인

라. NO 생성량 억제 활성 확인

마.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확인

바. Hyaluronidase 억제 활성 확인

(4) 결론

4. 나노약물 전달체를 이용한 스마트 나노메디신 주요동향

1) 스마트 나노메디신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스마트 나노메디신 기술동향

(1) 연구동향

(2) 개발동향

3) 스마트 나노메디신 산업동향

(1) 시장규모 및 범위

(2) 분야별 산업 전망

4) 스마트 나노메디신 정책동향

(1) 국내 정책동향

(2) 국외 정책동향

5) 시사점


제Ⅲ편 차세대 신약/백신 R&D와 임상현황 

제1장 중증질환 치료제 및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1. 중증질환별 치료제 개발동향과 산업현황

1) 비만치료제

(1) 기술 동향

가. 비만치료제의 주요 기전

나. 비만치료제의 기전별 개발 과정 및 특성

A) 식욕억제제

B) 지방흡수억제제

C) 장기간 투여 가능한 약물의 수요 미충족

D) 최근 개발 비만치료제의 대체

다.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현황

(2)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시장동향

나. 국내 시장동향

(3) 정책 동향

가. 주요국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2) RNA 치료제

(1) RNA 치료제 기술현황

(2) 시장 동향

가. 시장 규모 및 전망

A) 지역별 시장

B) 제품별 시장

C) 유형별 시장

D) 질환별 시장

E) 최종 사용자별 시장

나. 기업 경쟁 현황

A) 글로벌

B) 국내

3) 대장암 치료제    

(1) 대장암 치료제 기술현황

(2)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치료제 경쟁 현황

4) 당뇨 치료제

(1) 당뇨 치료제 기술현황

(2) 당뇨 치료제에 대한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기업 경쟁 현황

5) 위암 치료제

(1) 위암 치료제 기술현황

(2) 위암 치료제에 대한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기업 경쟁 현황

6) 췌장암 치료제

(1) 췌장암 치료제 기술현황

(2) 췌장암 치료제에 대한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기업 경쟁 현황

7) 폐암 치료제

(1) 폐암 치료제 기술현황

가. 폐암 진단 및 종류

나. 폐암 치료요업

(2) 폐암 치료제에 대한 정책 및 규제현황

(3) 시장동향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나. 기업 경쟁 현황 

2.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현황 시장전망

1)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개요

(1) 정의

가. 세포치료제

나. 유전자치료제

다.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2)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술의 특징

2) 시장환경 분석

(1)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생태계

(2) 세포·유전자치료제 관련 정책 현황

3) 시장 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현황 및 전망

(2) 모달리티별 시장현황 및 전망

가. 세포치료제

나. 유전자치료제

A) 글로벌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B) 벡터유형별 시장 규모

C) 적응증별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D) 대륙별 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E) 유전자치료제 시장 전망

다.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3) 적응증별 시장현황 및 전망

(4) 지역별 시장현황 및 전망

4) 세포·유전자치료제 국내외 허가 현황 및 기업동향

(1) 2023년 주요 국가 세포·유전자치료제 허가 현황

가. 미국    

A) 세포치료제

B) 유전자치료제

나. 유럽

다. 일본

라. 국내

(2) 세포·유전자치료제 주요 기업 동향

5) 유전자편집치료제 최신동향

(1) 체외 유전자편집치료제 동향

가. 중증 겸상적혈구병(SCD) 및 수혈의존성 베타 지중해 빈혈(TDT) 주요 동향

나. 유전자편집 CAR-T 치료제

다. 현재 진행 중인 체외 유전자편집치료제 임상 현황

(2) 체내 유전자편집치료제 동향

가. LNP 기반의 체내 유전자편집치료제

나. AAV 기반의 체내 유전자편집치료제

다. 현재 진행 중인 체내 유전자편집치료제 임상 현황

(3) 국내 유전자편집치료제 개발 동향

가. 국내 개발 중인 유전자편집 치료제

(4) 해결해야 할 문제점



제2장 차세대 백신/신약 개발 연구동향과 임상현황

1. 차세대 백신 연구개발 및 임상현황

1) 차세대 백신기술 동향

(1) 제조 방법에 따른 백신 분류

가. 약독화 생백신(Live attenuated vaccine)

