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가 없어도 법인 및 연구비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문의: shoppinghub@techforum.co.kr 전화: 070-7169-5396 www.shoppinghub.co.kr
[PDF 주문안내]
- 고객명(소속/기관명)으로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PDF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업무시간(10:00~17:00) 이후 주문 건 및 휴일(주말, 공휴일, 임시공휴일 포함) 주문 건은 정상 영업일에 발송됩니다.
[계산서 발행안내]
-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현금결제(계좌이체, 무통장입금)건에 한해서 발행됩니다.
[견적서 및 거래명세서 발행안내]
- 이메일(shoppinghub@techforum.co.kr) 또는 주문 시 '요구사항'란에 메모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및 에너지 부족이라는 문제는 단순한 어려움이 아니라, 인류 생존의 위협이라는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환경기구에서도 탄소배출 규제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 저감이라는 문제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참여하는 ‘신(新)기후체제’를 만들기 위해 지난 2015년 12월 파리협정에서는 195개국이 참여하여
온실가스감축을 위한 대응을 마련하였다. 특히, 건물부문의 경우 타 부문에 비해 감축 잠재력이 크며, 경제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어 정책적
우선순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부분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마련하여 정책 목표에
따라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1997년 도쿄 협약을 기점으로 최근 2015년 파리 협약까지 국제 온실가스 감축협약 이행을 위하여 2020년까지
BAU 대비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률 정책목표를 26.9%로 수립하고 추진해 왔다. 이러한 녹색건축물의 조성은 국토교통부 및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바탕으로 녹색건축의 저변 확대 및 인식 개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매년 녹색건축 인증 건축물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에너지 절감 및 환경보전과 고효율 에너지 설비, 자원 재활용 등 녹색건축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제로에너지 건축물 신기술
동향분석-그린리모델링/에너지/건자재/조명-」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의 기술 및 정책동향과 녹색건축인증제도, 그린리모델링
인증기준 및 지원정책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태양열시스템/지열시스템/태양광발전시스템/연료전지시스템/BEMS/건자재/에코조명의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Ⅰ편 녹색건축
제 1장 제로에너지빌딩 정책 및 사례
1. 제로에너지빌딩 개요
1) 제로에너지빌딩
개념 및 도입배경
(1) 정의 및 특성
가. 정의
나. 특성
(2) 도입배경
2) 제로에너지빌딩 평가기준
(1) 해외 평가기준
가. EU의 제로에너지빌딩 정의
나. 국가별 제로에너지빌딩 정의 및 평가범위
(2) 국내
평가기준
2. 건물 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및 예측
1) 건물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국가 에너지
소비량
(2)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
(3) 건물용도별・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현황
(4)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5) 온실가스 배출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
2) 건물 에너지 소비 현황 및 예측
(1) 신축건물 수요
(2)
그린리모델링 수요
(3) 건물의 에너지소비 현황
가.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소비 특성
나. 상업용 건물의 에너지소비
특성
다. 공공용 건물의 에너지소비 특성
(4) 건물의 에너지 소비 예측
3. 에너지 절감 요소기술 및 부하저감 기술
1) Passive 요소기술
(1) 미기후 조절
가. 건물의 배치 및 방향
나. 풍향 조절을 위한 배치
다.
평면계획
(2) 고단열 시스템
(3) 고성능 창호
(4) 건물의 기밀화
(5) 차양장치
(6) 이중외피
(7) 자연환기
(8) 자연채광
2) Active 요소기술
(1) 하이브리드 환기기술
(2) 폐열회수 시스템
(3) LED 조명과 디밍(Dimming)제어
(4) 건물에서의 기계설비의 기본방향
가. 기계설비
나. 냉・난방
설비
다. 환기설비 및 환기방식 적용
라. 기계설비 에너지절감 요소 기술
(5) 전기설비의 기본 방향
가. 수・변전
설비
나. 전력간선 및 동력설비
다. 조명 설비
라. 전기설비 에너지절감 요소 기술
3) 신재생에너지 요소기술
(1) 태양열시스템
(2) 태양광시스템
가. 태양전지의 종류 및 특성
나. 태양전지의 장단점
다. BIPV용
PV모듈의 종류
(3) 지열 히트펌프시스템
(4) CHP(Combined Heat and Power, 열병합 발전)
4.
제로에너지빌딩 기술 및 시장 동향
1) 국내외 제로에너지빌딩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지자체
나. 연구소 및 대학
다. 기업
2) 국내외 제로에너지빌딩 시장규모
5. 제로에너지빌딩 정책 동향
1) 해외 제로에너지빌딩 정책 동향
(1) 국가별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독일
라. 영국
마. 일본
바. 두바이
(2) 세제 및
금융지원 정책 현황
가. 미국
나. 캐나다
다. 독일
라. 영국
마. 일본
2) 국내 제로에너지빌딩
정책 동향
(1) 부처별 정책 동향
가. 국토교통부
나. 미래창조과학부
다. 녹색성장위원회
라. 서울시
(2) 녹색건축물 조성 관련 정책
가. 관련 정책 동향
나. 녹색건축물 조성 관련 법률 현황
다. 녹색건축물
조성관련 정책제도 현황
6.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1) 해외 친환경에너지타운 사례
(1) 독일
가. 괴팅겐‘윤데
마을(JühndeVillage)’
나. 바덴-뷔텐베르그 주 ‘마우엔하임(Mauenheim)’
(2) 영국
가.
BedZED(Beddington Zero Energy Development)
나. GreenwichMillennium
Village(GMV)
(3) 오스트리아
가. 무레크
나. 비엔나 슈피텔라우
소각장(Spittelauwasteincinerationplant)
다. 귀싱(Gussing)
(4) 일본
가. 일본
바이오매스 타운
나. 일본 오가와마치 마을
다. 오사카 마이시마 소각장(Maishima Incineration Plant)
라. 이와테 현 쿠즈마키
2) 국내 친환경에너지타운 현황
(1) 친환경 에너지타운 개념
(2) 친환경 에너지타운
종합계획(2014.12.19.)
가. 추진 배경 및 목적
나. 친환경 에너지타운 기본방향
다. 시범사업 대상지역 및
추진현황
(3) 친환경 에너지타운 사례
가. 강원 홍천군(가축분뇨처리시설+하수처리장型)
나. 광주광역시(매립지型)
다. 충북 진천군(하수처리장 연계 신재생융복합型)
(4) 재원 확보 및 지원방안
7. 녹색건축 인증제도
1)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1)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운영 현황
(2) 국가별 녹색건축 인증제도 분류체계 및 가중치
2)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
(1)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발전
(2) G-SEED 평가 분류체계 분석
가. G-SEED 평가
분류체계
나. G-SEED 평가 분류체계별 가중치
8.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1)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 개요 및
의의
(1)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개요
가. 인증대상
나. 평가기준
다. 인증절차
라. 지원내용
마. 인증 수수료
(2)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의의
2)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에너지 기준개선
(1)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성능평가를 위한 제도 방향(안)
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방향
나. 인증평가 항목
(2) 국내
제로에너지건축물 평가범위 및 수준(안)
가. 범위
나. 수준
제 2장 그린리모델링 정책 및 사례
1. 그린리모델링
개요
1) 그린리모델링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가. 그린리모델링의 정의
나.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정의
(2) 필요성
2) 그린리모델링 추진 배경 및 기대효과
2. 그린리모델링 인증기준 및 지원정책
1) 국내
그린리모델링 인증기준 현황 및 문제점
(1) 그린리모델링 인증기준 현황
(2) 그린리모델링 인증의 문제점 도출
2) 국내외
그린리모델링 지원정책
(1) 해외 지원정책
가. 영국 - Green Deal
나. 미국 - PACE
다. 독일 -
KfW-Energy
라. 프랑스 - 에코론 제도
(2) 국내 지원정책
가. 창조센터 이자지원사업
나. 서울시
BRP사업
다. ESCO사업
3. ESCO 사업 추진사례
1) 해외 사례
(1) 에너지정책 동향 및 ESCO 기업
현황
가. 각국의 에너지정책 동향
나. 외국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의 활동 동향
(2) 에스코 정책의 추진 사례 및 시사점
가. Green Jobs/Green Homes New York
나. 베를린시 에너지절약 파트너쉽(ESP)
다.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내부 계약(Intracting) 모델