나. 불활성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다. 톡소이드 백신(Toxoid vaccine)

라. mRNA 백신(Messenger RNA vaccine)    

마. 추출 백신(Subunit vaccine)

바. 바이러스 벡터 백신(Virus vector vaccine)

(2)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백신 기술

가. 이종 기초-추가 접종(Heterologous prime-boost)

나. 핵산 백신(Nucleic acid vaccine)

(3) 차세대 백신 기술 종류

가. 자가복제 RNA 백신(Self-amplifying RNA vaccine)

나. 백신 기능 증가 첨가물(Vaccine adjuvant)

다. 나노 입자 백신(Designed protein nanoparticle vaccine)

라. 디지털 백신

(4) 차세대 백신 기술의 나아갈 방향(Digital vaccine)

2) AI 기반 백신 개발 연구 현황

(1) 효과적인 에피토프 공략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항원 설계

(2) 백신 반응 예측 및 유도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면역 레퍼토리 분석

(3) 바이러스 진화와 감수성 집단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계통학 분석

3)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연구동향

(1) 개요

가. 인플루엔자 개념

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다. 상용 인플루엔자 백신

(2) 주요 연구개발 동향

가. 범용백신 연구현황(I): HA stem 표적 백신

A) Headless HA

B) 키메라(chimeric) HA

C) 모자이크 HA

D) 과당화(hyperglycosylated) HA

나. 범용백신 연구현황(Ⅱ): 단백질 나노입자 백신

A) 자가조립 단백질 나노입자

B) 다가(多價) 모자이크 나노입자 백신(Multivalent mosaic nanoparticle vaccine)

다. 범용백신 연구현황(Ⅲ): T 세포 표적 백신

A) T 세포 표적 백신

B) T 세포 표적 백신 연구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4) 개인 맞춤형 암백신 연구동향과 전망

(1) 암백신의 개념

(2) 개인 맞춤형 암백신

(3) 종양 특이적 네오 항원 탐지 기술

가. 유전체 기반 변이와 네오항원 탐지

나. 전사체/단백체기반 네오 항원 탐지

다. 네오항원 면역원성 예측

(4) 개인맞춤형 암백신 임상시험 현황

(5) 개인 맞춤형 암백신 설계/생산 플랫폼

가. RNA기반 암백신 설계 기술

A) 종양 특이 네오항원을 발현하는 mRNA 백신 구조체 최적 설계

B) 두 개 이상의 암백신을 발현하는 mRNA 구조체 설계

나. 단백질/펩타이드 기반 암백신 설계 기술

다. 개인맞춤형 최적 백신 설계·생산·품질평가 플랫폼 구축 기술

라. 개인 맞춤형 암 백신 라이브러리 구축 기술

마. In-situ 암백신 개념

2. 신약개발 R&D 현황 및 전망

1)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현황 및 전망

(1)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2) 기술혁신 및 R&D 시나리오

가. 분석 범위

나. 약물 발견의 기술혁신 및 R&D 시나리오

다. 치료제 분야 기술 혁신 및 R&D 시나리오

라. 약물 발견 촉진 및 치료 생산 규모 확장을 위한 합성생물학 도구

A) 약물 표적 식별 및 치료제 민감도를 높여주는 ‘바이오센서’

B) 유전자 회로를 이용한 치료제의 ‘무세포 바이오제조’

(3)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기업 동향

2) 인공지능 신약개발 가속화 현황 및 전망

(1) 인공지능 신약개발 가속화와 K-MELLODDY

가. AI 신약개발에 거는 기대

나. AI 신약개발 단계별 최신 동향

다. AI 신약개발을 위한 선결 과제

라. 신약개발 데이터 공유 활용을 위한 노력

마. K-MELLODDY

3) 인공지능 신약개발 주요동향

(1) AI 활용 신약 개발 정책 동향

가. 국외

A) 미국

B) 유럽

C) 일본

D) 중국

나. 국내

(2) AI 활용 신약 개발 산업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3) AI 활용 신약 개발 제품·서비스 동향