2) 국내 ESCO 사례
(1) 환경관련 시설 부문
가. 대구시
서부하수처리장
나. 여수시 매립 침출수 처리장
다. 임하가압장의 펌프시설
(2) 공동주택 부문(소형 열병합발전)
가. 이태원 청화아파트
나. 구리시 한숲아파트
다. 서울 상도동 건영아파트
(3) 건물 부문
가. 대학 및
병원
나. 공공기관
(4) 산업체 부문
가. 강릉시 영동화력 발전의 고압 인버터 시스템
나. LG 필립스
디스플레이(주)
다. 코스모화학
라. LG 실트론
4. 그린리모델링 경제성 분석
1) 업무시설
(1)
공사내용
(2) 특징
(3) 경제성 분석
2) 아파트
(1) 공사내용
(2) 특징
(3) 경제성 분석
3) 시공 사례
(1) 창호 단열성능 개선 사례
(2) 창호 단열성능 및 냉방부하 저감 사례
5. 그린리모델링과
도시재생사업의 결합 사례
1) 중・저밀도형 사례
(1) 신규
가. 비키(Viikki)
나. 업튼(Upton)
(2) 재개발
(3) 리모델링
2) 고밀도(도심, 공동주택)형 사례
(1) 신규
(2) 재개발
가.
멜로즈 커먼즈(Melrose Commons)
나. 바킹 중심가 재개발(Barking Town Centre)
다. 말뫼(Malmo
Bo01)
(3) 리모델링
제Ⅱ편 고효율/친환경 건축물 관련 기술
제 1장 태양열/지열시스템 산업 동향
1.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1)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국내외 산업 현황
(2) 국내외 산업 전망
2) 신재생에너지
산업 주요 이슈
(1)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는 높은 성장세 유지
(2) Grid parity 달성 지역의 확대
(3)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시장 확대
3) 세계 신재생에너지 수급 현황 및 전망
(1) 세계 수급 현황
(2) OECD 수급 현황
(3) 세계 수급 전망
4)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및 전망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중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3)
미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4) 독일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5) 일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6) 영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7) 프랑스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 기본계획, 정책 및 제도
(1) 개요
(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가.
법의 목적
나. 법 제정 경위
다. 그간 주요 개정사항
라. 법 주요내용
(3)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정책 및
제도
가. 수요자 맞춤형 보급・확산정책 추진
나. 시장친화적 제도운영
다.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진출확대
라.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
마. 신・재생에너지 R&D 역량 강화
바. 제도적 지원기반 확충
(4)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3. 태양열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태양열 개요
(1) 태양열 개요
가. 태양열의 정의
나. 태양열의 원리
다. 주요 집열기 구조 및 원리
라. 집열기 형태별 종류 및 특징
마. 태양열 장단점
바. 태양열 산업 분류
(2) 태양열시스템 종류
(3) 시스템 구성요소
가. 태양열 집열기
나. 축열조
(4) 태양열시스템 구성
가. 태양열 온수기
나. 태양열 난방 및 급탕 시스템
다. 태양열 냉방시스템
라.
태양열 산업공정열
마. 태양열 발전 시스템
(5) 태양열 자원
가. 국내 태양열 자원
나. 세계 태양열 자원
2) 국내외 태양열 보급 동향
(1) 세계 보급 동향
가. 태양열 냉난방(Solar Thermal Heating and
Cooling)
나. 집광형 태양열 발전설비(CSP; Concentrating Solar Thermal Power)
(2) 국내
보급 동향
3) 국내외 태양열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가.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 비중
나. 용도별
현황
다. 국가별 현황
라. 태양열 발전 시스템 프로젝트별 현황
(2) 국내 시장 동향
가. 태양열 집열기
나. 태양열 시스템
4) 국내외 태양열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태양열 집열기
나.
주거용 태양열시스템
다. 태양열 블록히팅/태양열 지역난방 시스템
라. EU 또는 IEA Task를 통해 추진되었거나 추진 중인
태양열 관련 프로젝트
마. 태양열 발전기술
바. 태양열 건물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4. 지열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지열에너지 개요
(1) 정의 및 특성
(2) 활용분야 및 기술 분류
가. 활용분야
나. 기술
분류
2) 국내외 지열에너지 보급 동향
(1) 전 세계 지열발전 보급 현황
(2) 전 세계 지열 직접이용 보급 현황
(3) 국내 지열에너지 직접이용 현황
3) 국내외 지열에너지 시장 동향
(1) 지열발전 분야 시장 동향
(2) 지열
직접이용 분야 시장 동향
(3) 국내 지열에너지 시장 동향
4) 국내외 지열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지열발전 분야
나. 지열 직접이용 분야
(2) 국내 지열 기술 연구개발 현황
5. 고효율 히트펌프 시장 및
기술 동향
1) 고효율 히트펌프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범위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3) 경쟁환경
가. 세계 현황
나. 국내 현황
2) 국내외
고효율 히트펌프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3) 무역현황
3)
국내외 고효율 히트펌프 기술 및 업체 동향
(1)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6.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범위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3) 경쟁환경
(4) 전후방산업 환경
2) 국내외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무역현황
3)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BIPV
기술
나. BIST 기술
다. BIPVT 기술
(2)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제 2장 태양광발전시스템 산업 동향
1. 태양광발전시스템 개요
1) 태양광발전시스템 정의 및 구성요소
(1) 정의
(2) 구성 요소
가. 태양전지
나. PCS/인버터
(3) 부하의 종류에 따른 구분
2)
태양광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 특징
(2) 산업 구조
3) 태양광발전 산업 환경 분석
(1) 정책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태양광 시장 및
가격 동향
1) 세계 태양광 시장 전망과 투자 동향
(1) 주요국 시장 동향
가. 중국
나. 미국
다. 인도
라. 동남아시아
마. 멕시코 & 칠레
(2) 세계 태양광 산업 투자 동향
2) 국내 태양광 산업 동향
3) 주요 태양광 제품 가격 동향
(1) 폴리실리콘
(2) 웨이퍼/태양전지
(3) 모듈
3. 태양광 기업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1) 국내외 태양광 기업 동향
(1) 주요 기업 실적 동향
(2) 해외 기업 동향
(3)
국내 기업 동향
가. 업체 현황
나. 밸류체인별 현황
2) 국내외 태양전지 기술개발 현황
(1)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2) 박막 태양전지
4. 국내외 태양광발전 보급정책 및 보급 현황
1) 국내외 태양광 보급정책
(1)
해외 정책
가. 미국
나. 일본
다. 독일
라. 중국
마. 기타 지역
(2) 국내 정책
2)
국내외 태양광 보급 현황
(1) 해외 현황
가. 중국
나. 일본
다. 미국
라. 유럽
마. 기타 지역
(2) 국내 현황
5. 태양광발전시스템 시장 및 기술 동향
1) 국내외 태양광발전시스템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무역현황
2) 국내외 태양광발전시스템 기술 동향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독립계통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 최적화 설계 기술
나. 고효율화 태양전지 전력변환 제어시스템
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기기의 국산화
라. 지역 및 환경 맞춤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발굴
(2) 국내외 주요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제 3장 연료전지시스템 산업 동향
1. 연료전지 산업 개요
1)
연료전지 정의 및 구성
(1) 정의
(2) 구성
2) 타 에너지 대비 연료전지의 특징
(1) 높은 발전효율
(2) 저공해, 저소음
(3) 발전규모 조절용이
3) 연료전지 종류
(1) 분류
(2) 종류별 특징
가. PAFC(Phosphoric Acid Fuel Cell)
나. PEM(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다. MCFC(Molten Carbonate Fuel Cell)
라. SOFC(Solid Oxide Fuel
Cells)
마. DOE 목표치
4) 산업별 연료전지 분류 및 발전 동향
(1) 이동전원용 연료전지(DMFC)
(2) 발전용 연료전지
(3) 건물용 연료전지
(4) 수송용 연료전지
5) 연료전지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6) 연료전지 분야 환경 분석
(1) 정책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연료전지 시장 및 업체 동향
1)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 전망과 수출입 동향
(1) 세계 시장 및 수출입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수출입 현황