가. 국외

나. 국내

(4) AI 활용 신약 개발 특허 동향

가. 분석개요

나. 국내외 특허출원 동향

다. 기술별 특허출원 동향

A)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동향

B) 후보물질 발굴 관련 기술

C) 비임상 개발 관련 기술

D) 임상시험 관련 기술

3. 바이오신약(Biologics) 연구동향과 개발 전략

1) 표적 단백질 분해기술(TPD)을 활용한 신약 개발 

(1) 분자 접착제 기반의 신약 개발 동향

(2) 현재 임상 연구 중인 PROTAC

(3) 표적 단백질 분해 기반의 새로운 신약 개발 연구 동향

가. MADTACs(Macroautophagy Degradation Mediated Chimeras)

나. LYTAC(Lysosome-Targeting Chimaera)

다. AbTACs

(4) 향후 연구 방향

2) CAR-M 세포치료제의 연구 및 임상 동향

(1) CAR의 구조 및 CAR-T 치료의 문제점

가. CAR의 구조

나. CAR-T의 세대(1st~4th generation)와 임상 결과

(2) CAR-Macrophage 연구 동향

가. CAR-M의 고형암 적용 가능성

나. CAR-M 임상 현황

A) CT-0508

B) MT-101

C) 임상 결과 시사점

다. 연구동향

A) TAMs-표적 및 체내 프로그래밍

B) 대식세포에 최적화된 CAR 구조 디자인

C) “Don’t eat me signal”, SIRPα 억제

(3) 결론 및 시사점


도표/그림 목차

배송안내

- 배송지역: 전국
- 배송비: 무료입니다.(도서,산간,오지 일부지역 등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있습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3일입니다.(입금 확인 후) 설치 상품의 경우 다소 늦어질수 있습니다.[배송예정일은 주문시점(주문순서)에 따른 유동성이 발생하므로 평균 배송일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상품의 배송 가능일은 3일 입니다. 배송 가능일이란 본 상품을 주문 하신 고객님들께 상품 배송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단, 연휴 및 공휴일은 기간 계산시 제외하며 현금 주문일 경우 입금일 기준 입니다.)

 * PDF파일 주문 시 자료는 등록하신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 주문 시점으로 오전, 오후 1회 일괄 발송합니다.

 *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수기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수기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수기 결제 서비스' 요청

② ‘최소한의 신용카드정보’를 전달 받아 결제 진행

③ 결제완료 

 

 

ARS 결제 서비스
온라인 신용카드(법인, 연구비 카드 등) 결제가 안 되실 경우 고객센터(070-7169-5396)로 전화 주시면 'ARS 결제 서비스'를 안내 해드립니다.
ARS 결제 서비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ARS 결제 서비스' 요청

② 고객님 휴대폰으로 'ARS 결제' 문자 발송

③ ARS 전화 연결

④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MM/YY),  법인카드는 사업자번호 / 개인카드(법인기명카드)는 생년월일,  비밀번호(앞두자리) 입력

⑤ 결제완료

 


계산서

-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계산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거래명세서
- 거래명세서가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시 '전하실 말씀'란에 메모를 남겨주세요.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거래명세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견적서
- 견적서가 필요하신 분은 도서 목록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요청하신 견적서는 등록하신 메일로 발송됩니다. 

교환 및 반품안내

- 주문하신 도서가 품절 및 절판등의 사유로 발송할 수 없을시 에는 대금을 환불해 드립니다.
- 도서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한 교환을 요청하실 경우에는 재발송하여 드립니다. (택배비 무료)
* PDF파일 주문 건은 '디지털상품' 특성 상 전송 후 환불처리가 불가하오니 신중히 검토 후 주문 부탁 드립니다.

AS안내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보기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 항노화/역노화 관련 신약 개발 동향과 마이크로니들/엑소좀 기술 개발 분석
닫기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닫기

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찜 리스트 담기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