(2)
국내 시장 및 수출입 동향
가. 시장 규모
나. 수출입 현황
2) 국내외 종류별 연료전지 시장 동향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국내외 연료전지 업체 동향
(1) 해외 동향
가. Plug Power(PLUG:US)
나. Ballard Power(BLDP:US)
다. FuelCell
Energy(FCEL:US)
라. Bloom Energy
(2) 국내 동향
가. 발전용
나. 차량용 PEMFC
다. 주택 및 건물용
3. 연료전지 기술개발 동향
1) 연료전지 기술개발의 필요성
(1) 에너지안보
(2)
환경보호
(3) 경제발전
2) 종류별 연료전지 개발 동향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주요국 연료전지 기술개발 현황
(1) 미국
가. R&D 현황
나.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개발 현황
다. SOFC(Solid Oxide Fuel
Cells) 개발 현황
라. 수송용 연료전지 개발 현황
(2) 일본
(3) 독일
가. 재생에너지 목표와 국가
기술개발 프로그램(NIP)
나. 수소연료 산업 증진을 위한 향후 지원
(4) 한국
4. 연료전지 보급 현황 및 보급 효과
1) 연료전지 보급 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2)
연료전지 보급효과 분석
(1) 분산전원으로서의 효과 및 국내외 운영 모델 사례
가. 분산형전원의 계통에 대한 효익
나.
연료전지의 계통에 대한 효익
다. 국내외 운영 모델 사례
(2) 환경적, 에너지절약 측면에서의 연료전지 보급효과
(3)
국가적, 소비자 측면에서의 연료전지 보급효과
가. 국가적 측면의 연료전지 보급 효과
나. 소비자 측면의 연료전지 보급 효과
5. 연료전지 정책 동향
1) 시기별 연료전지 정책 방향
(1) 국내
(2) 해외
2) 국내외 연료전지 정책
동향
(1) 국내 연료전지 보급 정책
가. 주택・건물용 보급정책
나.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정책
다.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정책
(2) 세계 정책 동향
가. IPHE(국제 수소연료전지 경제파트너십) 제23차 운영위원회 개최
나. 각국의
수소연료전지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
3) 국내외 실용화 현황과 정책
(1) 해외 실용화 현황과 정책
가. 미국
나.
일본
(2) 국내 실용화 현황과 정책
가. 수소연료전지 기술실용화 성과
나. 기술실용화 관련 법
다. 기술실용화
관련 제도
라. R&D 평가체계
마. 기술실용화 관련 예산 구조
제 4장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산업 동향
1.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산업 현황과 정책 동향
1)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요
(1) 정의 및 구성요소
가. 정의
나. 구성요소
(2) 에너지관리대상에 따른 EMS의 특징
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나.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다. 가정에너지관리시스템(HEMS)
2) 국내외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산업 현황
(1)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EMS 산업규모
3)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기술 현황
(1) EMS 디바이스
(2) EMS 통신
가. 개요
나. AMI 구성
다. 구축사례
(3) EMS 플랫폼
가. 개요
나. 기술요구사항
(4) EMS 서비스
가. 개요
나. 지능형 실시간 요금제
다. 지능형 수요반응 기술
라. 지능형 전력거래 기술
4) 국내외 EMS 산업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중국
라.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가. 관련 법령
나. 주요 지원정책
2.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산업 동향과 정책 현황
1) BEMS 개요
(1) BEMS 정의 및 특성
가. 개념
나. 특성
다. 필요성
(2) BEMS 추진배경
(3) BEMS 기능 및 구성요건
가. 기능
나.
BEMS 구성요건
2) 국내외 BEMS 산업 현황
(1)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2) 해외 주요국 시장 현황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3) 국내 시장 현황
가. 시장
나. 기업
다. 기술
3) BEMS 관련 기술표준 현황 및 기술동향
(1) BEMS 관련 기술표준 현황 및 기술동향
가. BEMS 제공 서비스
나. 상호 운용성을 위한 정보통신표준
(2) BEMS 관련 ISO 표준
가. ISO 16484
나. ISO
50001(EnMS, Energy Management System)
다. ISO 13790(건물에너지효율등급)
라. ISO 비교
(3) 국내외 기술 동향
(4)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 연구개발 동향
나. 국내 연구개발 동향
4)
국내 BEMS 설치 사례 및 발주 실태
(1) 코엑스
(2) 삼성물산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나라컨트롤
(5) SKT
(6)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7) 김포공항
(8) BC카드 본사
(9) 기타
5)
국내외 BEMS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BEMS 관련 제도 및 지원 사업 현황
가. 일본
나. 미국
다.
EU
라. 덴마크
마. 이탈리아
바. 스웨덴
사. 프랑스
아. 스페인
자. 독일
차. 네덜란드
(2)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 법제도, 지원규제 정책
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나.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시행령
다.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및 시행령
라. 건축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도
3.
주택에너지관리시스템(HEMS) 기술개발 현황
1) HEMS 개요
2) 주거용 건물을 위한 통신체계 및 방법
(1) 유무선
통신체계 및 방법
가. 개요
나. 유선 통신방식
다. 무선 통신방식
라. 통신방식 장단점 분석
(2) 주거용
건물을 위한 통신체계 및 방법
3) 국내외 스마트홈 기술개발 현황
(1) 스마트홈 정의
(2) 국내외 스마트홈 기술개발
현황
4) 국내외 HEMS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US DOE 등록 소프트웨어
나.
미국에서의 HEMS 기술개발 현황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삼성물산
나. 현대산업개발
다. 한국CM기술원
라. 대림산업
(3) 스마트미터 기술개발 현황
제 5장 건자재 산업 동향
1. 고단열 창호 및 유리 산업 동향
1) 창호기술 개요
(1) 친환경 건자재의 중요성
가. 에너지소비총량제 전면 시행
나. 친환경 건자재의 성장
다. 에너지소비총량제 관련 시장규모
(2) 창호 기능
(3) 단열 창호 열성능 향상 기술
(4) 단열 창호의
기술개발 필요성
가. 기술적 측면
나. 경제적 측면
(5) 국내 창호의 구성 현황
가. 프레임 재질
나.
창호의 단열 요소재
다. 개폐방식
2) 창호 기술개발 동향
(1) 창호의 기본성능 강화
가. 창틀 두께의 증가
나. 창틀 격벽구조의 증가
(2) 부하저감 기술
(3) 신재생에너지 적용
3) 창호 관련 정책
4) 판유리
산업 동향
(1) 국내외 판유리 산업 동향
가. 세계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산업 현황
(2) 국내외 판유리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다. 향후 시장 전망
5) 로이유리 시장 동향
(1) 로이유리 원리 및 필요성
(2) 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독일
나. 영국
다. 미국
(3)
국내 시장 및 업체 동향
가. 시장 동향
나. 업체 동향
6) 스마트 윈도우 시장 및 기술 동향
(1) 정의 및
용도
(2) 국내외 시장 및 업체 동향
(3) 기술개발 현황
7) 진공유리 시장 및 기술 동향
(1) 진공유리 정의
및 특성
가. 정의 및 구조
나. 특성
(2)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진공유리 시장 동향
(3) 진공유리 기술
2. 고성능 단열재 산업 동향
1) 단열재의 종류 및 특징
(1) 유기질 단열재
가. 비드법 보온판(EPS,
Expanded Polystyrene Foam)
나. 압출법 보온판(XPS, Extruded Polystyrene Sheet)
다.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라. 수성 연질 폼
마. 우레아 폼
바. 네오폴(Neopor)
사. 에너포르-신개념 비드법 2종
아. 폴리에스터 흡음 단열재(T–MAX)
(2) 무기질 단열재
가.
글라스울(Glass Wool)
나. 미네랄 울
다. 나무섬유 제품(황토 접목 )-PAVACLAY
(3) 기타
가.
에어로젤(Aerogel)-투과형 단열재
나.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다. 열반사 단열재
라. Calcium Silicate 제품
마. 단열 블록(Insu Block)
바. FS 단열재
2) 단열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
(1) 단열성
(2) 흡수성
(3) 투습성
(4) 강도
(5) 내열성
(6)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
(7) 불연성
(8) 유해성
(9) 시공성
3) 건축물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단열재 두께
(1)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상의 단열기준
(2)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
(3) 강화된 단열 및 방화기준을 만족하는
단열 두께
4) 고효율 건축물의 최신 단열재 연구 동향
(1) 전통적인 단열재
가. 광질면(Mineral wool)
나. 발포폴리스티렌
다. 압출발포폴리스티렌
라. 셀룰로오스
마. 코르크
바. 폴리우레탄
사. 기타
(2) 최신 단열재
가. Vacuum insulation panels(VIPs)
나. Gas-filled panels
(GFPs)
다. 에어로젤
라. 상변화물질
(3) 미래 단열재
가. Vacuum Insulation
Materials(VIMs)
나. Gas Insulation Materials(GIMs)
다. Nano Insulation
Materials(NIMs)
라. Dynamic Insulation Materials(DIMs)
마. 콘크리트 단열 NIMs
바. 나노콘
(4) 최신 단열재의 비교
(5) 친환경 건축물 단열재 전망
3. 고효율 건축외피 산업 동향
1) 외피 단열 기술의 개요
(1) 외피 단열 기술
(2) 건축물의 단열 기술
(3) 고단열 외피 관련 국내외
현황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2) 고효율 단열을 활용한 건물 외피의 고단열 기술
(1) Low-E 단열재를
활용한 고단열 외피 설계
가. Low-E 단열재 개요
나. Low-E 단열재의 열성능 실험 결과
다. Low-E 단열재를
포함한 고단열 벽체 제안
(2) HIP를 활용한 고단열 외피 설계
가. HIP(High Insulated Panel)의 개요
나. 고성능 단열 패널(HIP, High Insulated Panel)의 단열 특성
다. HIP를 적용한 제로에너지 그린 홈
건축
(3) Aerogel Blanket를 활용한 고단열 외피 설계
가. Aerogel Blanket의 개요
나.
Aerogel Blanket를 활용한 Passive House 외피의 단열
3) 고효율 건축외피 시스템 산업 동향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필요성
다.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3) 국내외
고효율 건축외피 시스템 시장 동향
(4) 국내외 고효율 건축외피 시스템 업체 현황
가. 세계 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제 6장 에코조명 산업 동향
1. 에코조명 산업 동향
1) 에코조명 개요
(1)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범위
(2) 주요 제품
가. 광원 및 소재 부품
나. 일반조명 시스템
다. 융합조명
시스템
(3) 환경 분석
가. 정책적 환경
나. 경제적 환경
다. 사회적 환경
라. 기술적 환경
(4)
산업 특징 및 구조
가. 특징
나. 구조
2) 국내외 에코조명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 수출입 동향
3) 국내외 에코조명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2) 국내 업체 동향
4) 국내외 에코조명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2. LED 조명 시장 및 기술 동향
1) LED 조명 개요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분류
(2) 특성
2) 국내외 LED 조명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환경 변화
(2) 국내외 시장 동향
가. 해외 시장 동향
나. 국내 시장 동향
3) LED 조명 부품기술 동향
(1) LED 패키지 및 관련 부품
가. 개요
나. LED 패키지 기술동향 및 전망
(2) 메탈코아 PCB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3) 구동회로 및 SMPS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4) 방열부품
가. 개요
나. 기술
동향 및 전망
(5) 광학부품
가. 개요
나. 렌즈 기술동향 및 전망
다. 반사판 기술동향 및 전망
라.
확산판 기술동향 및 전망
3. OLED 조명 시장 및 기술 동향
1) OELD 조명 개요
(1) 정의
(2) 특성
(3) OLED 조명 응용분야
2) OLED 조명 시장규모
3) 국내외 OLED 조명 기술 동향
(1) 기술 전망
(2)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4. 스마트 조명 기술 동향
1) 스마트 조명 개요
(1) 스마트 조명 기술의 정의
(2) 스마트 조명 기술의 목적
2) 스마트 조명 기술 현황 및 발전방향
(1)
해외 주요국 기술개발 현황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마. 대만
(2) 해외 주요 업체별
개발 현황
가.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한 조명 기술
나. 홈 보안을 위한 스마트 조명 기술
다. 도난 방지를 위한 홈 보안
시스템
라. 유비쿼터스 제어가 가능한 까세타(Caséta) 무선 기술
(3) 발전 방향
통계(도표) 목차